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9 0

야간경관계획의 현황 및 지침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야간경관계획의 현황 및 지침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Characteristic of nightscape plan
Author
최민아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extension of the daily life cycle within city residents, the interest on nightscape illumination has greatly increased over the past few years. The improvement of night scape illumination is considered an affective and economic method to enhance the nightscape of the downtown. Especially, many European countries have set their master plans for nightscape illumination plans not only for its competitiveness in attracting tourists but also for revitalization of the downtown area. Although recognition on nightscape illumination for cities in Korea has started out with fundamental plan research on nightscape by Seoul local government, it is still at an elementary level. Hence, the present paper contains observations on foreign cases of night scape plans, thereby focusing on its contents and plans. The comments on such observations from professionals were brought into perspective for analysis. In addition, the guidelines for plan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each item, contents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night scape plans by domestic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items of foreign cases and precursory researches, the plan was able to be divided into connection to the upper plans, classification of sceneries, and detailed guidelines. The classification of sceneries was divided again into classification methods and contents levels of the plan. Also, detailed guidelines was categorized into contents of specific guidelines for illumination, classification and standards of target facilities for illumination installations.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n opinions in relation to differences in groups and field of expertise among professionals regarding each contents and items of the plan, Chi-square test and frequency analysis were used to carry out crosstabulation analysis. Most of the professionals agreed on the necessity of night scape plans. Also, they claimed the adequate classifications for sceneries should be done in three levels- restricted/general/recommended areas, and should also be divided accordingly to the visual distance. The facilities which must be restricted in the usage of illumination within the restricted and recommended areas were found to be buildings and outdoor billboards. Based on the responses, the permitted facilities within restricted areas were found to be roads, streets and cultural properties. Such result differentiated between each groups and professional fields. Public structures, cultural properties and buildings were all recommended at similar levels within the recommended areas for night scape. This evidently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perspectives of professionals in choosing recommended facilities. Thus, it will be essential to adjust the opinions among groups and professional fields when a plan for nightscape is to be set in the future. Last but not least, the plan guidelin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each item, contents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nightscape plans by domestic local governments.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divided scenery types by downtown area or fields/axis of the region, and content level of the guidelines for plans merely contained general description for many local governments. Several local governments have chosen to use the illumination standards provided by CIE(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and KS(Korean Industrial Standards). However, most of the governments have not yet chosen specific standard within their illumination guidelines. As a result, cities of Anyang, Seoul, and Changwon were highly evaluated. Meanwhile, the cities which did not suggest specific details such as classification of sceneries, specific illumination guidelines, and classification of facilities for installation of illuminations were graded low level. During the present research, foreign nightscape plans and precursory researches were used to analyze the contents and items of guidelines within the night scape plan. In addition, professional groups have given comments on the contents of the guidelines.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guidelines for plans were observed based on the analysis on importance of contents and present conditions of the nightscape plans by domestic local governments. With such data, it will be able to suggest adequate contents and items which must be included within the plan in the future.; 도시민들의 활동시간이 야간으로 연장되면서 야간경관조명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야간경관조명의 개선은 도심의 매력을 증대시키는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이라고 인식되어 특히, 유럽의 많은 도시들은 주변 도시들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뿐 아니라 도심재생 목적으로도 도시의 야간경관조명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우리 도시의 야간경관조명에 대한 인식은 서울시 야간경관 기본계획 연구로 본격화되었지만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외 야간경관계획의 사례연구를 통해 구성내용과 계획항목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의 계획 지침의 구성내용에 대한 의견들을 모색하였다. 또한 국내 지자체 야간경관계획 지침의 현황과 구성내용 및 항목들의 중요도를 통해 계획 지침을 평가해보았다. 국외 야간경관계획 사례와 선행연구를 통해 구성내용 및 항목을 살펴본 결과, 상위계획과의 연계, 경관의 유형 구분, 세부가이드라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경관의 유형 구분은 다시 경관의 유형 구분 방법과 계획의 내용적 수준으로 구분되었으며, 세부가이드라인은 세부 조명지침의 내용, 조명설치 대상 시설의 분류 및 기준 제시의 내용으로 분류되었다. 야간경관계획지침의 각 구성내용 및 항목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과 집단과 전문분야별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대다수가 야간경관계획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야간경관계획 시 적절한 경관의 유형 구분은 시점거리에 따른 구분과 야간경관 억제/일반/권역구역의 구분이라고 나타났다. 야간경관 억제구역, 권장구역에서 규제가 필요한 시설은 옥외광고물과 건축물로 나타났다. 야간경관 억제구역에서 허용해도 되는 시설은 전체응답 결과, 도로 및 가로시설과 문화재로 나타났고, 이는 집단 간과 전문분야간의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야간경관 권장구역에서 권장해야하는 시설은 전체응답 결과, 토목구조물과 문화재, 건축물 모두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다. 이는 권장해야하는 시설에서의 집단 간과 전문분야간의 인식차이를 보여 차후 야간경관계획을 수립할 시 각 집단과 전문분야간의 의견조절이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국내 지자체 야간경관계획의 현황분석과 계획지침의 구성내용 및 항목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통해 국내 지자체 야간경관계획지침을 평가하였다. 지자체 대부분은 거점 및 권역/축에 의한 구분으로 경관을 유형화하였으며, 계획 지침의 내용적 수준은 개괄적 서술로 이루어진 지자체가 많았다. 몇몇의 지자체는 국제조명위원회(CIE)와 한국산업규격(ks)의 조명기준을 적용하였지만, 대부분의 지자체는 조명지침의 구체적인 수치지표에 대해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그 결과 안양시, 서울시, 창원시가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명확한 경관의 유형 구분과 세부 조명지침의 내용, 조명설치 대상 시설의 분류 및 기준의 구체적 제시가 부족한 대구시, 광주시 등은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국외 야간경관계획의 사례와 선행연구를 통해 야간경관계획 지침의 구성내용 및 항목을 파악하고 전문가들의 구성항목에 대한 의견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국내 지자체 야간경관계획의 현황과 구성항목의 중요도 분석을 통해 지침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추후 야간경관에 대한 계획을 수립 할 경우 포함되어야 할 구성내용과 항목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7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34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