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8 0

朝鮮 後期 漢陽의 園林에 관한 연구

Title
朝鮮 後期 漢陽의 園林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ivate Garden in Hany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
정봉구
Alternative Author(s)
Jeong, Bong Gu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를 통하여 조선 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들의 도시문화가 한양 원림의 구성요소와 특성에 반영되었음을 규명하였다. 우선 조선 후기 한양 원림의 형성배경으로서 도시문화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당시 경화사족들은 사가원림을 조영하고 고동서화와 화훼취미를 즐기며 아회(雅會)를 열어 이를 매개로 교유하였다. 이러한 취미는 조선 초기 왕족과 공신들에 국한되었던 것이 조선 후기에는 경화사족은 물론 중인계층인 여항인에게 까지 파급되었다. 또한 전시대 사림들은 ‘완물상지(玩物喪志)’라 하여 꺼리던 것으로 성리학의 권위가 무너진 조선 후기의 현상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조선 후기 한양에서 고동서화․ 화훼 같은 고급스럽고 소비적인 문화가 유행하게 된 데는 대동법의 전국시행 이후 상품․ 화폐경제로의 전환과 도시의 발달 등이 배경이 되었다. 또한 사환생활이나 성리학적 명분의 구속에서 벗어난 경화사족들이 문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탈속과 아취가 나타나는 생활양식에서 찾은 것도 관련이 깊다. 이는 당시 청과의 교역을 통해 활발히 유입되던 명말청초 강남의 문인문화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조선 후기에 유행한 고동서화와 화훼 및 아회는 도시문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경화사족 원림에서 중심활동으로 자리매김하면서 한양 원림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였다. 즉 고동서화를 위한 시설의 등장과 화훼 재배 및 아회를 위한 공간의 마련 등이다. 다음으로 경화사족의 원림기(園林記)와 의원기(意園記), 원림도(園林圖) 및 유서(類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분석하여 도출한 조선 후기 한양 원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채 영역에는 채소 나 약초를 재배하는 실용적인 텃밭을 마련하였다. 이는 전답소유가 제한적인 도시의 생활에 맞춘 것이다. 바깥채에서 사랑채로 진입하는 입구에 취병 등을 두어 외부와 차단하는 것도 특징이다. 둘째, 사랑채 영역이 분화하면서 실내아회를 열 수 있는 접빈시설과 고동서화의 수장․ 감상을 위한 시설이 마련되었다. 특히 장서각(藏書閣)은 중국식 벽돌구조를 채용하여 청의 발달된 문물에 대한 경화사족들의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사랑채 앞마당은 국화․ 파초 등의 화분과 석연지, 괴석, 매화․ 벽오동 등으로 구성하여 문인의 아취를 표현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청과의 교류를 통해 유입된 강남문인문화와 관련이 깊다. 또한 당시 한양에 고동서화와 화훼를 위한 시장이 형성되었기에 가능하였다. 셋째, 후원․ 별원 영역에는 각종 화훼와 소나무․ 대나무, 지당, 괴석 등으로 구성하고 아회를 위한 마당을 마련하였다. 누 및 정자, 대 등의 시설을 조영할 때에는 고사나 시문을 표현하도록 주의 깊게 재료를 선택하고 식재를 배치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같은 고동서화의 감상과 품평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때 중국의 경우 입식생활에 맞추어 다양한 가구를 활용한 데 반해 우리의 경우는 대 혹은 마당에 자리를 펴고 좌식생활에 맞추어 낮은 가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제시한 조선 후기 한양 원림의 구성요소와 특성은 향촌 원림 및 전시대 별서원림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추후 보완할 계획이다. 명말청초 강남문인원림과의 영향관계는 교류사적인 측면에서 더욱 보완해야할 과제이다. 또한 원림의 구성요소들 간에 상징․ 은유적인 관계를 더 규명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조선 후기에 유행하였던 문인원림은 서권기(書卷氣) 또는 문자향(文字香)이라 불리는 문인의 교양과 예술적인 정취를 형상화한 것이기 때문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41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71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USTAINABLE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