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0

문화콘텐츠 창작소재로서 '탱고'의 가능성 연구

Title
문화콘텐츠 창작소재로서 '탱고'의 가능성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Potentialities of 'Tango' as Resources for Creation in Cultural Contents
Author
서동호
Alternative Author(s)
Seo, Dong ho
Advisor(s)
박상천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아르헨티나의 대표적인 문화인 탱고를 문화콘텐츠 창작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탱고는 춤과 노래 그리고 음악 등 다양한 측면에서 콘텐츠화 할 수 있는 장르이기 때문에 문화콘텐츠 창작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은 분야이다. 또한 지금의 문화원형개발이라는 한정된 소재 개발에서 벗어나 글로벌화 할 수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정보화 사회 속에서 새로운 산업의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창작소재로 적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탱고의 다양한 영역 중에서 본 논문에서 논의한 것은 댄스 부분이다. 댄스는 영상문명시대로 여겨지고 있는 현대에 가장 부합되는 영역이다. 아울러 탱고를 창작소재로 삼아 콘텐츠화 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영역이 영화이기 때문에 영화〈탱고〉와 〈탱고레슨〉을 주 텍스트로 하여 고찰하였다. 하지만 이 두 편의 영화는 모두 흥행에 실패했다. 반면 비슷한 시기에 국내에서 공연한 뮤지컬은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비슷한 줄거리에 같은 창작소재를 사용했음에도 흥행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전달매체의 특성이 달라서일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탱고를 소재로 한 작품이 영화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창작소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과 이를 활용한 응용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전재아래 기존에 출시된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아울러 여기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영화라는 콘텐츠 속에서 창작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화의 창작소재의 개념에서 볼 때 탱고는 총체적 개념의 창작소재와 삽화적 개념의 창작소재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이야기의 구조와 인물의 관계 그리고 내러티브 등 다양한 방면에서 고찰해야 하는 반면 후자의 경우 탱고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여기서의 상징적인 의미는 탱고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탱고를 소재로 해서 만든 두 개의 작품 모두 탱고에 집착한 작품이다. 다시 말해서 탱고 이외에 다른 내용의 삽화가 들어있지 않다. 영화〈탱고〉는 탱고 영화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이고, 〈탱고레슨〉은 영화감독이 탱고를 배우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이다. 영화 곳곳에 뛰어난 영상미가 있지만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내기에는 부족했다. 이 같은 이유는 영화 속 서 보여주는 댄스의 한계는 첫째로 스크린이라는 간접적인 매체를 통한 춤의 표현이기 때문에 생동감이 없다. 다시 말해 댄서와 관객의 호흡이 일치하지 못하는 것이며, 둘째로 독자가 원하는 장면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이 없다. 현실과 똑같은 공간의 체험이 아닌 조작된 이미지라는 것이다. 셋째로 관객의 기대치에 충족이 되어야 한다. 일반무도장에서 추는 춤의 기대치와 댄스대회장에서 우승을 바라고 보는 기대치는 다르다. 탱고가 창작소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탱고의 춤에서 나타낼 수 있는 창의적 상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탱고의 작품은 바로 탱고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상징적 언어를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상상해볼 때 진정으로 훌륭한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관객과 호흡할 수 있는 영상을 만들고 생동감 있는 춤을 만들기 위한 탱고의 데이터베이스화에 대한 방안도 제안을 했다. 탱고를 창작소재로 하되 현재의 작품처럼 전체적인 흐름을 탱고만으로 이어가는 것은 지극히 위험한 발상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창작소재 속에서 삽화적 창작소재를 적절하게 섞어서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작품에 대한 발상의 근간은 탱고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상상을 통하여 만들 때 보다 대중이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thesis intends to suggest potential ways to utilize Tango as resources for creation in cultural contents. Tango in diverse aspects such as dance, songs or music can be highly valued as cultural property. Additionally, Tango contains greater prospective to be recognized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ccordingly, Tango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resources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at is rising as a trendy paradigm in this knowledge based society. This article focuses on dance amongst Tango’s various perspectives as cultural contents. Dance is again regarded as the most apt ground in modern times which also represents the media era. The thesis studies two movies called and that introduces Tango as the major source. Nevertheless, these two movies were not so successful in terms of the box office profits. On the other hand, a musical performance on Tango that showed in a similar time in Korea made a hit and high profits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the major contribution to the difference in success is the delivery medium albeit the analogous resource and plo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two movie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critical keys to success in a movie, initiating Tango as the major source is to maximiz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ts resource and applications. Furthermore, the article makes suggestions on effective ways to use resources in the view of cultural contents. Tango as creative source in movi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resources in general and resources as a figure. Resources in general take into account a number of aspects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plot, relations of the characters and narratives. On the other hand, resources as a figure are required to emphasize the symbolic meaning which is in collusion with the history of Tango. Those two movies studied in the thesis are both deeply attached to Tango. In other words, the both movies did not include any other figures other than Tango itself. The movie is a story about making a film on Tango and is about a filmmaker learning Tango. There are extraordinary images in the movies, however, they still lack to impress the audience. The foremost reason for the limitation of dance in the movies is that expressions of the dance are restricted. In other words, the audience cannot feel the movement and the dance is not lively. Secondly, the audience is not given any choice to choosethe scenes as the images are intentionally made in the films. Thirdly, the movies are required to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audience. For instance, what is expected from dance from an ordinary club is different from that of professional dancers in the competition. As to apply Tango as creative resources, initially inspired imagination that can be expressed from Tango can be considered. Creation of great work demands wild imagination from a new perspective on diverse symbolic languages of Tango. Further suggestions are made on production of varied images and database of Tango. As pointed out earlier, most movies on Tango until now are heavily dependant upon the dance itself, which can be risky in terms of popularity or success of the movie. It is important to blend resources as a figure within the resources in general for the production of work. The basic notion for work should be derived from the creative thoughts on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ango. This process enables to produce work that gains a higher recognition from the audien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60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1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CULTURE &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