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지성-
dc.contributor.author신진옥-
dc.date.accessioned2020-04-03T16:37:13Z-
dc.date.available2020-04-03T16:37:13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7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476en_US
dc.description.abstract인터넷 및 언론 매체의 급속한 발전은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급격한 변화시켰고, 우리를 정보의 홍수시대에 살게 만들었다.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의미를 부여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가기 위해 정보디자인이란 개념이 학문과 실사에 도입되었다.‘정보디자인이란 사람들이 효율적,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여러 주변 학문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 되어있다. 현대인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생활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이용자들이 해당 공간을 보다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하는 ‘공간정보디자인’이 주목 받고 있다. 주상복합, 지하 공간, 초고층 건물 등의 복잡한 현대도시공간에서 공간정보디자인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지하철 역사, 지하복합공간과 같이 지상의 지리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지하공간에서 공간정보디자인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지하철역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하철역사는 그 특성상 지하공간이라는 한계로 인해 공간정보디자인이 더욱 요구되기 때문이다. 정치, 문화의 중심지이며 환승역으로 유동인구가 많고, 건설시기가 오래된 1ㆍ2호선 시청역을 공간적 대상으로 선택했다. 본 연구는 지하철역사라는 공간에 인간의 공간 인지에 기초하여 지상 공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정보체계와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지심리와 공간정보디자인의 개념과 주요 이론을 살펴보고, 동시에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 주제에 대한 타당성을 파악한다. 기존 지하철역사 내 공간정보디자인을 지하철 이용자 인지 중심으로 분석한다. 우수 공간정보디자인 사례 연구를 통하여 지상과 지하의 공간정보에 대한 인지를 통일할 수 있는 디자인 콘셉트을 제시하고,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2장에서는 인지와 공간정보디자인의 개념과 범위, 원칙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공간정보디자인은 크게 인지지도를 형성하여 현지 위치를 파악하고 목적지로 찾아가는‘길찾기_(way finding)’와 공간의 기능, 특성, 안내 등의 정보를 알리는‘공간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디자인에서 지켜야할 원칙에는 제시된 정보와 실제 공간과의 일치성 , 제공 정보의 유효성, 시각적 표준화, 디자인의 공공성 및 지역 정체성 반영 등이 있다. 3장에서는 도시의 확장과 지하공간의 개발과 특징을 알아본다, 지하철 역사 내 공간정보디자인에 필요한 주요 정보에 대해서 조사하고, 우수사례 비교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 반영해야 할 요소들을 선별 반영한다. 또한, 연구 대상지인 서울 시청역을 지리, 문화, 교통 등 분석하고, 공간정보디자인의 원칙과 주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역사 내 공간정보디자인 사례를 분석한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디자인 콘셉트를 제시한 후 디자인 개발을 수행한다. 디자인 개발은 이용자의 정보 인지와 정보의 유용성을 고려한 정보의 구조화 과정을 거친 후 랜드마크, 3D 입체 기법, 픽토그램, 안내도의 구획화 등을 적용한 안내도를 제안한다. 결론에서는 연구를 통해 얻은 인지와 공간정보디자인과의 관계를 정리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has brought rapid changes in th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lso, because of this, we are living in the Flood of Information.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design is "the process of granting meaning to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information so that people can use them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many fields of philosophies. As the interest in the living space which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people of the modern society increases, the "Space-Information Design" is receiving a plethora of attention which allows users to quickly and readily get information on the specific spaces. The need for space information is increasing in the modern city environment which is crowded with residential-commercial complexes, underground spaces, skyscrapers, and so on. In the underground spaces that cannot attai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ground level, such as the subway stations and underground complexes, the need for space information design is getting larger. The subway stations that have increasing necessities for Space-Information Design due to those nature of being underground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in this paper. The Seoul City Hall Station, the oldest subway line number 1 and 2 are crossed, which is considered a political and cultural center and used by many people was selected for this spatial research.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propose a system and designs that can efficiently inform people about the ground level information, based on those efforts on the cognition of the people in the subway st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objectives, the concepts and main theories of the Space-Information Design and cognitive psychology, as well as the literature study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search topic. At the beginning, we mention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We take a look at the well designed Space-Information Designs to create a concept that can unify the cognition of the space information of the ground and underground level. And we propose a effective design at the last of this chapter. In chapter 2, the scope, the concept of the Space-Information Design and its cognition, and the theorie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were examined. The Space Information Design is creating a recognizable map, therefore allow travelers to find one's current location and find their way to destination (way finding). Also, it is consisted of "Space-Information" which provides the functions, characteristics, and guidances of a particular space. Some of the basic standards that these Space Information Designs need to follow are the accordance of the information and the actual space, validity of the information, visual standardization, public service and acceptance, and location identity. In chapter 3, the expansion of the city and the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ground spaces are examined. The main information that are needed on the space information designs of the subway station was researched and the elements that this research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were selected through analyzing the well produced designs. Also, we analyze the case study of the Seoul City Hall Station such as its geography, culture, traffic, and study about Space-Information Design based on the principles and the fundamental information. In chapter 4, we propose design concepts based on the analyses of chapter 3. The design development will consider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and the cognition by users and then propose the finalized design that includes landmarks, 3D special effects, pictograms, and demarcations. I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we organize the information about the cognition and Space-Information Design that were gathered from the study and propose the direction that the future studies should tak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인지 관점에서의 지하철역사 내 공간정보디자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Designing Space-Information for the Subway Station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on : Focused on Exits at Seoul City Hall Subway Sta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신진옥-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hin, Jin-ok-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디자인대학원-
dc.sector.department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시각·브랜드패키지디자인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DESIGN[E](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DESIGN(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