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7 0

주거선호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주거선호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according to the Housing Preference
Author
홍우전
Alternative Author(s)
Hong, Woo joen
Advisor(s)
김경숙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정보화시대, 질적 수준의 향상과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주거에 대한 요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주택시장에서 이를 부합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이에 소비자들의 실질적인 요구를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만족시키려는 마케팅적 접근을 통해 주택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소비자 중심 마케팅 개념의 도입으로 주택에 대한 소비자들의 정확한 요구 파악이 필요할 것이다. 소비자의 주거에 대한 요구를 적극적으로 계획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개개인의 가치관이나 라이프스타일의 차이 및 주거 선호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 및 주거선호 특성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주거선호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화를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실증적 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방법으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구체적인 연구목적과 문제를 정하고, 설문지법에 의한 실증적 분석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실증 조사한 총 26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입수된 자료의 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ANOVA 분석, 교차분석 등 통계를 이용한 수량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거선호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개인중심적 편리추구형, 개성적 유행추구형, 가족중심적 웰빙추구형의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개인중심적 편리추구형은 개인 중심적 생활성향이 강한 형으로 인터넷을 통한 정보 수집이 자유로우나 개성표현이나 유행에는 관심이 적다. 미혼, 남자의 비율이 높고 20대 대학재학생에 많이 분포한다. 주택 내 생활은 주로 식사공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각 실별 성격이 뚜렷이 구분된 깔끔한 공간을 선호한다. 시설·설비 측면에서 편리성을 위한 가구배치와 홈오토메이션을 선호하며 실내분위기는 전체적인 통일감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두 번째, 개성적 유행추구형은 패션과 유행에 민감하고 개성을 중시하는 과시적 성향이 강한 형이다. PC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수집 및 활용도가 높고 취미·여가활동에 적극적이며 남과 어울리기 좋아하는 활동적인 성격이다. 성별, 기·미혼별 고르게 분포하며 주로 대졸이상의 학력으로 30대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직업별로 기술직, 전문직에 많이 나타난다. 주택의 경우 편안함 보다는 거주자의 개성이 표현된 독특한 공간을 선호하고 취미활동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원하며 가구나 집기 또한 거주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가족중심적 웰빙추구형은 가족과 가족생활을 중시여기며 가족의 건강을 고려해 자연식품, 무공해식품의 이용이 많은 안정적 성향이 강한 형이다. 여성과 기혼 층의 분포가 높고, 연령층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별로 무직, 자영업에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의 경우 편안하고 안락한 공간이란 인식이 강하며, 남향을 선호한다. 거실은 가족모임과 가사 일을 하는 공간으로 상황에 따라 공간을 분리, 합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구조로 가족이 함께 가사 일에 참여 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공간을 선호한다. 생활하기 편리한 가구배치와 수납공간이 많은 것을 선호하며 실내 장식 면에서 인위적인 것보다 화초나 자연물의 이용을 좋아하고 친환경 소재의 마감을 선호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주거선호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은 각기 독특한 특성으로 유형화가 가능하였으며, 이는 정보화 사회 속에서 여러 사회·환경적 변화와 더불어 나타난 특성으로 주택시장의 마케팅적 접근방법으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특성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요구사항의 파악을 위한 계획지침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advent of information age, qualitative level of life has improved and lifestyle has also changed, accordingly consumers demand various kinds of housing type but it is not sufficient for housing market to correspond to these demands. In order to identify housing demand of consumers and reflect it on the pla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lue of each consumer, difference of lifestyle, housing preference characteristics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is to identify lifestyle types according to the housing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focused on lifestyle, main way of life, housing preference. As a research method, referring to records kept pace with actual survey. As for referring to records,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to specific object and issues, in addition, positive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 was conducted subject to adult male and female above the age of twenty liv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Quantific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nalysis of lifestyle according to the housing preference found three types: individual-oriented convenience-seeking type, marked-characteristic fashion-seeking type, and family-oriented wellbeing-seeking type. First, individual-oriented convenience-seeking type has strong individual oriented lifestyle and is free to collect information over internet, but has little interest in showing identity or new fashion. It includes single male and university students in twenties. Life in housing is mainly done centered on meal space, neat and tidy space where each room has clearly separated characteristic is preferred. As for accommodation, this type prefers furniture arrangement and home automation for convenience, and tends to think much of overall unity in indoor environment. Second, marked-characteristic fashion-seeking type is sensitive to fashion and trend and has a strong showing off disposition which thinks much of each person’s characteristic. PC is living necessaries, and this type shows higher level of information collection over the Internet and usage of the Internet, participates positively in hobby and recreation activities, and has active characteristic keeping good company with others. This type can be seen in both genders, married and single people; however, this type is more in people in thirties who graduated university and over, and more in technical workers and professionals. As for housing, this type prefers unique space reflected their characteristics to convenience, wants to separate space for their hobbies, and likes more furniture or articles showing their individuality. Third, family-oriented wellbeing-seeking type thinks much of family and family life. This type shows stable disposition and uses natural foods and organic foods considering family’s health. This type can be seen more in female and married group, people in older age group, and people in lower academic background. As for occupation, it is more in jobless group and self-employed group. This type of people thinks housing is convenient and comfortable space and prefers a house facing south. As for living room, they think it is not only a space for family together and housework, but also a flexible space which can be separated or unified from state of things, accordingly practical space where everyone can participate in housework is preferred. They prefer convenient furniture arrangement and many storage spaces. As for indoor decoration, they prefer environment-friendly finishing material, and flowers and natural things instead of man-made artificial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ough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according to the housing preference. These characteristics appeared with several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information ag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lanning guide to identify exact demands of consumers based on their lifestyle type through marketing approach of housing marke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6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5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DESIGN(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