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0

TV 패스트푸드 광고 인지도 및 회상도가 청소년 비만에 미치는 영향

Title
TV 패스트푸드 광고 인지도 및 회상도가 청소년 비만에 미치는 영향
Author
장춘심
Advisor(s)
김윤신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지 TV 패스트푸드 광고에 대한 청소년 소비자의 인지도와 회상도가 신체발달 측정 결과 정상군과 비만군 학생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패스트푸드와 청소년 비만과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알아 보았다. 그 결과 TV 패스트푸드 광고에 대한 올바른 판단 기준 제공을 위한 청소년 소비자교육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패스트푸드가 비만군 학생에 대해서는 특히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청소년이 주로 시청하는 시간대의 패스트푸드 방영시간 조정을 제언하였다. 또한 TV 패스트푸드 광고시에는 소비자의 알 권리 충족을 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광고 제품에 대해 구체적 열량 표시 제공과 ‘지나친 섭취는 청소년들에게는 비만을 유발할 수도 있다’ 라는 광고 문구 혹은 메시지 삽입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첫째, 일반적의 특성은 여자 51.5%, 남자 48.5%로 조사되었으며, 학년은 중학생이 50.6%, 고등학생이 49.4% 였으며, 정상군이 74.5%, 비만군이 25.5%로 조사되었다. TV 시청량은 평일 1-2시, 주말 2-3시간으로 나타났다. 정상군의 경우 한달에 1-2번 정도, 비만군은 일주일에 한번정도 이용하고(p<.001), 섭취이유로는 정상군과 비만군 모두 음식 맛이 좋아서로 나타났다. 식사대용 여부에 대해서 정상군은 불가능하다 30.9%, 비만군은 가능하다 70.1%로 나타났다(p<.001). 기호에 따라 선택은 정상군이 기호에 따라 많이 선택하였으며(p<.01), 1회 이용 시 이용금액은 정상군과 비만군 모두 3,000~4,000원정도로 나타났다. 둘째, TV 시청량과 인지도 및 회상도와의 관계에서는 인지도의 상관계수 r=.025로, 회상도의 상관계수 r=.062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패스트푸드 이용실태에 따른 광고 인지도 및 회상도를 살펴보면, 이용정도가 높을수록 비만군,정상군 모두 인지도와 회상도가 높았다. 시간에 구애받지 않거나, 집에서 간식제공이 없을수록(p<.01), 식사대용 가능 여부에 대해 가능하다는 인식이 높을수록, 품목선택의 경우에도 영양을 고려해 선택하는 경우에(p<.001), 이용금액에 있어서는 1,000~2,000원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p<.01), 5,000원 이상에서는 정상군이 회상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집단간의 차이가 나타났다(p<.001). 넷째, 성별과 비만여부에 따른 광고 인지도와 회상도를 살펴보면 비만여부와 성별에 따라 인지도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F=3.79, p=.05)로 유의수준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회상도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학년과 비만여부에 따른 광고 인지도 및 회상도를 살펴보면 비만여부와 학년별로 상호작용 효과가 (F=4.81, p=.029)로 유의수준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회상도의 경우 고등학생 비만군의 경우에 높은 회상도를 보였으며, 중학생 비만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Effects of TV Fast foods Advertisements of awareness and recall on Adolescent Obesi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much difference of recognition level and reflection level of youth consumers on TV fast food advertisement there is between normal group and fat group as a result of estimating body development, and consider the concern with fast food and youth concretely. TV fast food advertisement should satisfy consumer's right to know.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providing the concrete calorie indication on advertisement products and the basic material giving prominence to the necessity of inserting advertisement words or message such as 'over-ingestion may cause obesity to youth'.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as woman 51.5%, man 48.5%, grade was investigated as middle school student 50.6%, high school student 49.4%, and norman group 74.5%, fat group 25.5%. For TV watching volume, normal group watches TV around 1-2 times a month, and fat group watches TV about one time a week, and its ingestion reason was shown that both of normal group and fat group expressed that food tasted good. Yes or no of meal substitution was shown that what normal group is impossible is 30.9% and what fat group is possible is 70.1%(p<.001). For the selection according to taste, normal group selected much according to taste(p<.01), and in case of using one time, its using cost was shown as about 3,000~4,000 Won for both of normal group and fat group. Second, the relation between TV watching volume and its recognition level and reflection level was shown that there isn't any correlation as correlation coefficient of recognition level is r=.025, and correlation coefficient of reflection level is r=.062. Third, the higher its using level, the lower its recognition level or time limitation level, the lower the level of giving snack at home(p<.01), a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 recognition that meal substitution is possible, in case of selecting product item by considering nutrition(p<.001), it was shown that its recognition level was higher in case of using 1,000~2,000 Won as its using cost(p<.01), and there was some difference between group as its reflection level was shown as higher at over i5,000 Won (p<.001). Forth, according to fatness and gender, due to an effect of interaction at its recognition level(F=3.79, p=.05), it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 at significant level p<.05, but it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e of its reflection level. Fifth, according to fatness and gender, due to an effect of interaction(F=4.81, p=.029), it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 at significant level p<.05, and in case of its reflection level, high school student fat group showed higher reflection level, middle school student fat group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35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16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CIENCE AND MATHEMATICS(이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