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8 0

시민과 주민의식에 기초한 역사적 생활환경의 보전가치 평가

Title
시민과 주민의식에 기초한 역사적 생활환경의 보전가치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Conservation Value on Historical Environment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Citizen and Residents : A Case Study of Han-ok Residential Area, Seoul
Author
전병혜
Alternative Author(s)
Jun, Byung-Hye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nservation value about historical living environment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citizen and residents.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difference and the impact factor between the consciousness of citizen and residents. For that, it carried out an analysis as follows; i) a questionnaire on the conservation of the Han-ok(Korean-style house) residential area, ⅱ) the economical evaluation on the conservation value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ⅲ) analysis of the impact factors on the conservation valu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inary Logit Model. As the result, first, the majority of the citizen is hoping to the conservation of the Han-ok residential. Namely, it showed that citizens to participate in conservation programs is expected to be higher. Meanwhile, citizen's recognition on conservation value as streetscape and heritage, public property were low. And impact factors on conservation value of Han-ok are income and age of citizen, recognition and images of Han-ok. Thus, it need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Han-ok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ly, the conservation consciousness of residents were somewhat lower than citizen's one. Especially less than half residents in redevelopment planned area had agreed to conservation. And impact factors on conservation value of Han-ok were residents' income, whether the realization of conservation policy, satisfactio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f it is given to support a repair for internal environment, most residents trend is high in order to agree to conservation. There is possibility for consciousness regarding a Han-ok maintenance of residents grow gradually. It is to be able to confirm that enlarged policy for conservation of Han-ok is able to collect an effect. Therefore, various policies to raise conservation cooperation of residents shall be provided. For example, it keep symbolic environment of Han-ok, and it is work improving conveni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outdoor environment. Third, this study compared the conservation value of a citizen and a resident, up to now maintenance consciousness of a citizen and a resident was confirmed to things with differences. Because, residents are as trend to be aware of a Han-ok residence as private property is high. However, we shall raise conservation consciousness of residents with the levels that citizens think in the future. The reason is as it cannot lean success of Han-ok residence conservation policy without cooperation of the resident who is an owner of Han-ok. Finally, this study can get several meaning through analysis as above. 1) We shall continuously open a process of conservation policy to general citizen and residen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hat can exchange opinion of residents so as to be able to lead participation of residents. 2) We have to organize role and duty of various action subjects(the center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 a specialist, a citizen, a resident) to be related to a conservation of historical environment and a conservation system. And we have to inform to the general public. We have to create the environment that a citizen as the master of life of the environment that we are living can participate spontaneously in as the subjects action a conservation.; 본 논문은 역사적 생활환경으로서 한옥주거지에 대한 보전의식을 고양하여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시민과 주민의식을 기초로 하여 보전가치를 실증적으로 평가하고, 시민과 주민들의 보전의식의 차이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이다. 한옥주거지의 보전에 관한 시민과 주민의 보전의식을 각각 조사하여 CVM을 이용하여 보전가치를 평가하고, 구조방정식모형(SEM)과 이항로짓모형(BLM)을 이용하여 보전가치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의식에 기초하여 한옥주거지의 보전가치를 평가한 결과, 시민들의 한옥주거지에 대한 보전의식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보전활동에의 참여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그러나 보전가치의 유형별 중요도 평가결과, 공공의 자산으로서의 보전가치에 대한 인식은 저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민들이 평가한 한옥주거지의 보전가치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개인속성에서 소득과 연령대, 한옥주거지에 대한 현상인식과 이미지가 정(+)의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한옥주거지의 상징적 환경의 이미지, 주거편리성에 대한 이미지, 한옥에 대한 이해도 등을 높이기 위하여 물리적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고, 이와 함께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한옥에 대한 정보제공과 홍보 및 교육 등이 한옥주거지의 보전가치를 높이는 데 일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민의식에 기초하여 한옥주거지의 보전가치를 평가한 결과, 주민의 경우 시민들에 비해 다소 낮은 보전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들의 경우, 소득이 높고, 정책이 실현되었던 북촌 지역에서 거주하는 주민일수록, 거주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보전에 동의하는 경향이 높았다. 한편, 보전을 반대한 소수의 주민들은 재산권 침해에 대한 보상, 주차공간의 확충, 가로환경의 정비 등이 해결된다면 한옥보전에 동의하겠다고 하였지만, 주민들의 대다수는 ‘내부수리비의 지원’과 같은 주거환경을 개선하면서 한옥을 보전하는 것에 관심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주민들의 한옥보전에 관한 의식이 점차 성장할 가능성이 있고, 한옥보전의 확대정책이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주민들의 보전정책에 대한 협력을 높이기 위하여, 한옥의 상징적 환경을 유지·관리하고, 거주환경 및 옥외환경의 편리성을 개선하는 등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민과 주민의식에 기초하여 한옥주거지의 보전가치를 평가한 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시민과 주민의 보전의식은 현재로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민들의 경우 사유재산으로서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한옥주거지의 보전의식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향후에는 주민들의 보전가치를 시민들이 생각하는 가치수준, 그 이상으로 끌어 올려 시민과 주민의 보전의식의 차이를 줄여야 할 것이다. 한옥주거지의 실제 소유주가 되는 주민의 보전협력 없이는 한옥주거지 보전정책의 성공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한옥주거지에 대한 보전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옥주거지와 관련된 보전정책의 과정을 일반시민과 주민에게 계속적으로 공개하고, 주민들의 보전협력을 유도할 수 있도록 주민들의 요구와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역사적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 다양한 보전활동의 주체-정부, 지자체, 전문가, 시민단체, 시민(주민)-의 역할과 의무, 그리고 보전활동의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체계화하여 이를 알릴 필요가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 환경의 삶의 주체로서의 시민(주민)이 보전과 계획의 주체로서, 스스로 기능할 수 있도록 시민과 주민의 요구가 반영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6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3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MANAGEMENT(도시개발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