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 0

Montessori 수 영역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 및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Montessori 수 영역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 및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Author
홍명주
Alternative Author(s)
Hong Myung Ju
Advisor(s)
이 현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만 5세반 두 학급의 유아 56명(실험집단 27명, 통제집단 29명)을 대상으로 하여 몬테소리 수 영역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 및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봄으로써 몬테소리 수 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몬테소리 접근에 의한 수 영역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 기본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몬테소리 수 영역 프로그램이 유아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한 J 유치원 만 5세반 두 학급의 유아 56명(실험집단 27명, 통제집단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경제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Laney(1995)가 제작한 검사 도구를 이재정(1999)이 수정하고, 여수영(2004)이 재수정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소비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명희 등(2000), 박순덕(1998), 이기춘(1985), 제미경, 김영옥(2004) 등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변길희(2006)가 수정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2008년 8월 18일부터 2008년 9월 18일까지 매일 약 5주간 진행되었다. 실험기간동안 실험집단은 몬테소리 수 영역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수업 주제에 따라 ‘순서짓기’, ‘수 이해하기’, ‘수 활용하기’, ‘측정활동’ 주제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몬테소리 수 영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주제에 의한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희소성, 화폐가치, 교환가치, 기회비용, 자원과 생산, 재화와 용역, 보충과 대안, 그리고 기본경제개념 전체 점수에 긍정적인 증진효과가 있다. 또한 몬테소리 수 영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경우 희소성과 보충과 대안 영역의 증진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자원과 생산, 재화와 용역, 화폐가치, 교환가치, 기회비용 순으로 증진효과가 있다. 둘째, 몬테소리 수 영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주제에 의한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소비자 가치, 자원관리행동, 합리적 구매행동, 소비자 시민의식, 그리고 소비행동 전체 점수에 긍정적인 증진효과가 있다. 또한 몬테소리 수 영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경우 소비가치관 영역의 증진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자원관리행동, 합리적 구매행동, 소비자 시민의식 순으로 증진효과가 있다. 따라서 유아의 경제 기본개념과 소비행동 개념을 효과적으로 유아들에게 영향을 줄 시에는 일반 주제에 의한 수업방식을 하는 것 보다는 몬테소리 수 영역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유아들에게 경제 기본개념과 소비행동 개념을 가르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몬테소리 교육은 아이들을 지루하지 않게 해줄 뿐 아니라 자기 자신이 혼자 발달할 수 있고 감각을 씀으로 유아들이 더욱 빨리 알아들을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2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1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