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분한-
dc.contributor.author김소라-
dc.date.accessioned2020-04-03T16:40:09Z-
dc.date.available2020-04-03T16:40:09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63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987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센터에서 근무하는 장기요양관리요원의 직무에 대한 인식의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2008년 9월 25일부터 10월15일까지 28개의 노인장기요양보험센터에 근무하는 장기요양관리요원이 응답한 131부의 설문지를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기요양관리요원은 여자가 78.6%로 남자보다 3배 많았다. 연령은 평균 36세였다. 직종은 간호사 51.1%, 사회복지사 45.8%가 대부분이었다. 보건의 료경력은 5년 이하가 32.9%, 사례관리경력은 1년 이하가 78.4%였다. 사례관리중요성은 대상자 전원 100%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2) 장기요양관리요원 임무 인식 결과 중요도가 가장 높은 임무는 모니 터링, 재사정이었고, 가장 중요도가 낮은 임무는 케어플랜 실행이었다. 사례발견, 사정, 협력조정, 자기계발의 네 가지 임무 중에서는 사정이 가장 수행 빈도가 높고, 자기계발이 가장 낮은 수행 빈도를 보였다. 전문가 수준의 가장 높은 임무는 사정, 모니터링/재사정의 순으로 나타났고, 기초 수준의 임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의 필요성이 가장 높은 임무는 모니터링/ 재사정, 자기계발 순으로 인식하였다. (3) 임무에 따른 직무와 구체적 업무 인식 결과 모니터링/재사정에 따른 직 무에서는 서비스 질 관리가 가장 중요하고 난이도 인식이 높으며, 교육의 필 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재사정 직무에서는 중요도, 난이도, 교육의 필요성 인식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사정에 따른 직무에서는 사정결과 기록 이 가장 중요한 직무로 인식하고 수행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우선순위선정 직무는 난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육의 필요성 인식에서도 사정결과 기록, 우선순위선정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건강문제 사정이 상대 적으로 중요도가 가장 낮게 인식되었고, 2차 방문조사는 빈도, 난이도, 교육 의 필요성 인식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4) 일반적 특성별 인식에서는 사정 중요도와 난이도, 케어플랜 수립 난이도, 케어플랜 실행 난이도, 모니터링/재사정 중요도와 난이도, 평가/종결 중요도 와 난이도, 지역사회자원이용 중요도와 난이도, 협력조정 중요도와 난이도, 자기계발 중요도와 난이도, 교육의 필요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다. 사정 중요도와 난이도, 협력조정 중요도와 난이도, 교육의 필요성, 자기계발 중요도는 직종에 따른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사례발견 중요도, 사정 중요도와 난이도, 케어플랜 수립 난이도, 모니터링/재사정 교육의 필요 성, 협력조정 중요도, 자기계발 중요도는 근무지역에 따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사례발견 난이도, 사정 난이도, 협력조정 난이도는 보건의료경력에 따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일선에서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장기요양관리요원들이 노인케어매니저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전문적 역할을 통합한 실무를 위해서라도 실천적 측면의 교육과정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노인 장기요양관리요원의 직무분석-
dc.title.alternativeTask analysis of geriatric care manager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소라-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So ra-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임상간호정보대학원-
dc.sector.department임상사례관리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임상사례관리 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