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7 0

백장청규의 조직이념과 선사상에 관한 연구

Title
백장청규의 조직이념과 선사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Master Baekjang & Baekjang Cheonggyu
Author
이규정
Alternative Author(s)
Lee, Kyu Jeong
Advisor(s)
박응격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백장 회해(百丈懷海:720~814)는 복주(福州) 장악현의 사람으로서 서산(西山)의 혜조(慧照)화상을 따라 낙발(落髮)한 다음 형산(衡山)의 법조(法朝) 율사로부터 구족계를 받고 그후 강서(江西)의 마조 도일(馬祖道一:709~788) 선사에 나아가 법인(法印)을 받았다. 선종사에서 본다면 백장 회해의 〈백장청규〉에 의해 비로소 선종총림이 수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백장청규의 원래 내용은 다 알 수 없으나 그 가운데 중요한 것은 ‘선사(禪師)를 율사(律師)로부터 독립시키고 <선원청규〉를 제정하여, 장로(長老)를 방장(方丈)으로 추대하여 법을 설하게 하고, 불당(佛堂)을 세우지 않고 중앙에 법당(法堂)을 세우며 전대중이 보청법(普請法)에 의거하여 대중생활에서 규범을 어긴 자에 대한 법칙을 세우는 것’ 등이라고 하겠다.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것이 바로 보청법에 의한 노동생산이라 할 수 있다. “하루 일하지 않으면(一日不作), 하루 먹지 말라(一日不食)”는 유명한 격언이 말해주듯 백장은 노동생산을 매우 중하게 여겼고, 규칙에 있어 백장은 스스로에게도 엄격했다. 놀라운 것은 이 약속 아래 목숨이 다할 때까지 밭을 갈았다는 사실이다. 그의 이와 같은 선농불교(禪農佛敎)의 실천으로 하여금 선종이 오늘날까지 이어져오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선농불교는 농사일과 참선수행을 반반씩 한다는 의미라기보다는 노동 그 자체가 그대로 수행으로 승화되어지는 것을 말한다. 백장선사가 선종사에 남긴 가장 큰 업적은 무엇보다도 선종 독자의 수도 규칙, 즉 청규(淸規)를 제정하고 불교 교단에 생산노동을 수행의 덕목으로 도입했다는 점이다. 다만 율장은 부처님께서 직접 설하셨지만 청규는 율장에 의지해서 선종의 종지를 선양하기 위하여 선지식들이 만들어 놓은 규범이다. 중국 선종이 탄탄하게 뿌리내릴 수 있었던 원인중 하나가 청규제정에 있다고 본다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간화선의 정체성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 역시 청규정신이 해이해진 결과라는 사실을 깊이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세존염화(世尊拈花) 소식이 가섭에게 전해지고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의 도리가 달마에 이르러 중국으로 전해졌으며, 한국으로 면면히 전해 내려온 정법안장(正法眼藏)은 지금은 세계에서 한국이 가장 잘 전승되어졌다고 할 수 있다. 대중이 모여 사는 데에는 각자 지켜야 할 규범이 있게 마련이며, 출가수행자들이 대중생활을 여법하게 하는 수행이 바로 청규다. 한평생 수행의 길을 가는 데 의지하고 걸어갈 수 있는 청규가 있다는 것은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다. 더구나 대한불교조계종은 선종(禪宗)을 표방하고 있기에 선원청규는 곧 대한불교조계종의 청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백장청규의 사상을 중심으로 진보적 사원조직 윤리, 소유권의 평등개념, 그리고 동체대비사상 연기사상 등을 살펴보고 백장청규의 이러한 조직사상들이 경전과 그 외 몇몇 조사(祖師) 및 사상가들에게 있어서 어떻게 표현되었고 오늘날에 와서는 사원조직과 사회조직, 한국불교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Hoehae or Master Baekjang(720~814) was born in Changre Prefecture, Fuzhou, became a monk along with Priest Hyejo, studied under Rev. Beopjo, and attained enlightenment from Master Doil(709~788). Hoehae's Baekjang Cheonggyu(Clean Regulations written by Baekjang), they say, has settled the foundation of zen Buddhism. Even though the book's correct contents are unknown, it is partially quoted in Sinmun Gyusik. Among the important remarks are “a zen temple detached from a discipline temple, a zen monastery's newly-made regulations, a head priest invited to teach dharma, a dharma hall in the center replacing a Buddha hall, all the public asked to take part in labor and production, and penalty for those who go against community regulations." The noteworthy part is the mention of group labor and production. As a proverb says, “No work for a day means no meals for a day!" Master Baekjang thought high of laboring production and was very rigid to his own rules. Remarkably and unbelievably, he is known to have cultivated the fields himself until his death. His advocacy and practice of “zen-farming Buddhism" has contributed a lot to what zen Buddhism is like. Hohae's zen-farming practical Buddhism is not that zen and farming are a half and a half, but that labor itself is sublimated into zen practice. In this respect, his greatest achievement is his making Baekjang Cheonggyu and the introduction of productive labor as the virtuous item of practice. Based on Sakyamuni Buddha's teachings, we have to resort to clean regulations to spread zen-focused Buddhism. One of the reasons why zen Buddhism tradition is strong in China can be attributed to Hohae's Baekjang Cheonggyu. On the other hand, we have to reflect on ourselves thoroughly as our negligence of the regulations may be the right cause of the weakness of koan zen practice or “ganhwaseon" in Korea. Mahakasyapa rightly understood the meaning when Sakyamuni Buddha raised a flower, and Saint Dharma delivered the doctrine of “directing the mind and realizing nature to attain Buddhahood" to China. As a result, the orthodox teachings of Buddhism are properly and safely handed down in Korea. There should be some regulations when a community lives together. “Cheonggyu" or clean rules and regulations should be a model example for every Buddhist monk and nun all their lives. Since the Jogye Order of Korea represents a branch of zen Buddhism, Baekjang Cheonggyu can be of significance.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thoughts revealed in Baekjang Cheonggyu, especially the progressive ethics of temple structure, the equal concepts of ownership, and the law of causality. Further, the author investigated how Master Baekjang's philosophy is reflected in other priests and philosophers as well as contemporary social and temple structur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68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14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