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 0

지식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지식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usiness performance effect on knowledge management
Author
박명관
Alternative Author(s)
Park, Myoung Kwan
Advisor(s)
이정연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지식을 조직의 가장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팽배하면서, 조직 내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국내에 지식경영이 도입된 시기가 최근의 일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을 거치지 못한 상태이다. 특히 지식경영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지식경영전략의 수립, 지식자산의 관리, 그리고 지식경영성과와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 활발하게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지식경영 도입전략과 지식자산의 수준, 그리고 경영성과에 대한 인식과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업활동에서 지식자산의 적극적인활용을 중심으로 성공적인 지식경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식화에 대한 인식에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성별, 최종학력, 현재업무부서, 회사업종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정보기술 활용정도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연령, 최종학력, 현재업무부서, 회사업종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적지식자산에서 자기개발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최종학력, 현재직위, 현재업무부서, 회사업종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업무 능력에 대한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령, 최종학력, 현재지위, 현재업무부서, 회사업종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지식자산에서 기업문화인식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연령, 최종학력, 현재 지위, 현재업무부서, 회사업종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프로세스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령, 최종학력, 현재지위, 현재업무부서, 회사업종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도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최종학력, 현재업무부서, 회사업종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조직구성원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연령, 최종학력, 현재지위, 현재업무부서, 회사업종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식경영에 대한 도입전략과 지식경영인식, 지식경영성과 하위요인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 각 하위요인 간에 상관계수는 r=.793 ~ .359로 나타났으며, 전체 하위요인 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이론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 두 가지 측면에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지식경영의 이론적 모형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지식경영의 성공요인인 전략, 지식자산과 경영성과 등을 중심으로 개발된 지식경영의 이론적 모형은 다른 개념적 모형들에 비해서 보다 객관적이고, 현실적이기 때문에 지식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틀을 제시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또한 실무적인 측면에서 볼 때, 기업의 지식경영 도입전략유형과 지식자산의 수준, 그리고 경영성과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국내 기업의 지식경영 추진방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의 실무자들은 본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기업경쟁의 환경여건에 따라 지식경영전략을 수립·도입하며, 또한 지식경영전략 목표에 따라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자산을 중점관리 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기업들은 지식경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There is a tendency that knowledge recognized most important property of organization. So, In organization raised knowledge management of necessity. But, Introd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in Korea is recently, so Korea firms aren't carry out concrete verification. Especially, Korea firms recognize about necessity and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But, establishment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management of knowledge property and study of knowledge adminstration not progress livel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trategic methodology of successful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y acquir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troduction strategy of knowledge management, level of knowledge property and recognition about management result. For accomplishing this This study aims, we set research hypothesis and actual proof analyze this. result of actual pro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Result of difference about general feature of recognition about organization knowledgzation shows different about sex, last academic, business department, types of firms. and result of difference about general feature of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shows different about, sex, age, last academic, business department, types of firms Second, In the property of human knowledge, result of difference about general feature of self-improvement shows different about sex, last academic, position, business department, types of firms. and result of difference about business ability shows age, last academic, business department, types of firms. In the property of constructive knowledge, result of difference about general feature of recognition about culture of firm shows sex, age, last academic, position, business department, types of firms. and result of difference about general feature of process shows age, last academic, position, business department, types of firms. Third, Result of difference about general feature of customer satisfaction shows sex, last academic, position, business department, types of firms. and result of difference about general feature of organization member sex, age, last academic, position, business department, types of firms. Fourth, The results show that correlations among the Introduction Strategy of Knowledge Management, Recognition of Knowledge Management, Knowledge Management Betrieblichkeit. (r= .793 ~ .359)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ustomer Satisfaction and Group Members(r= .793). The low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Level of Organization's Intelligence and Work Performance(r= .359).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oretical standpoint and Practical standpoint. To theoretical aspect, the results would help to develop a model of Knowledge Management. This Knowledge Management Model could be more objective and realistic than other conceptual models. Because of this, the model would suggest some directions of Knowledge Management's study. To practical aspect, analyzing relationships among the Introduction Strategy of Knowledge Management, Level of Knowledge Asset and Betrieblichkeit would indicate that dire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to domestic companies. According to this analysis, staffs of company could improve management results, using by Strategies of Knowledge Management. Accordingly, companies could promote Knowledge Management effectively swell as contribute to develop competitive powe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9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6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