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3 0

도시공원녹지의 가치계획적 접근 모형 연구

Title
도시공원녹지의 가치계획적 접근 모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del of Value Planning approach on Urban Green and Park Planning : Focused on the Green and Park Planning of Namhae city
Author
홍석형
Alternative Author(s)
Hong, Seok Hyoung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tructure of Modern urban society have been changed industrial structure to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f these distinctive qualities of industrial society is to accelerate functional mass production,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s to manage stream and variation importantly, it has also changed to the direction of chasing down environmental, esthetical value. In the recent 10 years, development of city environment and commerce space have a good few expanded, normal access like in the past is no more way. Change of the time need for more intensity, elaborateness, strategic access in the city space. Many cities in the world have desperately inrush into limitless competition for finding their true character. Cities want to get individual character brand to invite investment and get people together. A time-honored tradition and history of city make new brand, industry and culture also make special brand. In other words, modern times, city space is putting emphasis on qualitative value, no more quantitative things, and it’s taking on an aspect that is concentrating on attitude about location, modern memories. Moreover, the space in the city is not only the meaning of functional space, but alsothe space where people learn, enjoy as various experiences. In this study, reflects the aspect of modern society that changed rapidly, in response to the theory and case of value planning can be applied to the green and park planning for the purpose of new change of urban green and park planning cope with positively. From this, it’s important that the approach and practice direction under case studies try to find the value planning’s factor and strategy are combined with design practically. In this study, urban green and park planning’s concept and contents considered that access to the value planning but also trends in theory and meaning are connected with urban ecological network. And on the basis of this, Search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cepts also it has been considered about value planning contents and the main features. Besides, case study on the regions research, contrast and analysis to access the value planning of urban green and park planning. On the basis of existing a trend in research, related theory and case studies to access value planning of urban green and park planning develop for this research that constitutes, concrete approach and others. From this, focused on the green and park planning of Namhae city, for urban green and park planning’s value planning apply to design process and direction with variety practical technique and strategy. Value planning of urban green and park use the location that are like library or art gallery, etc.. many kinds of places for citizen together with IT and BT and together with local resident variety economical, social-cultural value progressed in green and park space is in charge of space, mall of large-scale, fashion and commercial facilities with hybrid park. From this, strong attraction and hybrid park with variety hardware or software artistic activities feel like delicate artistic value of new aspect that as aesthetic space meaning. As this plan for value planning of urban green and park, urban,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but also together with space-marketing that makes variety supply, production and psychology in a park and understanding users desire and park satisfaction increased also as variety software program factor or sustainable management control managed to importantly.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trend of worldwide urban green and park planning which are changing. It is new terminology and concept, new approach or concept as like value planning of urban green and park planning. It clear up again and reconstruct our urban green and park spaces. It is meaning of pioneering research that give value of space to new paradigm. But from now on, legalistic improvement about the limit of this research, various theoretical, practical following studies will be continue.; 현대의 도시사회구조는 과거 산업구조 사회에서 지식정보화 사회로 전환되었고 이러한 산업사회의 특성이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기능성, 연속성 등을 가속화시켰다면, 지식정보화 산업사회의 특징은 흐름과 변화를 중요하게 다루고 또한 환경적, 심미적 가치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10여 년 동안 도시환경 및 상업공간의 전개방향은 상당한 수준으로 팽창 및 성숙되어왔고 과거와 같은 평이한 방식의 접근은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되었다. 시대의 변화는 도시공간으로 하여금 보다 치열해지고, 세밀해지고, 전략적으로 접근하기를 요구하고 세계의 여러 도시들은 치열하게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무한경쟁체제에 돌입했다. 투자를 유치하고 사람들을 불러 모으기 위하여 도시들은 각 도시만의 개성 있는 브랜드를 가지고자 한다. 도시의 오래된 전통과 역사가 브랜드를 형성하기도 하고, 산업과 문화가 브랜드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즉, 현대사회는 이제 도시 공간이 양적인 것에서 벗어나 질적 가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장소성과 근대의 기억을 존중하는 태도에 집중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도시 내의 공간은 단지 기능적 장소의 의미 뿐 만 아니라 사람들이 체험하고 즐기기 위한 다양한 경험으로서의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양상을 반영하고 공원녹지의 새로운 변화에 적극 대응해 나가고자 도시공원녹지에 적용 가능한 가치 계획의 이론 및 틀을 적립해나가고 이를 통하여 도출된 가치계획의 요소와 전략을 실천적으로 디자인에 접목시키기 위한 접근방법과 실천방향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녹지의 가치 계획적 접근을 위하여 도시공원녹지계획의 개념과 내용을 고찰하고 도시생태네트워크와 관련한 이론적 흐름과 의미, 구축과정 및 방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여 도시공원녹지 가치계획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가치계획의 내용과 주요 특징에 대해 고찰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도시공원녹지의 가치 계획적 접근을 한 해외의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여 가치계획을 위한 골격적 요소와 접근방법을 모색하고 기존의 연구동향과 관련 이론, 사례고찰을 토대로 하여 도시공원녹지의 가치 계획적 접근을 위한 구성요소와 구체적인 접근방법 등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틀을 개발하였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사례지인 남해군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천적 기법과 전략을 가지고 도시공원녹지의 가치계획을 위한 디자인 방법과 방향을 적용해 보았다. 도시공원녹지의 가치계획은 공원 내에 도서관이나 예술관 및 아트겔러리 등 다양한 시민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수용하는 장소, IT와 BT가 혼용되어 지역주민과 더불어 공원녹지 공간 내에서 기능을 담당하는 장소, 대규모 몰이나 패션 그리고 상업시설이 공원 내에 혼재되어 다양한 경제적, 사회문화적 가치를 향상하며 강력한 집객력을 보이고 다양한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예술 활동이 공원과 결합되어 공원의 섬세한 예술적 가치가 느껴지는 심미적 장소로서의 의미 등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도시공원녹지의 가치계획을 위한 방안으로서 도시, 조경, 경관, 건축 뿐 만 아니라 이용자의 욕구와 심리를 이해하고 공원만족도를 증대시켜주면서 공원 내에 다양한 공급과 생산, 소비가 이루어지는 스페이스 마케팅(Space Marketing)의 결합과 더불어 다양한 소프트웨어(Software)로서의 프로그램적 요소 및 지속가능한 운영관리측면 또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세계의 도시공원녹지의 흐름을 인지하고 도시공원녹지의 가치계획(Value Planning)이라는 새로운 용어와 개념, 새로운 접근방법 및 논리로서 우리의 도시공원녹지공간을 재조명, 재구성하고 공간의 가치를 새로운 패러다임의 의미로서 부여해 보는 선구적 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니지만 앞으로 본 연구의 한계에 대한 법적개선과 더불어 이와 연계된 다양한 이론적, 실천적 차원의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6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03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조경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