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0 0

문화연구와 노동-욕망의 복합체로서 자본주의 비판

Title
문화연구와 노동-욕망의 복합체로서 자본주의 비판
Other Titles
Cultural Studies and the Critique of Capitalism as a Labor-Desire Complex in Marx and Deleuze
Author
소근주
Alternative Author(s)
So Geunju
Advisor(s)
반성완, 김성제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경제적인 문제는 어떤 사회의 문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문화연구’는 경제적 체제로서 자본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문제의식 속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되었고, 이러한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문화연구의 고유한 정체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경제적인 것과 문화적인 것은 이분법적으로 따로 떼어서 볼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항상 동시에 일어나며, 이렇게 동시에 일어난 두 측면을 통해 하나의 사건이 결정된다. 자본주의를 내재적으로 비판하기 위해서는 그 체제의 경제적인 영역에 대한 설명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문화적인 것의 역할을 충분히 밝혀내야 한다. 자본주의는 경제적 양으로서 가치를 노동으로 표상한다. 가치는 노동력의 소비를 통해 생산되고, 노동은 생산된 가치를 분배하고 소비하는 데 일정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그런 의미에서 경제적 체제로서 자본주의는 무엇보다도 ‘노동의 체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노동의 문제는 곧 욕망의 문제이기도 하다. 욕망은 단지 경제적 하부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허위의식이 아니다. 이는 오히려 이러한 경제적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이며, 경제적 과정이 결국 이르게 되는 생산물이며, 경제적 과정 그 자체를 가리킨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적 체제로서 자본주의는 곧 ‘욕망의 체제’로 표현된다. 결국, 자본주의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노동의 체제로서 자본주의’를 해명하는 일과, 이러한 노동의 체제를 가능하게 하는 ‘욕망의 체제로서 자본주의’를 해명하는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 마르크스 노동가치이론의 기본적인 주장은 경제적 체제로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치의 생산이 노동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노동은 자본주의 사회를 조직하는 ‘구성적 원리’로서 지위와 역할을 갖는다. 어떤 사회를 통합적으로 조직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에서 가치를 판단하고 측정하는 어떤 ‘최종적인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노동가치이론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것을 노동이라고 보는 것이다. 근대 사회에서 노동은 인간의 존재론적 규범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노동에 대한 권리는 ‘노동하는 존재로서 인간’에게 보편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마르크스는 근대 사회에서야 나타나는 이러한 존재론적 자연권으로서 노동이 유적 존재로서 인간을 확립하는 초역사적 기준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다. 이러한 노동의 보편성은 자본주의 사회에서야 ‘역사적으로 확립된 것’으로서, 역사를 초월하여 모든 사회에서 인간들에게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사실이 아니다. 즉, 노동이 가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어떤 특정한 역사적 조건 속에서 노동이 가치생산적인 것으로 표상되거나 혹은 가치가 노동으로서 표상되어야 하며, 이러한 표상적 조건 속에서 가치는 자본주의 사회에 고유한 어떤 사회적 형태로서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가치 표상을 확립하는 것은 곧 노동을 바람직한 것으로 만들어 노동 그 자체를 욕망하도록 만드는 문제를 함축한다. 어떤 사회에서 특정한 무엇을 바람직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드는 일은 곧 문화적인 문제이고, 이는 욕망과 관련된 문화적 갈등을 필연적으로 수반하기 마련이다. 자본주의는 노동을 가치생산적인 것으로, 즉 바람직한 것으로 표상함으로써 노동 대중이 노동 자체를 욕망하게 함으로써만 작동하는 체제인데, 다른 한편으로는 투하 자본에 대한 이윤을 전유해야만 존립하는 체제이다. 결국, ‘노동’과 ‘자본’ 사이에서 가치의 최종적인 기준은 결코 확립될 수 없으며, 이러한 가치의 표상과 관련된 정치적이고 문화적인 갈등을 끊임없이 겪으며 운동해 나간다. 들뢰즈는 생산을 어떤 초월적 요소에 근거하지 않고 생산의 내재적, 실재적 과정 그 자체로서 이해하여야 한다고 말한다. 이는 어떤 초월적 목적이나 통합적이고 의식적인 자아가 전제되지 않는 순수한 물질적 흐름(욕망하는 기계)이고, 이러한 물질적 흐름들의 수동적 종합으로서 나타난다. 들뢰즈는 이러한 생산을 만들어 내는 힘을 욕망이라고 부르며, 생산의 이러한 유물론적 조건을, 단일한 목적이나 통합적 자아를 전제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에서, 분열증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실재적 과정 속에서 생산과 분배와 소비는 하나의 동일한 과정으로 나타나고, 이는 동일한 과정으로서 생산의 세 계기를 표현한다. 생산은 욕망하는 기계들이 서로 만나 이루어지고(연접), 분배는 이러한 생산과정 속에서 어떤 유동적인 총체(기관 없는 신체)를 형성함으로써 생산의 참조점으로서 의미와 가치를 형성하는 과정을 말하며(이접), 소비는 욕망하는 기계와 기관 없는 신체의 밀고 당기는 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주체의 고통과 쾌락을 생산(통접)한다. 들뢰즈에 따르면 사용가치와 가치는 본성상 분열증적인 욕망의 물질적 흐름, 즉 욕망의 실재적인 생산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욕망은 구체적 노동과정을 통해 상품의 물질적 속성과 관련된 사용가치를 생산하고, 또한 이는 동시에 사회 속에서 어떤 표상들을 생산하며 상품의 사회적 속성과 관련된 가치의 체계를 형성한다. 자본주의는 자연적 속성과 문화적인 의미를 갖는 사용가치로 나타나는 욕망의 흐름을 산업 자본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전유함으로써만 작동할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생산물에 대한 향유를 중단시키면서 사용가치를 탈색시키고 모든 욕망의 흐름을 ‘생산을 위한 생산’으로 환원함으로써만 이윤증대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자본주의는 욕망의 분열증적 생산으로부터만 그 생명의 에너지를 얻고 운동해나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 분열증적 욕망이 구성하는 모든 사회의 절대적 한계는 자본주의 사회의, 그 공리계의 내재적 한계를 넘어선다. 결국 자본주의는 그 공리적 한계를 넘어서려는 분열증적 욕망과 끊임없이 부딪히기 마련이며, 이 욕망의 시험장에서 ‘목숨을 건 도약’에 성공해야지만 살아남을 수 있는 위험을 항상 내재하고 있는 체제이다.; To understand a culture of a society, the political economy is a very important factor. Especially, 'cultural studies' has been formed with a problematic against capitalism as a economic system, and the critical approach against capitalism is the constitutive element of cultural studies. The cultural and the economical cannot dichotomize. They are happening simultaneously and make together one and the same event. To criticize capitalism immanently, we must analyse both the political economy of it and the role of the cultural. In the capitalist society, labor represents value as an economic quantity. Value is produced by consumption of labor-power, and labor operates as a criterion of distribution of value. So, we can see this capitalist economic system as a system of labor.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of labor is immediately the problem of desire. Desire is not the just false consciousness determined by the economic infrastructure. Rather, it is the motor which makes possible the economic process, the product of this process, and the process itself. So, the capitalist cultural system is expressed by a system of desire. Consequently, to understand capitalism critically, we must explain this labor-desire complex. According to Marx's labor theory of value, value is produced through labor in the capitalist society as a economic system. Labor has the status and role as a constitutive criterion which organize the capitalist society. To organize a society and keep its integrity, there must be a final criterion which judges and measures value in the society. In the modern society, labor emerges as the ontological norm of human, and the right to labor is universal to human being as a laboring animal. Marx, however, didn't argue this right, which emerged at the modern society, as an ahistorical norm which establishes the human as a species. This universality of labor was historically established at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and cannot be generalized and applied to all the societies in the every historical epoch. That is, for labor to produce value, certain historical conditions in which labor is represented as value-productive or value itself are satisfied, and only with these representative conditions, value emerges as a social form unique to the capitalist society. Establishing this value representation implicate making labor the desirable so to desire labor itself. In a certain society to make something the desirable and valuable is the cultural problem and is necessarily accompanied by cultural struggle related with desire. Capitalism is, on the one hand, a system which makes labor value-productive, that is, operates through making mass desiring labor itself by representing it as the desirable. On the other hand, profits on the invested capital, which is not living labor, are must appropriated. As a result, the criterion of value cannot be established clearly between labor and capital, and the political and cultural struggle related with value representation cannot be stopped. Deleuze says we must understand production not on the base of the transcendental but as its immanent and real process. It is pure material flows without the transcendental purpose or conscious ego, and is presented as passive synthesis of these material flows. Deleuze calls the powers which make production desire, and expresses the materialistic conditions of the production, which is without the only one purpose or integral ego, by a word 'schizophrenia'. In the real process of production, all of thes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re one and the same process, and in the same process they are expressing three moments of production. Production is done through connections of desiring-machines, and distribution is the process which constitute the fluid whole as a reference of production making meaning and value, while consumption is producing the subjects who enjoy as well as suffer pain. According to Deleuze, use-value and value is produced through the real production process of desire, or material flows of desire, which is schizophrenic in nature. Desire produces use-value, which is related with the material properties of commodities, through the concrete labor process, and the same time forms the system of value, which is related with the social properties of them, producing the representations in the society. Capitalism, on the one hand, can only move through appropriating the flows of desire which are expressed as use-value with natural properties and cultural meanings. On the other hand, it can realize profits only through sublimating use-value, stopping products from being enjoyed, and reducing all flows of desire into the production for itself. Capitalism earns its living and energy from the schizophrenic production of desire, but its absolute limit of desire overflows the immanent limit of capitalism. As a result, there must be struggle between capitalism and the schizophrenic desire which is constantly going beyond the axiomatic limit of capitalis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95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39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CULTURAL STUDIES(문화연구과정)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