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5 0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포맷화 가능성 연구

Title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포맷화 가능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formating real variety show : Focus on
Author
송화
Advisor(s)
박기수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포맷화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국제 방송시장에서 프로그램 포맷 거래가 활발해지고 국내에서도 포맷에 대한 관심이 날로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대중적인 장르로 떠오른 국내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포맷 수출이 시도됐다. 그러나 실제로 성사된 것은 없는 상황이며 이는 리얼리티 텔레비전과 버라이어티 쇼가 결합된 신생 장르인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포맷화에 필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하는 논의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 최초의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표방하는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가능성 및 방안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원천이 된 리얼리티 텔레비전과 버라이어티 쇼의 포맷 구성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변별적 자질들을 가려냈다. 그 결과, 리얼 버라이어티 쇼는 형식적으로 개방적 구조와 열린 조합을 지향하는 버라이어티 쇼의 요소를 바탕으로, 내용적으로 현존감과 감정적, 사적 리얼리티를 강화한 리얼리티 텔레비전의 요소를 전략적으로 채용했다. 이는 시청자들의 몰입을 유도하여 오락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바탕으로 리얼 버라이어티 쇼로서 〈무한도전〉의 구성요소들을 탐색해보았다. 〈무한도전〉을 목표지향형, 체험지향형, 캐릭터강화형, 동일시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면, 멤버 개개인의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우고 텍스트 안팎의 경계를 무너뜨림으로써 시청자들이 쉽게 몰입하며 재미를 느끼도록 구성돼 있다. 캐릭터성(characterization)은 〈무한도전〉이 리얼리티 텔레비전의 요소를 채택하여 버라이어티 쇼라는 장르를 벗어나 리얼 버라이어티 쇼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는데 있어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이다. 〈무한도전〉의 스토리텔링 전략 역시 캐릭터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부수적으로 이를 보강하는 요소로서 촬영현장에서 드러나는 제작진과의 소통과 제3의 입장을 대변하는 자막의 사용 등 제작진의 전략적 개입과 노출이 시청자들의 재미를 극대화시켰다. 그리고 가변적이고 탄력적으로 하위 코너들을 운용함으로써 시의성을 적절히 반영하고 기획 의도에 부합하는 캐릭터를 완성하는 효과를 시도했다. 따라서 〈무한도전〉의 포맷화 작업 역시 캐릭터성을 바탕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포맷이 “다른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유지, 구현될 수 있는 독창적인 요소”라고 할 때, 캐릭터성은 가변적인 요소로서 고정된 틀로 정의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여기서 열린 포맷(open format)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열린 포맷은 완성본이 아니라 포맷의 구성요소들을 범주화함으로써 자유로운 조합을 보장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차후 〈무한도전〉 포맷을 수입하는 국가의 문화적 풍토를 덧붙임으로써 문화적 장복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포맷은 완성된 상태가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진화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무한도전〉이 구축한 리얼 버라이어티 쇼와 같은 새로운 장르의 포맷화 작업을 시도하는 작업은 한국 방송 발전과 포맷 시장 개척에 있어서도 유용한 작업이 될 것이다.; This thesis is written with the purpose to research the possibility of formatting real variety shows. Active trading of program formats in the international broadcasting market has increased interest in formats in the domestic market, and recently this has prompted export of the format of a Korean reality show, a popular domestic genre. However, no deals have yet been successful and this has brought on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necessary elements for formatting real variety shows, which is a relatively new genre combining reality TV and variety shows. Thus through this thesis, we have aimed to explore possibilities and ways of formatting a real variety show, namely which claims to be "Korea's first real variety show." Accordingly, we first explored the elements of the formats of real TV and variety shows, which gave birth to real variety shows. Through this process we sorted ou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real variety show. As a result, we found that real variety shows are strategically based on elements of variety shows which intend for an exposed structure and all possible combinations, and elements of reality TV which focus on live presence and emotional and private reality. This draws in viewers and maximizes the entertainment factor. Based on such elements, we studied the constituting elements of the real variety show . If we look at the 4 patterns of which are goal-oriented episodes, experience-oriented episodes, character-emphasizing episodes, and character-relating episodes. we can see that the unique individuality of each member is displayed upfront and boundaries within and without of the text are broken down, allowing viewers to be more easily immersed in the program and be entertained. Characterization is what plays the most notable role in how opens a new frontier of real variety shows, which escapes the genre of variety shows by selecting elements of reality TV.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also centers around characterization. These patterns are accompanied by communication with the staff on site which is apparent to the viewers and subtitles which are the words of a 3rd person. Such strategical interference and exposure of the production staff maximizes the fun factor. Sub-segments are utilized interchangeably and flexibly, to reflect the occasion and to complete the character that matches production intentions. Thus, the formatting process of must be based on characterization, as well. However, if we define format as "a unique element that can be continuously manifested to achieve distinction from other programs," we face the difficulty of defining the variable element of characterization as a fixed form. This presents the necessity for discussion of an open format. An open format does not refer to a completed form, but a form which categorizes constituting elements of formats, ensuring liberal blending of these elements. This will allow the country that imports the format of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by adding on their cultural elements. Formats are not finalized products, but an evolving process. Thus, attempting to format a new genre of real variety shows, such as will be a useful endeavor for development of Korea's broadcasting system and also for pioneering in the format marke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95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36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E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