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8 0

공예문화상품의 브랜드디자인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Title
공예문화상품의 브랜드디자인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about brand design development strategy of industrial art culture products
Author
김정엽
Alternative Author(s)
Kim, Jeong Yeop
Advisor(s)
박규원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문화상품이란 인간에게 물질적 가치뿐만 아니라, 감성적·문화적 욕구 역시 충족시키는 폭넓은 의미의 상품 전반을 말한다. 즉, 경제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 속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상품이야말로 진정한 문화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많은 문화상품들은 한국 고유의 유·무형의 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역사성이나 전통적 아름다움과 같은 정신적 가치 속성을 제대로 함유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통문화에 대한 형식적이거나 피상적인 해석으로 독자성이 결여되었다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 측면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어디에서나 유사한 관광 상품(기념품)을 접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해, 한국을 대표할만한 문화상품을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흔히 고유의 전통 문화요소를 응용한다고는 하지만, 겉모양만을 모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외형만을 재현하는 단편적인 상품화의 결과가, 지역을 상징하고 국가를 대표하는 문화상품의 부재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통 공예품이나 민예품을 이용한 관광기념품 등은 그 지역, 더 나아가 한국의 정체성을 세계에 알리는 가장 효과적인 문화상품인 동시에, 전통문화의 계승 및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문화상품의 다양한 가치는 한국적 디자인을 브랜드화 할 수 있는 커다란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상품 브랜드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한국의 성공적 문화상품 브랜드 3개의 브랜드디자인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예문화상품 브랜드디자인에 있어 조형적인 요소는 로고나 심볼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공예문화상품 브랜드디자인의 특성면에서는 심미성이나 독창성보다 전통성을 먼저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지역과 국가를 대표할 수 있는 문화상품의 브랜드디자인은 진정한 한국의 문화상품을 세계화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문화를 하나의 구체적인 상품으로 탄생시킨다는 것이며, 문화적·경제적 부가가치를 높임으로써 국가 이미지 창출은 물론 지역과 국가의 브랜드화에도 한 몫을 할 것이다. 결국, 한국 고유의 문화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를 만들고, 그것을 세계화하는 것이 바로 한국 문화상품의 저변 확대를 가능케 하는 가장 궁극적인 방안일 것이다. 본 연구를 함에 있어, 문화상품 브랜드 개발에 성공한 대표적 사례의 수를 세 가지로 한정할 수밖에 없었던 점은 객관성에 있어 문제점을 노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은 한국의 문화상품 브랜드의 개발이 그만큼 미진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그리고 공예문화상품에 대한 대중적인 인지도 부족으로 인해 설문에 적합한 응답자를 선별하는 부분에서도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문화상품 브랜드의 개발에 있어 대중적인 인지도 역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이 한국 공예문화산업의 발전에 작게나마 기여하여, 한국 고유의 문화와 정체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에 힘이 되길 바란다.; Culture products mean a general commodity with wide meaning that can fulfill a material value as well as an emotional and cultural demand. That is, it can be said that real culture products should satisfy all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nd spiritual values. However, most of many culture products being sold in present markets don't properly include spiritual value characteristics such as historicity that formless and concrete cultural heritages have or traditional beauty. A problem that originality is lacked because of formal or superficial analysis appears in many aspects. Therefore, it is realities that we can see similar travel products(souvenir) anywhere.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easily find cultural products that can represent Korea. Although traditional culture elements of their own are often applied, only outside shape was just imitated in most cases. Results of fragmentary commercialization reproducing only the shape like this causes absence of the cultural products symbolizing regions and representing our country. Travel souvenirs, etc. using traditional art products or folk art articles are the most effective cultural products for informing the region as well as Korean identity to the world,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under this circumstances. This various values of the cultural products provides big possibility that can make Korean-style design to be a brand. Necessity of brand design development of the cultural products was investigated, and three kinds of brand design among domestic brands of successful cultural produ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could be found that logo or a symbol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s a formative element in the brand design of industrial art culture products, and traditionality should be first considered rather than aesthetic property or originality. The brand design of the culture products that can represent a region and a countr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globalizing real culture products of Korea. This work makes culture to be generated as one concrete product, and contributes to national image creation as well as brandization of a region and a country by increasing cultural and economical value added After all, it will be the most ultimate method for expanding a basis of Korean culture products that one brand is made on the base of unique Korean culture and globalized. When preforming this study, it could expose a problem in objectiveness that the number of typical successful cases in brand development of the cultural products was limited to three types. However, it is contrary evidence that th br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cultural products leaves much to be desired. Also, there was much restriction in selecting respondents suitable for a question due to insufficiency of public recognition about industrial art products. It could be found that public recognition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to develop a brand of the cultural products. In spite of the above-mentioned weakness, I hpe this thesis will contribute development of Korean industrial art culture industry even a little, and be useful for informing unique culture and identity of Korea to the worl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60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8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DESIGN(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