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 0

요구분석에 기초한 한국 TESOL 수료증 과정 연구

Title
요구분석에 기초한 한국 TESOL 수료증 과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SOL Certificate Program in Korea: Based on Needs Analysis
Author
박소영
Alternative Author(s)
Park, So Young
Advisor(s)
이영자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요구분석에 기초한 한국 TESOL 수료증 과정 연구 최근 정부가 영어공교육 강화 정책을 발표함에 따라 교육현장에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2008년 1월 대통령직 인수 위원회에서 영어전용교사 자격으로 TESOL 과정 수료자를 언급하면서 TESOL 수료증 과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1997년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된 TESOL 수료증 과정은 현재 전국 10여 개 대학에 개설되었으며, 이 과정을 수강하려는 현직 영어교사와 예비영어교사의 수도 급격하게 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TESOL 수료증 과정은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진 바 없으며 따라서 TESOL의 교육과정이 우리 나라의 사회적 상황과 학습자의 요구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배경에서 해외(미국, 영국)의TESOL 수료증 교육과정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고찰하고, 국내 서울 소재 4개 대학에 개설된 TESOL 수료증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을 비교∙ 확대되는 것이 바람 직 할 것이다. 셋째, 우리 나라의 TESOL 수료증 과정에서 실습을 필수 교과목으로 개설하고 확대하여 더 많은 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 직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 및 제언은 우리 나라의 사회적 상황과 학습자의 요구에 보다 부합하는 TESOL 수료증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이 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간주된다.; A Study on TESOL Certificate Program in Korea -Based on Needs Analysis- This research is based on TESOL(Teaching English to the Speakers of Other Languages) curriculums in the certificate programs.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getting interested in TESOL certificate programs but in Korean, unlike in America or Britain, there is no criterion for TESOL curriculums in the certificate programs. Moreover, it is hard to know if TESOL certificate programs in Korea are organized considering learners’ need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below. 1. How are TESOL certificate programs in America and Britain organized? 2. How are TESOL certificate programs of four universities in Korea organized? 3. What is Korean learners’ perception of TESOL certificat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below. To begin with, there are criterions for TESOL curriculums in America and Britain, and most schools organize curriculums based on those criterions. However, in Korea each school’s TESOL curriculum involving in this survey is different because there is no criterion for TESOL curriculums in Korea. As a result, Learners’ perception of the TESOL curriculum is also dissimilar based on the program which they currently learn. However, Korean learners have some common needs on TESOL curriculums. The research shows that most learners studying TESOL certificate programs needs more English skill subjects, especially speaking. In deed, English teachers want to improve their English abilities through a TESOL program in that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required English teachers to teach English in English at school. Also,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only one TESOL certificate program includes practicum as a compulsory subject. And learners studying this TESOL program are more satisfied with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practicum in comparison with other TESOL certificate programs’ learners. Therefore, the TESOL curriculum should be balanced between compulsory subjects considering learners’ needs. Second,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meet the needs of learners if a TESOL certificate curriculum includes subjects which help to develop English speaking skills. Third, TESOL certificate programs of Korea should contain practicum as a compulsory subject to provide more opportunity with learners to practice teaching English. Thus, TESOL certificate schools should consider learner’ needs in drawing up a curriculum to help improve learners’ English abilities and practic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분석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현재 TESOL 수료증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각 기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여 우리 나라의 TESOL 교육과정이 타당하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한다. 위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바람직한 TESOL 수료증 과정의 교육과정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제언을 함께 제시하도록 하겠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문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미국, 영국)에 개설된 TESOL 수료증 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인증기준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국내 4개 대학에 개설된 TESOL 수료증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셋째, TESOL 수료증 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TESOL 프로그램 수강생들의 인식도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과 영국의 TESOL 수료증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미국과 영국에서는 국가 또는 대학 차원의 TESOL 교육과정의 인증 기준이 명시되어 있으며 실습의 경우 모든 기관에서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한다. 한편, 조사에 포함된 우리 나라 4개 대학의 TESOL 수료증 프로그램은 일정한 교육과정 인증 기준이 없고 각 기관에 따른 교육목표가 상이하여 교과목(영어교육학 과목, 영어학 과목, 영미문화 과목, 실습)의 구성과 비율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TESOL 수강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첫째, 각 교과목이 필수 교과로 개설되어 있거나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경우 긍정적인 답변이 더 많았다. 둘째, TESOL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과제로서 가장 많은 학생들이 영어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설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실습을 필수 교과목으로 교육하는 기관의 학생들이 다른 기관의 학생들에 비해 실습 기회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 나라의 TESOL 수료증 프로그램은 교육목표에 따른 기관별 교과목 구성과 비율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각 교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해당 교육기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를 기초로 바람직한 TESOL 수료증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언하면, 첫째, 학습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비중이 적은 교과목은 보완하여 균형 있게 구성하여 교육한다면 학생들의 학습 목적에 보다 부합하는 TESOL 수료증 과정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필요로 하는 우리 나라의 사회적 상황과 학습자의 요구가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영어 기능 과목이 개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31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6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