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1 0

보행가로의 경관 인식에 따른 보행자 체감이동시간에 관한 연구

Title
보행가로의 경관 인식에 따른 보행자 체감이동시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n Pedestrian Cognitive Time by Pedestrian Street Landscape Cognition : with focus on the 'Commercial Street' in Seoul
Author
이용원
Alternative Author(s)
Yi, Yong Won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과학과 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이동수단을 창출하고 있으며 쾌적성과 기능성에 중점을 둔 많은 연구와 기술적인 진보는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교통수단의 진보가 먼 거리의 이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는 있지만 모든 이동에 있어서는 보행이 반드시 수반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즉, 이동거리의 극복을 위해서는 이동수단의 가장 기본인 보행에 의한 이동거리의 극복이 필수적인 것이다. 물론 실제로 걷는 거리를 단축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실제 거리를 줄이지는 못하더라도 체감인지시간을 짧게 느낄 수 있는 보행공간을 조성함으로서 보행거리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 본 연구는 같은 연장의 거리이지만 체감인지 시간은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체감인지에 영향을 많이 주는 인식요소들을 파악하여 차후 가로경관 조성에 그 시사점을 주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우선 이론고찰을 통하여 경관인식 및 환경심리학에 관하여 알아보고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여 차별성을 갖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예비조사를 통하여 분석의 대상지를 선정 및 유형화를 실시하고 경관형용사와 물리적 지각 요소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체감 보행실험과 7단계 구별척의 SD법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설문을 통하여 대상가로에서 보행자가 느끼는 가로경관의 경관 인식과 그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지각 요인은 무엇이 있는지와 경관 인식과 보행의 체감인지 시간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가로의 이용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 대로변의 업무형 가로는 30대 남성의 일반 직장인이 가장 많은 이용 빈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압구정로는 업무와 상업 및 주거지역 등 다양한 용도가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보행자의 남녀 비율이 비슷하며 20대와 30대가 가장 많기는 하지만 전 연령층이 모두 고르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학로 상점가의 경우는 20대의 학생이 가장 많이 이용을 하고 있으며, 특히 서대문구의 명물거리는 상업이 활성화가 잘 되어있어 외부지역의 사람들(특히 여성)도 많이 찾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로에 대한 심리적 느낌을 나타내는 경관형용사를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주성분 요인을 알아본 결과, 15개의 경관형용사가 각 가로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흥미성, 안정성, 심미성, 개방성, 활동성 등의 4~5개의 유형으로 묶였다. 셋째, 가로의 경관 인식과 상관성이 높은 물리적 지각요소 역시 각 대상지마다 각 유형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우선 흥미성에는 보행밀도와 공개공지, 간판 및 게시판과 저층부 용도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성에는 가로폭과 가로수가 연관이 있으며 심미성에는 가로수가 가장 연관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방성과는 가로폭과 건물높이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활동성에는 가로의 노점상과 저층부용도 그리고 보행밀도가 가장 많은 연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가로의 경관 인식과 체감인지 시간과의 관계는 각 가로마다 체감인지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유형은 모두 4~5개의 심리이미지 주성분 중 2~3개 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즐거움, 볼 것이 많음, 활기참 등의 요인으로 이루어진 흥미성은 4개의 가로 모두 체감인지 시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외에는 심미성, 기능성, 안정성, 활동성, 매료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정성은 체감인지 시간과의 관계에서 음의 관계를 보여줌으로서 가로에서 편안하고 쾌적한 이미지가 강해지면 체감시간은 오히려 길어지게 느낀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상지 4개 모두 흥미성이 가로의 체감인지 시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따라서 체감인지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로에 흥미성을 부여할 수 있는 요소들을 계획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서는 상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듯이 ‘간판 및 게시판, 저층부 용도, 보행밀도’ 등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apid development of today's science and technology creates diverse moving means capable of being easily and conveniently used, and many studie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focused on comfortability and functionality have been continued. However, advancement of the traffic means plays an important role for long distance movement, but it shouldn't be overlooked that walking is essentially accompanied in all movement. That is, conquest of moving distance by walking that is the most basic movement means is essential to overcome the moving distance. Of course,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shorten actually walking distance. However, although we cannot reduce actual distance, there is possibility that can overcome walking distance by forming walking space that can make people feel that sensory recognition time is short. The present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oint that the sensory recognition time appeared differently although it has the same distance.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was progress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ormation of a street scene in the future by grasping recognition elements giving much influence to sensory recognition. The present study was progressed as follows. First of all, scene recognition and environmental psychology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were sought by viewing previous studies. Second,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object land to be analyzed through previous investigation were carried out, and scenic adjectives and physical sensory elements were selected. Finally, a sensory walking test and questions of the SD method of a differentiating scale with 7 steps were executed. It was grasped through the questions about what street scene recognition that pedestrians feel in the object street and physical sensory factor affecting the image are. Also, it was investigated about scene recognition and the sensory recognition time of walking. The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users of each street, the business type street near large roads showed that general male workers in the thirties have the most use frequency. Also, since diverse applications such as business, commercial and housing regions are distributed in the Abgujung Street, it showed that a female and male ratio of pedestrians was almost same and all-aged classes use it equally although people in the twenties and thirties are the most. On one hand, it showed that students in the twenties used the shop street in the University road the most, and people(especially, women) living in an outside region visited a lot because commercial business is well activated at the famous street in Seodaemun-gu.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main component factors by performing factor analysis the scene adjectives showing psychological feeling about the street, fifteen scene adjectives were classified as 4-5 types such as interest property, stability, aesthetic property, openness and active property, although the adjectives have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street. Third, physical sensory elements having high correlation with scene recognition of the street also ha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spective object location and the respective type, but they showed similar results. First of all, the interest property showed the closest relations with walking density, opened public land, an advertising board, a notice plate and use of a low floor part. Also, it showed that the stability is related with street width and street trees, and the street trees affect the relations with the aesthetic property the most. Also, it showed that the openness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street width and building height, and the active property has the most relations with a stall trader in the street, use of the low floor part and the walking density. Finally, it showed that about 2-3 types among main components of psychological images of 4-5 affects the sensory recognition time per each street in relations between the scene recognition of each street and the sensory recognition time. Especially, it appeared that the interest property consisted of factors such as pleasure, a lot to see, liveliness, etc. affects the sensory recognition time of all 4 streets. However, it appeared that the aesthetic property, the functionality, the stability, the active property and charming property, etc. except it. Especially, since the stability shows negative relation in the relation with the sensory recognition time, it appeared that people feel sensory time longer on the contrary if a comfortable image gets stronger in the street. It was analyzed that the interest property in the 4 object land largely affect the sensory recognition time of the street through the present study. Accordingly, it could be known that elements giving the interest property to the street should be planned to reduce the sensory recognition time, and it is judged that consideration about 'an advertizing board and a notice board, use of the low floor part and walking density' should be performed like it is deduc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thi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1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조경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