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제무-
dc.contributor.author하오근-
dc.date.accessioned2020-04-03T16:36:03Z-
dc.date.available2020-04-03T16:36:03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55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593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초 록 도시의 주거지역과 관련한 새로운 계획 패러다임은 보행중심, 대중교통중심, 친환경을 고려한 가로망설계와 같은 관점으로 변하고 있으며 이는 쾌적한 주거환경 창출이라는 의미에서 중요하다고 본다. 현재까지 주거지역 가로망은 도로의 이동성 및 효율성 위주의 평가에 그치고 있으며, 주거지역 주민을 위한 가로망 평가지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이라는 사회적 패러다임에 의해 시행되는 다양한 도시개발사업에서 주거지역의 가로망을 평가하기 위한 통합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가로망 통합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크게 3가지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새로운 계획패러다임을 반영한 주거지역 가로망 평가지표와 관련된 기존연구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가로망 통합평가지표 도출을 위하여 1, 2차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평가지표 항목결정 및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연구를 통한 가로망 평가지표의 검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로망 통합평가지표의 실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주거지역의 간선․ 보조간선도로와 대중교통에 해당하는 지구간 가로망보다는 집산․ 국지도로와 보행자도로, 자전거도로에 해당하는 지구내 가로망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지구간 가로망에서는 대중교통 보다는 도로망이 지구내 가로망에서는 보행자도로, 자전거도로, 도로망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가로망 통합평가지표의 실효성을 살펴본 결과 기존 가로망 평가지표에 의한 평가결과와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주거지역 가로망 평가시 이용자관점에서의 평가지표(안전성, 쾌적성, 편의성)을 고려한 가로망 평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주요어 : 주거지역, 새로운 계획 패러다임, 가로망, 통합평가지표-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주거지역 가로망 평가를 위한 통합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Evaluation Criteria for Road Networks in Residential Area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하오근-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a, Oh ke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도시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개발경영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