858 0

2000년 이후 사회·문화 현상에 따른 디자인 트렌드가 홈 인테리어 패브릭에 미친 영향

Title
2000년 이후 사회·문화 현상에 따른 디자인 트렌드가 홈 인테리어 패브릭에 미친 영향
Other Titles
An Influence of the Social & Cultural Phenomenon and Design Trend on the Home Interior Fabric after 2000
Author
우신애
Alternative Author(s)
Woo, ShinAe
Advisor(s)
양진숙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실내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인터넷의 발달로 실외의 사무 공간, 휴식공간이 내부로 유입되면서 홈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홈 인테리어 패브릭은 소비자의 욕구와, 취향,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게 되었으며 트렌드의 영향을 받은 홈 인테리어 패브릭의 변화는 2000년 이후 어느 때 보다 더욱 활발하게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 트렌드를 고찰하고 그러한 트렌드가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홈 인테리어 패브릭의 소재, 컬러, 패턴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고찰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2000년 이후 사회·문화 현상 및 이를 반영한 디자인 트렌드를 조사하였고 홈 인테리어 패브릭 분야에 가장 적용이 가능한 디자인 트렌드를 분류한 후 이러한 트렌드가 홈 인테리어 패브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 관계성을 분석하여 향후 홈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작업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와 업계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사회 현상과 트렌드 관련 이론적 배경과 더불어 홈 인테리어 패브릭의 개념, 요소, 특성 등은 논문과 학회지, 전문서적, 신문, 인터넷기사, 해외 박람회 자료, 전문지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범위는 여러 가지 패브릭 중에서도 대표적인 홈 인테리어 패브릭으로서 침구, 커튼, 소파 및 쿠션, 카펫을 중심으로 소재, 컬러, 패턴의 경향을 연구하였다. 홈 인테리어 패브릭만을 위한 대표적인 디자인 트렌드 용어가 분류되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와 업계의 자료를 토대로 디자인 트렌드를 4가지로 대별하였다. 즉, 각박한 사회로부터 안락함을 추구하고 자연으로 회기하려는 내추럴 트렌드, 사물의 본래의 의미만을 부여하는 미니멀 트렌드, 젠 스타일의 경향으로 지속되고 있는 오리엔탈 트렌드, 21세기 하이테크와 결합하면서 서로 다른 문화와 재료, 스타일들이 혼재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퓨처리즘 트렌트로 분류하였고 이러한 분류를 기준으로 디자인 트렌드가 홈 인테리어 패브릭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1863년 미술 분야에서 카스타리나에 의해 처음 언급된 내추럴 트렌드는 테크놀러지와 함께 공존하거나 에코디자인 트렌드, 오가닉, 휴머니즘 트렌드로 변모하며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내추럴 트렌드의 영향으로 자연적인 촉감, 인체에 무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 선호되었다. 컬러는 소프트한 컬러를 메인으로 하여 비비드한 컬러를 악센트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고, 패턴은 자연을 모티브로 한 패턴과 함께 3차원적으로 입체감 있게 표현한 패턴이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1965년 영국의 철학자 리챠드 월하임(Richard Wallheim)에 의해 사용된 미니멀 트렌드는 내추럴 미니멀 트렌드, 네오 미니멀 트렌드로 변화하였다. 미니멀 트렌드의 영향으로 홈 인테리어 패브릭에는 도비직 실크, 린넨, 면, 사이잘, 메탈 등의 가벼우면서도 화려하지 않은 소재가 사용되었고, 컬러는 화이트가 섞이 페일한 컬러와 그레이와 글로시한 블랙, 메탈과 사이버틱하면서도 다크한 컬러가 사용되었다. 특히 패턴에서는 무지류가 선호되었으며 지오매트릭한 패턴과 스트라이프, 체크, 기하학적 패턴도 다수 선보였다. 셋째, 1980년대 등장한 오리엔탈 트렌드는 젠 스타일이 홈 인테리어 패브릭 분야에서 주목받으면서 변형된 스타일인 엑조틱 트렌드, 트로피칼 트렌드, 스칸디나비아 트렌드에 빈티지 트렌드가 가미되었다. 자수와 비즈, 펠트나 마 등, 불규칙한 소재와 벨벳, 포플린, 골지게 짠 소재가 사용되었고, 파스텔과 난색의 비비드 컬러를 주로 사용하고 갈수록 우아함과 시크한 느낌의 저채도의 다크한 컬러를 사용했다. 패턴은 친숙한 과일, 페이즐리, 기하학 패턴을 시작으로 대나무, 도자기, 구체적인 사진이나 타이포그래피가 사용되었다. 넷째, 20세기 초 이탈리아의 전위예술운동에서 시작된 퓨처리즘 트렌드는 ‘퓨전’으로 주목되기 시작하면서 진보적이지만 편안한 트렌드로 점차 변화하였다. 이러한 퓨처리즘 트렌드의 영향으로 금속, 플라스틱, 유리 광섬유 등 다양한 소재를 패브릭에 사용하였고 기능성을 가미한 패브릭을 개발하였다. 컬러는 화이트에 다양한 컬러를 매치하거나 블랙과 화이트의 강렬한 대비에 실버펄을 사용하는 등 세련되고 강렬한 컬러를 사용하였고 유기적인 곡선과 대담한 크기의 패턴, 디지털적인 패턴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디자인 트랜드를 크게 네가지로 대별하여 이들이 2000년도 이후의 홈 인테리어 패브릭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것에 큰 영향을 받아 새로운 변화를 거듭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현대에 와서 주거공간에서 할애하는 시간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홈 인테리어 패브릭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와 기대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로 미루어보아 앞으로 홈 인테리어 패브릭이 주거 공간 활용에 있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문화적 트렌드와 홈 인테리어 패브릭의 관계성 연구는 앞으로의 홈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작업을 위한 방향성 제고에 좋은 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생각된다.; Home interior fabric is influenced by consumers’ tastes, demands and lifestyle. The changes in trend have been especially vigorous since the year two-thousand, impacting the ways designers choose fabrics for home interior. This paper seeks to investigate post-2000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and also the design trends which reflect these relevant backgrounds. Out of the findings, design trends best applicable in the field of home interior fabric have been classified. Finall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rends and home interior fabric, how the referred design trends impact home interior fabric. Along these lines, the paper attempt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home interior designing. Utilizing data from thesis, journal, academic books, newspapers, on-line articles, overseas exhibition materials, and professional journals, this paper focused on social phenomena and trend-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along with the concept,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home interior fabric. As for the range of research, this paper was most concerned on the trends of materials, colors, and patterns in bed, curtain, sofa, cushion, and carpets, the most representative home interior fabrics. There is no typical jargon solely for home interior fabric. Consequently, this paper classified design trends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business circles. Namely, natural trend which seeks refuge from heartless society and pursues comfort and revisit to nature, minimal trend which only grants the primary value to the object, oriental trend which is being continued as a trend in zen style, futurism trend which in combination with 21century high-tech, is becoming visible mixture of mutually different culture, materials and styles. In adhering to the referred classification, the paper analyzed the impact of design trend on home interior fabric. Below are the results. First, natural trend coexists with technology or has been continued through changing forms from eco design, organic to humanism trends. The result of natural trend was preference in natural feel, materials recyclable and safe to human body. In terms of color,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use vivid color as accent, putting soft color as the core, and in terms of pattern, together with nature thematic pattern, 3-dimensional patterns constitute the main stream. Second, minimal trend transformed into natural minimal trend and neo minimal trend, respectively, resulting home interior to use dobby weaves, silk, linen, cotton, sisal, metal fabric materials that are light but not exuberant. As for color, white-mixed pale color and grey and glossy black, metal, cybertic and dark colors came into fashion. Particularly in terms of pattern, plain pattern was preferred, with a display of numerous geometric pattern, stripe, and check. Third is oriental trend, which continued as zen style. This trend came in variations of oriental trend, exotic trend, tropical trend, and Scandinavian trend, as zen style received the spotlight in the field of home interior fabric. Vintage trend was also added to these variations. Irregular fabrics such as embroidery, beading, felting, flax and corded materials such as velvet, poplin, and pastel were utilized. Warm and vivid colors were mainly used and in the process of time, dark colors of low saturation with a sense of grace and chic increased. In terms of pattern, starting off with familiar fruit patterns, paisley, geometric pattern, bamboo, ceramics, detailed photographs, and typography also have been employed. Fourth, futurism trend gradually changed into a progressive but relaxing trend, as it began to be noticed as ‘fusion’. The result was utilization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plastic, glass optical fiber and introduction to new fabric onto which functionality was combined. As for color, white was matched with various colors or silver pearl together with intense black and white comparison, or elegant and strong colors. Organic curve, patterns of daring size, and digital pattern made to the mainstream patterns.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classifying design trends to four big categories, to find out how they impacted home interior fabric post-2000, they reflect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age, repeating change upon change. Particularly, in modern society, as the time spent on living space being extended and consumers’demand and expectation concerning home interior fabric being raised, home interior fabric is prone to play a not insignificant role in living space application and hence,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ultural trend and home interior fabric will become a model study for providing direction for future home interior fabric design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02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45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TEXTILE & FASHION DESIGN(섬유패션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