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경우-
dc.contributor.author심학식-
dc.date.accessioned2020-04-02T16:42:06Z-
dc.date.available2020-04-02T16:42:06Z-
dc.date.issued2009-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69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785en_US
dc.description.abstract교통기반시설의 건설이나 확충에 있어 교통량이 정책 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에 반론을 제기하기 어렵지만 교통량은 어느 한 지점 혹은 노선과 같은 비교적 미시적 정책결정에 유용하다. 하지만 국가단위의 거시적 정책결정에 있어서는 미흡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통량을 보완할 수 있으며 거시적인 자료가 필요하며, 이런 역할을 차량총주행거리(VKT : Vehicle Kilometers Traveled)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미시적으로도 주행거리당 교통사고, 연료당 주행거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차량총주행거리의 과거자료는 비교적 정확하지만 각종 사회경제지표와 개인의 행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예측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정책적 결정이나 교통, 차량에 관련된 연구에서 차량총주행거리의 예측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방법론적 측면에서도 패널자료 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시계열과 횡단면 자료 분석에 보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차량총주행거리 및 경제지표가 지역 간 시공간적으로 차이가 많이 나고 있으며, 이에 시공간적 자료를 통한 시공간적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므로 시간적으로는 1985년~2006년, 공간적으로는 전국을 5개 광역권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1인당 소득과 차량주행거리가 차량 총 주행거리에 양의 효과를 나타내며 1인당 소득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밀도, 도로연장/인은 음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패널 자료 분석과 패널 자료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횡단면 시계열 자료를 통해 시간적 공간적 효과를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는 차량 총 주행거리의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상태로 인구밀도 및 도로연장/인이 음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최소자승법의 분석결과는 인구밀도 및 도로연장/인이 양의 영향 변수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최소자승법의 분석은 시간적 공간적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여 인구밀도, 소득, 도로연장/인의 영향 요인이 증가하면 차량총주행거리도 과대 증가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시간적 공간적 영향을 고려한 분석이 필요함을 반증하는 결과이다. 광역권별 지역효과추정 결과는, 수도권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수도권과 영남권은 양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충청권, 강원권, 호남권은 음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강원권이 음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1997년을 기준으로 1997년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모형 2-5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1997년 이전에는 1인당 소득이 차량총주행거리에 가장 큰 양의 영향을 끼쳤지만 1997년 이후에는 1인당 소득의 영향이 감소하며, 인구밀도의 양의 영향이 가장 큰 것은 우리나라가 전반적인 소득수준의 증가로 인하여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 소득에 덜 민감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차량총주행거리와 사회경제지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Study between Vehicle Kilometers Traveled and Social Economic Status(using panel data analysi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심학식-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him, Hak shik-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설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교통공학-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