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 0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Title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ChemistryⅡ Textbook Based on the 7th Curriculum
Author
육세정
Alternative Author(s)
Youk, Se Jeong
Advisor(s)
성명모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과학과의 총괄목표로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의 지식체계를 이해하며, 탐구방법을 습득하여 올바른 자연관을 가진다’로 설정하여,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 학생 선택 중심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자기 주도적인 개별학습이 가능하도록 심화 및 보충과정을 도입하였으며 다양한 탐구 학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교육부,1999). 연구의 목적은 화학Ⅱ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제 7차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격 및 STS 관련 내용의 인식 등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아울러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화학Ⅱ 8종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탐구 내용, 탐구 과정, 탐구 상황의 3차원 분석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 탐구 활동 내용 영역에서는 탐구 활동의 횟수를 조사하였으며, 교과서별로 공통으로 다루는 내용 및 개별적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탐구 활동 과정 영역에서는 각 탐구 활동의‘정리’혹은‘발전’등에 수록된 질문들을 Klopfer의 탐구 과정 요소(B.O-E.O)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리고 탐구 활동상황 영역에서는 탐구 활동의 제목과 성격에 따라 NAEP의 제4차 평가틀의 4가지의 상황 요소(과학적, 개인적, 사회적, 기술적 상황)로 분류하였다. 탐구 활동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요구하는 내용들을 다양한 탐구활동을 통해 대부분이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8종 교과서 모두 공통으로 다루는 주제는 대부분 1개이거나 없었다. 탐구 과정 요소에 따라 분류한 결과 '관찰 및 측정(B.O)’과 ‘자료해석 및 일반화(D.O)’같은 하위 탐구 과정 요소에 비해 ‘문제발견 및 해결방안 모색(C.O)’과 ‘이론모델 형성 검증 및 수정(E.O)’같은 상위 탐구 과정 요소가 낮은 비율로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탐구 상황 요소에 따라 분류한 결과 ‘과학적 상황 요소’가 기술적 상황 요소’, ‘개인적 상황 요소’, ‘사회적 상황 요소’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그러므로 차기 과학과 교육 과정은 본 연구의 자료를 바탕으로 탐구 활동 영역을 재구성하여, 결여된 탐구 내용은 보충하고, 탐구 과정 요소나 탐구 상황 요소가 균형지게 수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ffectively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ChemistryⅡ was reflected in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to find out a desirable direction. This study analyzed inquiry activities in textbooks of High school ChemistryⅡ, eight different books, by using a three-dimensional analysis framework(inquiry content, inquiry process and inquiry situation). Concretely, the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by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and what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subject between eight different textbooks. Questions in the inquiry activities were classified by the inquiry process elements of Klopfer(B.0-E.0). The inquiry activities were classified by four kinds of elements (scientific situation, personal situation, social situation, technical situation) of a four-dimensional analysis framework depending on the character and the topic of inquiry activities. In result, information that required object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can be addressed through a variety of inquiry activities. However, similar subjects among the eight different textbooks were narrowed down to only on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quiry process elements, (B.0), (D.0) which represented as lower levels of the inquiry process elements were more presented then higher levels of the inquiry process elements such as (C.0) and (E.0).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quiry situation elements, 'the scientific situation elements' was far more noticeable then 'the technical situation elements', 'the personal situation elements' and 'the social situation elements'. Therefore, future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is study's data, so that the inquiry activity sections should be reorganized and supply the lack of inquiry contents, and inquiry process & inquiry situation should be included in a balanced wa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3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7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CIENCE AND MATHEMATICS(이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