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 0

현대 니트패션에 나타난 혼합현상

Title
현대 니트패션에 나타난 혼합현상
Other Titles
A Mixed Phenomena Expressed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 Focused on Woman Collection from 2000 to 2008
Author
박문희
Alternative Author(s)
Park, Moon Hee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현대사회는 국제화 및 세계화에 따라 문화전반에 다른 장르간, 문화간, 시공간을 교차하는 혼합화 현상이 나타나며, 패션분야에서도 기존의 디자인 및 소재를 재해석하며 전통적인 고정 관념을 넘어서 여러 다양한 요소가 혼합되어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되고 있다. 니트패션 또한 조직의 다양화와 고급화로 그 수요가 점점 많아지고 있고 소비자들의 개성이 다양해짐에 따라 독특한 변화 및 디자인이 요구되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전략적인 방안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혼합현상에 나타난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 디자인 요소 및 기법, 아이템 별 특성을 분석하여 창의적인 니트 디자인이 나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혼합현상에 대한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니트패션에 나타난 혼합현상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00∼2008년까지 세계 4대 컬렉션의 여성 횡편 니트패션을 선정하였다. 혼합현상의 분석은 니트 패션 분야의 전문가 집단에게 문헌연구로 추출된 분류기준과 사진자료를 대입하는 과정을 거쳐, 시간의 혼합, 공간의 혼합, 상․하위문화의 혼합, 남․여 성의 혼합, 스타일의 혼합, 타소재의 혼합, 기능의 혼합의 7가지로 분석의 틀과 니트 패션의 특성에 따라 실루엣, 원사, 조직, 게이지, 색상, 색조, 장식기법, 아이템의 분석의 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혼합현상의 특성 및 출현 빈도를 살펴본 결과, 상․하위문화, 남․여 성의 혼합, 스타일의 혼합, 공간의 혼합, 시간의 혼합, 타소재의 혼합, 기능의 혼합의 순으로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시간의 혼합에서는 과거 원시주의적 경향과 1900년대 중반의 레트로 경향이 현대 패션과 혼합된 현상으로 나타났으며 미래주의적인 요소와 현대패션의 혼합현상도 나타났다. 공간의 혼합에서는 니트의 역사가 깊은 북유럽의 전통적 니트 문양이 현대적인 요소와 혼합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상․하위문화의 혼합은 키덜트적 요소, 그런지 요소, 속옷의 요소들과 고급스러운 소재, 전통적인 패턴이나 고상한 무늬와 색상의 하이패션의 분위기와 헌합되는 현상으로 나타나 상 하위 패션의 경계성이 모호해지면서 디자인 영역이 확대되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남․여 성의 혼합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남성과 여성의 인식을 벗어난 개념의 변화와 기능성과 편리성의 추구하려는 경향과 함께 양성성의 공유로 그 요인을 찾을 수 있다. 스타일의 혼합은 니트 패션의 전통적인 형태에서 정형과 비정형의 스타일의 혼합으로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기능의 혼합은 직물류 의상에서 나타나는 과학의 혼합 등은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의 혼합은 두 가지 이상의 아이템으로 상황, 코디네이션에 따라 한 아이템으로 되어 실루엣의 변화가 가능하거나 두 가지 아이템의 용도로 활용 가능한 특성을 나타냈고. 타소재의 혼합은 기능적인 용도외의 사용 범위를 초월하여 다양한 소재가 활용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둘째,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혼합현상의 디자인 요소 및 기법, 아이템의 출현 빈도와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니트의 고유한 특성인 신축성으로 몸에 피트한 Hourglass 실루엣이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으며, 특이한 현상은 2006년 이후 Barrel 실루엣, Inverse 실루엣, Tent 실루엣이 꾸준한 증가추세가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 니트의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대량생산이 증가하면서 패턴과 형태의 정형성, 단순성, 기능성 및 대중성으로 기본 실루엣이 용이한 전통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구성선이나 실루엣의 변형으로 디자인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사에 있어서 일반사의 사용빈도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는데 이는 니트의 아이템에서 Top, Pull Over와 같은 니트의 코디네이트적인 요소의 착장방식과 상호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장식사의 꾸준한 증가율은 헨드메이드와 수공예적인 기법이 선호되는 트렌드를 반영하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니트 패션에 나타난 색상을 살펴보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일반적인 의류의 YR (Yellowered, 주황), Y(Yellow, 노랑), PB(Purpleblue, 남색)계열 색상의 활용빈도가 높았던 결과에 비해 PB의 활용빈도보다 Red의 사용빈도가 높았다. 색조에 있어서 S/S에는 고명도의 연한 색조인 p(pale, 연한색조), ltg(light grayish, 연한 회색조)로 저명도의 연한 색조의 사용빈도가 높았고, F/W에는 저명도의 어두운 색조인 dkg(dark grayish, 어두운 회색조), g(grayish, 회색조)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계절적인 특성을 보였으나 시즌에 관계없이 저채도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장식기법의 분석 결과, 패치워크와 비딩 기법이 가장 높은 비율로 출현되고 있었고, 장식기법의 증가 추세는 수공예적인 장식성을 추구하는 트렌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아이템에 있어 One Piece, Jacket, Two Piece의 증가 추세는 니트패션이 외의류로 확대되는 전반적인 니트의 흐름을 반영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현대 니트패션의 혼합현상의 표현 특성에 따른 디자인 요소 및 기법, 아이템의 출현빈도를 살펴본 결과, 실루엣에 있어서 남·여 성의 혼합은 여성 니트웨어에 남성적 요소를 차용하였으나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일반적인 특성으로 Hourglass 실루엣이 가장 많았고, 스타일의 혼합은 Inverse Triangle실루엣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원사에 있어서 장식사를 살펴보면, F/W에서는 시간의 혼합, 공간의 혼합이 높은 반면, S/S에서는 스타일의 혼합과 타소재의 혼합이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조직의 분석결과는 공간의 혼합은 북유럽의 문양의 혼합과 관련하여 컬러 자카드 조직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상·하위문화의 혼합은 이질적인 패턴, 색감의 다양한 믹스 앤 매치의 특성과 연관되어 인타샤 조직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게이지는 투박한 니트의 조직의 특성을 반영하는 남·여 성의 혼합의 특성으로 미들게이지가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타소재 혼합은 제작과 봉제 등의 공정상 용이한 것과 연관되어 비교적 하이게이지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스타일의 혼합에서도 두 가지 이상의 아이템이나 두 개 이상의 스타일이 한 디자인에 공존하는 착장방식의 특성으로 두께가 얇은 하이게이지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혼합현상에 따른 색상에서 시간의 혼합은 Y(Yellow, 노랑)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으며. 상·하위문화의 혼합은 YR(Yellowred, 주황)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스타일의 혼합은 다른 현상에 비해 PB(Purpleblue, 남색)에서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타소재의 혼합과 공간의 혼합은 YR(Yellowred, 주황)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또한 남·여 성의 혼합은 무채색계열 사용을 반영하는 특성으로 무채색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색조에 있어서 상·하위문화의 혼합은 dkg(Dark grayish, 어두운 색조)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남·여성의 혼합에서는 무채색의 W(White)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공간의 혼합에서 S/S시즌은 고명도인 p(Pale, 연한색조)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F/W는 저명도인 dkg, g(grayish)에서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기법에 따른 출현 빈도의 분석결과,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낸 상·하위문화의 혼합은 패치워크 기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이템에 있어서 남·여 성의 혼합의 특이한 사항은 Long Coat와 Half coat의 아이템에서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전통적인 아이템이라 할 수 있는 Cardigan류는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이 현대 니트 패션에서 나타나고 있는 혼합현상의 특성은 다문화시대의 다채로운 문화의 특성, 이질적인 요소와 타 영역의 혼합으로 상상력이 더해져 그 표현 가능성의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니트 패션의 혼합현상이 니트 패션 분야의 디자인 구상과 전개에 있어서 창의력의 원천으로서, 국제적 경쟁력을 지닌 독특한 소재로서 그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며, 학문적으로 다양한 이론 정립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troduction Modern society is shown the mixed phenomena of crossing temporally and spatially between different genres and between different cultures over the whole in culture according to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Even in costume, the severally and diversely elements are mixed with exceeding the traditional stereotype, thereby being created new design. Knitwear is getting larger in its demand owing to diversification and high quality in stitch. As consumers' individuality gets diverse, the unique texture is being demanded. It is a situation that is desperately required the strategic plans according to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data that designers can utilize substantially, by developing creative materials in knit fashion through the analysis relevant to design element & technique in the mixed phenomena, and item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which were shown in knit fashion of contemporary women, as one of methods of pursuing a plan for being able to be appeared creative and unique knitwear. The following are the detailed expectation effects in a research. First, th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in data with magazines and collection related to trend on the mixed phenomena expressed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lead to being utilized as basic data of grasping the present status for the mixed phenomena expressed in knit fashion. Second, it analyzes features by expression characteristic in the mixed phenomena of knit fashion in contemporary women according to the historical trend that consumers' desire gets diversified and upgraded. The present status is grasped with frequency by year and by season according to this. Thus, the aim is to discover possibility for producing high value added with developing creative materials. Third, the aim is to be substantially conducive to the knit-design industry by allowing analysis by year and by season to be data on design element & technique, and item feature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in the mixed phenomena of knit fashion in contemporary wome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1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92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