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9 0

인지특성을 고려한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Title
인지특성을 고려한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streetscape considering the cognition characteristics structure : A case on Samcheongdong street
Author
서유진
Alternative Author(s)
Seo, Yujin
Advisor(s)
박진아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Although there are various developments ongoing for vitalizations of streets and neighborhoods, such developments have rather created uniform designs and development methods which failed to adequately reflect the identity of the target districts. Hence, the present research intended to study re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visual preferences of pedestrians on Samcheong-Dong Street, which is used by various people, by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factors and visual preferences according to recognitive characteristics within pedestrians. In addition, physical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recognized while walking on Samcheong-Dong Street were analyzed using visual preferences, thereby deduc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amcheong-Dong Street. The summary of the analysis and results are written in the following, The first, In order to find recognitive differences and preference patterns for physical factors on the stree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pedestrian,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recognitive differences in several physical factors according to the pedestrian characteristic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found in visual preference, thus proving that preference pattern is similar for each pedestrian characteristics. The second,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on physical factors of streetscape which affect visual preferences and impressive factors among physical factors selected by pedestrians, alleys, stairs and traditional buildings were chosen as important factors in both visual preferences and impressiveness. However, when these objects are set aside, it is evident that factors affecting impressive physical factors and visual preferences of Samcheong-Dong Street are unique in every way. Although impressive physical factors of Samcheong-Dong Street remains within memories of pedestrians as factors itself,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se factors did not develop into favorable visual impressions. On the other hand, trees, flowers, modern constructions and other various physical factors are not very much of impressive factors, but they have greatly influenced Samcheong Dong Street to be remembered with favorable visual image. Thus, since alleys, stairs and traditional constructions are considered impressive physical factors and are directly affecting visual preference, the management on such structures would be essential. Also, the alternatives and methods to improve preferences of impressive factors which do not have a great effect on visual preference must be suggested. The third, 27 pairs of adjectives on image were used to find out the image of Samcheong-Dong Stree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to find out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ffect visual preferences. From such analysis, it was found that distinctive factor was the variance with greatest influence in preferences, and harmonious comfort, traditional elegance, friendliness, psychological factor, and humane factor -listed in degree of influence, have shown to influence preferences as well. Finally, logit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the influence which psychological factor on 'street' had on the image of Samcheong-Dong. The result showed that psychological factor and friendli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lection of pedestrians when revisiting. Hence, it is believed that an initiative plan is necessary to satisfy both image factor and physical factors related to it in order to bring positive result for the environment of Samcheong-Dong Street in the future. The present research is significant for the fact that it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ve characteristics(perception, cognition on streetscape) and visual preference(attitude) in find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amcheong-Dong Street.; 가로나 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그 지역만의 정체성을 파악하지 못한 획일적인 디자인과 개선방법으로 오히려 가로나 지역의 획일화를 초래하거나 기존 이미지와 다른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삼청동 길을 이용자 특성별로 인지하는 물리적 요소와 시각적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삼청동 길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인지특성과 선호패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삼청동 길에서 인지되는 물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인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 분석을 통해 삼청동 길이 갖는 지역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특성 별 가로경관의 물리적 요소에 대한 인지의 차이와 선호패턴을 알아보고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이용자 특성에 따라 몇 개의 물리적 요소에서 인지하는 차이가 있었다. 반면 시각적 선호도는 차이가 없어 이용자 특성 별 선호패턴이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삼청동 길 가로경관의 물리적 요소에 대한 이용자들의 가장 인상적인 요소와,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경관의 물리적 요소를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골목 및 계단과 전통 건축물 요소는 삼청동 길 가로 경관에 있어 인상적인 요소이면서 동시에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물리적 요소를 제외하면 삼청동 길의 인상적인 물리적 요소와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전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삼청동 길의 인상적인 물리적 요소는 그 자체로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기는 하나, 그것들이 시각적인 좋은 느낌으로 발전하지 않았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반면 가로수 및 화분, 현대건축물 등과 같은 물리적 요소는 매우 인상적인 물리적 요소는 아니나, 삼청동 길의 시각적인 좋은 느낌을 갖게 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삼청동 길은 골목 및 계단, 전통 건축물이 인상적인 물리적 요소이며 시각적 선호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더욱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인상적인 요소이지만 시각적 선호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소에 대하여 선호도를 증가 시킬 수 있는 대안과 방법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27개의 이미지 형용사 쌍을 이용해 삼청동 길의 이미지를 알아보고,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개성적 요인이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화로운 아늑함, 예스러운 풍취, 정다움의 요인, 심미적 요인, 인간미적 요인의 순으로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로에 대한 심리적 요인이 삼청동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삼청동의 분위기를 고려하여 방문여부를 선택할 때 심미적 요인과 정다움의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향 후 계획 시, 삼청동의 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두 가지의 이미지 요인과 그와 관련된 물리적 요소를 고려한 적극적인 계획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인지특성(가로경관에 대한 지각·인지반응)과 시각적 선호도(태도)의 관계를 통해 삼청동 길의 지역성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7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4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조경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