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7 0

명사구 접근 가설과 지각 난이도 가설의 과업 유형에 대한 민감성 연구

Title
명사구 접근 가설과 지각 난이도 가설의 과업 유형에 대한 민감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nsitivity of the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and the Perceptual Difficulty Hypothesis to the Types of Tasks
Author
천은성
Alternative Author(s)
Cheon, Eun Sung
Advisor(s)
안성호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관계절 습득 난이도 순서에 대한 많은 가설들 가운데 제2 언어 환경에서 빈번히 언급되는 두 가지 가설로 Kuno(1974)의 지각 난이도 가설(PDH)과 Keenan 과 Comrie(1977)의 명사구 접근성 위계 가설(NPAH)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 학생들의 관계절 습득에서도 이 두 가설이 적용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은 이해와 산출 과업으로 분류하였고,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NPAH와 PDH는 이해 과업과 산출 과업 중 어느 것에 더 민감한가? 둘째, 학습자의 L2 발달단계(development stage)에 따라서 오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실험은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고, 이해 과업은 문법성 판단과 영문 해석 과제를, 산출 과업은 관계대명사를 이용한 두 문장 결합하기와 영어 작문 과제를 사용하였다. 오류 분석은 문법성 판단과 두 문장 결합하기를 사용하였다. 문법성 판단 과제는 선행연구에서 가장 흔히 관찰된 오류 세 가지를 기반으로 하였다. 세 가지 오류는 다음과 같다. 상위절의 선행사와 관계절의 관계대명사가 비인접(non-adjacency)하는 오류, 관계절 내 대명사를 보유(pronoun retention)한 오류, 그리고 잘못된 관계대명사(incorrect relative pronoun) 오류이다. 두 문장 결합하기 과제에서는 학습자가 산출하는 이 세 가지 오류를 중심으로 하되 그 이외의 발생한 모든 오류 양상도 함께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NPAH와 PDH는 한국 학생들의 관계절 습득에서도 과업 유형에 부분적으로 민감하였다. 즉, 이해 과업의 영문 해석에서 NPAH가, 산출 과업의 두 문장 결합 과제에서 PDH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었다.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들을 분석한 결과 오류 유형에 난이도 차이가 존재했다. 잘못된 관계대명사가 가장 쉬운 난이도 오류였고, 그 다음이 관계절 내 대명사를 보유한 오류였으며, 가장 어려운 오류는 비인접 오류로 나타났다. 관계절의 유형 가운데 상위절과 관계절의 관계가 주어-주어(SS)유형, 주어-목적어(SO)유형, 목적어-주어(OS)유형, 그리고 목적어-목적어(OO)유형이 있다. 가장 높은 난이도를 나타내는 비인접 오류는 주로 SS-유형과 SO-유형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SS-유형과 SO-유형의 관계절 습득도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는 특히 산출 과업의 결과에서 뚜렷이 나타났다. 따라서 관계절 습득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선 이러한 비인접 오류를 학습자들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05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3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EDUCATION(영어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