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7 0

산업별 퇴직연금제도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산업별 퇴직연금제도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n Industrial Pension
Author
오승원
Alternative Author(s)
Oh, Seung Weon
Advisor(s)
박응격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의 임금 근로자들의 노후소득보장 기능 강화를 위하여 2005년 12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시행으로 도입된 퇴직연금제도가 3년이 지난 지금 퇴직금에서 퇴직연금제도로의 전환율은 11%로 극히 미약한 상태이다. 또한 퇴직연금제도가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제도와 함께 선진국형 3층 노후보장체제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퇴직연금제도 활성화를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퇴직연금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가입강제, 세제지원 등 여러 대안들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그 여러 대안 중에 대다수 근로자들이 종사하는 영세사업장을 감안하여 대안적 형태의 산별퇴직연금제도 도입을 통한 퇴직연금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도입 운영 중인 퇴직연금제도의 지배구조에 대한 제도적 보완을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고, 퇴직연금제도의 지배구조의 개념과 유형, 산별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주요 국가들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퇴직연금제도 도입 초기인 점을 감안, 퇴직연금 지배구조 사례를 수집ㆍ분석할 만한 데이터가 거의 축적되어 있지 않고, 산별퇴직연금제도에 관한 연구 실적이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내ㆍ외에서 발간된 참고서적과 문헌자료 분석에 중점을 두는 기술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미국, 일본, 스위스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주요국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퇴직연금제도는 각 국가의 사회경제적 여건과 역사적 경험에 따른 경로의존성이 강한 제도로서 ‘글로벌 스탠다드’의 규정력이 낮게 작용하는 연금제도의 특성에 따라 스스로의 필요성에 의해 국가별로 독자적인 형태의 퇴직연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공적연금과 사적연금과의 역할 분담과 관련하여 스위스와 네덜란드는 강제가입의 형태로 소득대체를 목표로 하고 있어 사회보장제도로서의 기능이 강한 반면, 미국과 일본은 임의가입의 형태로서 공ㆍ사 연금 간에 보완적 역할 관계를 띠고 있었으며, 유능한 근로자를 채용하기 위한 인센티브로서의 기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ㆍ사연금의 관련성은 근로자와 자영업자의 노후생활 보장을 위해서는 중요한 의미가 있어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비교대상 국가 중에서 미국을 제외하면 퇴직연금 유형의 다양성을 가진 국가는 거의 없었으나, 대상 국가들은 여러 회사들이 하나의 신탁 등으로 연금 펀드를 운영하는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하고 있었으며, 네덜란드의 경우 직장이동으로 얻게 되는 불이익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고 동등한 처우 확보를 위해 전체 노동인구의 약 80% 이상이 가입하고 있는 산별퇴직연금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대기업과 같이 독자적인 기업별퇴직연금을 운영할 수 없는 중소기업이 산별퇴직연금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이 논문에서는 퇴직연금이 국민연금과 함께 노후소득보장의 이층체계를 형성하고 근로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다각화 노력의 일환으로 산별퇴직연금제도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법 테두리에서는 산별퇴직연금 형태는 계약형 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입자 혹은 수익자 참여를 통한 연기금지배구조의 형성과 연금펀드의 활용이라는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산별연금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기금(신탁)형 산별퇴직연금제도의 도입함으로써 가입자의 참여를 보장할 수 있는 산별연금 지배구조 형성과 관련된 법 개정이 절실히 필요하며, 도입을 위한 세부추진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Workers' Retirement Allowance Guarantee Act' began to be executed since December, 2005 so as to warrant their retirement income. At this moment when 3 years have passed since the new system was introduced, the ratio of the retirement allowances into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is very low or 11%. In addition, it is urgent to arrange the measures to activate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in order to ensure workers' old-age life with three systems - National Pension, individuals' pensions and retirement pension - as in advanced nations. The alternatives may well be compulsory subscription, tax incentives, etc. This study attempted to activate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by proposing an industry-wise retirement pension system in favor of the petty businesses engaging the majority of the workers. To this end, the researcher limited the scope of the study to the institutional alternatives to reform the structure ruling the current retirement pension system, and thereby, reviewed concept and types of the structure ruling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and foreign cases operating the industry-wise retirement pension systems. Considering that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had not long been operated and that the data for analysis of the cases about the structure ruling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had not much been accumulated, and that few studies had been conduced on the industry-wise retirement pension system, this descriptive study focused on the domestic and foreign data and literature. As a result of reviewing major nations' cas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Japan, the Switzerland and the Netherlands, it was found that their retirement pension systems were being operated as their own unique retirement pension systems affected by their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historical experiences. Namely, 'any global standards' were not being applied to them. In terms of division of rol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pensions, the Switzerland and the Netherlands were operating a compulsory income substitution pension of a strong social security nature, whil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ere operating a voluntary retirement pension system complementing the public pension system, giving incentives to able workers.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nd private pensions is important to ensure workers and self-owned businessmen's old-age life, it is necessary to examine it continuously. Among the model nations, no nation was operating a diversified retirement pension system except for the United States, but they were operating their retirement pension system managed by various companies as a trust retirement fund. In case of the Netherlands, an industry-wise retirement fund system engaging more than 80% of the entire workers was being operated to protect the workers for any possible disbenefit due to job replacement and ensure their equal treatment. Most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ere participating in the industry-wise retirement pension system because they could not operate their own independent corporate retirement fund system.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suggested an industry-wise retirement pension system meeting workers' diversified needs and ensuring their old-age incomes together with the national pension. However, the current law system only allows for a contract-based industry-wise retirement pension system, and therefore, such a type of industry-wise retirement pension system would not meet the original cause of the system because it does not allow for the structure ruling the pension funds through subscribers' or beneficiaries' participation. Accordingly, in order to keep the original cause of the industry-wise retirement pension system, it is urgent to introduce a fund-type industry-wise retirement pension system ensuring subscribers' participation an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law relevant to the structure ruling the industry-wise retirement pension system, while continuing to research into the specific groundworks for introduction of the pension syst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68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2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