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 0

이중 언어 사용자의 국어 어휘 능력 연구

Title
이중 언어 사용자의 국어 어휘 능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Lexicon Competence of Bilingual Speakers : Domestic Foreign School as the center of learning
Author
김은주
Alternative Author(s)
Kim, Eun Joo
Advisor(s)
이삼형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약 이중 언어 사용자의 국어 어휘 능력 연구 - 국내 외국인학교 한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 김 은 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삼 형)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학교의 중등과정에 재학 중인 이중 언어 사용자의 국어 어휘 능력을 일반 학교 학습자들과 비교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국어 어휘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바람직한 어휘력 지도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배경이 평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예상하고 그 변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해외 거주 기간, 해외 거주 장소, 한국으로 돌아 온 시기, 가정에서의 사용 언어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어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고자 김광해(2003)의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3등급 중에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별로 각각 100개씩의 어휘를 추출하여 평가 어휘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어휘 수준을 교육 과정 속에서 합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지라고 판단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최하는 TOPIC(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즉 한국어능력시험의 검증된 모형을 참고로 평가문항을 제작하였다. 어휘력 평가 문항의 내용에 있어서는 주로 어휘의 기본적 의미, 문맥적 의미, 관계적 의미를 통해 어휘의 의미를 얼마나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따라서 외국인 학교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어휘의 의미별 내용 파악 수준이 사고 도구어를 포함하여 정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단계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서 이중 언어 사용자들은 서울 소재 1개의 외국인 학교 중등부 남·여 학생 134명이고, 일반 학교 학습자들은 서울 소재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국내 중학교 3학년 1개 학급, 국내 고등학교 1학년 1개 학급의 남·여학생 139명으로 총 273명을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을 실시함으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대상의 배경 요인’에 있어서 외국인 학교 이중 언어 사용자들은 가정에서는 거의 대부분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미국과 캐나다 등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에 출국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에 다시 귀국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는 언어 발달 단계상 국어 어휘 능력이 초등학교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학습자들이 대다수이며, 이들이 향후 비판적·창의적 고등 언어 사용 화자로 성장하기에는 주변의 풍부한 도움과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함이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게 되었다. 둘째, ‘어휘의 의미에 대한 지식’에서 국내 외국인 학교 이중 언어 사용자들과 일반 학교 학습자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외국인 학교 이중 언어 사용자들은 ‘단어의 기본적 의미’, ‘단어의 문맥적 의미’, ‘단어의 관계적 의미’등이 전체적으로 부족하며, 종합적으로 일반 학교 학습자들에 비하여 약 35% 정도 어휘의 의미에 대한 이해도가 뒤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동음이의어, 다의어, 유의어, 반의어 등 어휘의 관계적 의미 이해도는 상당 부분 취약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위한 교수 학습 방법 및 교사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며,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 동기부여와 의지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어휘의 품사에 대한 지식’에 있어서는 외국인 학교 이중 언어 사용자들과 일반 학교 학습자 모두 품사별 어휘에 있어서‘부사’의 점수가 낮았다. 두 집단 모두 언어생활에 있어 풍부하고 다양한 어휘 사용 보다는 단편적인 의사소통이 선호되고 있으며 특히 국어 어휘에 특징 중 하나인 ‘색채어’나‘감각어’에 대한 어휘 지도나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와 같이 이 연구는 국내 외국인 학교에 재학 중인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국어 어휘 능력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국어 어휘 교육의 범주를 넓히고,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국어 어휘 능력 발전 방향과 그에 관한 다양한 교수 학습 활용에 관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 Study on Korean Lexicon Competence of Bilingual Speakers : Domestic Foreign School as the center of learning Kim, Eun Joo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enhancement of the Korean lexicon competence of bilingual speakers and suggest desirable application methods for lexicon teaching,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Korean lexicon competence of bilingual speakers in domestic international secondary schools with that of common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duration of their staying abroad, the place of their staying, the time of their return to Korea, and their language usage at home to predict the factors in the bilingual speakers’ background that might affect the evaluation results and to confirm the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a list of lexicon evaluation has been made, which is made up of selected 100 vocabularies of noun, verb, adjective, and adverb each from Level 3 vocabularies from Among these vocabularies, lexicon evaluation questionnaire has been made with reference to TOPIC(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conducted by KICE(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hich is considered reasonable evaluation questionnaire to gauge the level of bilingual speakers in education curriculums.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for lexical competence primarily focused on how precisely they comprehend the meaning of vocabulary through basic meaning, contextual meaning, and relative meaning of each vocabulary.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determine that the comprehension level of bilingual speakers in international schools is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formal education including academic vocabular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made up of 273 students, 134 the bilingual speakers of me and female students in the international secondary school in Seoul, and 139 common school student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selected from 2 second-year classes in the secondary school in Seoul, 1 third-year class in the secondary school in Korea, and 1 first-year class in high school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conduct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regard to the “backgrounds of the evaluation subjects”, the bilingual speakers in international schools use mostly Korean at home, and showed a tendency to go abroad in their elementary in their lower grades and return back to Korea in their higher grades. This demonstrates that they consis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mostly elementary levels, and they need full support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to develop their linguistic skills to an advanced level with critical and creative language usage. Secondly, it has been illustr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milar distinction in ‘the knowledge about the meaning of vocabulary’ between the bilingual speakers in domestic international schools and common school students. Overall, the bilingual speakers in domestic international schools lack ‘basic meaning of the vocabulary’, ‘contextual meaning of the vocabulary’, and ‘relative meaning of the vocabulary’, and approximately 35 percent of them lag behind in the comprehension of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In particular, it has been shown that their compression level of relative comprehension such as homonym, polysemi, synonym, or antonym lack significantly. Accordingly, active teaching methods and support from teachers’ as well as self-motivation and strong will of learners themselves are needed. Thirdly, in regard to ‘the knowledge about part of speech’, both the bilingual speakers in domestic international schools and common school students showed low grades in ‘adverb’ section. Both groups showed a preference for fragmentary communication to various use of vocabulary in their language usage, and this in particular demonstrated the necessity for effective learning methods for ‘color words’ or ‘sense words’, which are distinctive of Korean vocabulary. As illustrated abov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broadening the scope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by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Korean vocabulary skills of bilingual speakers in domestic international schools and suggesting the directions as regard to the Korean language lexical competence advancement for bilingual speakers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applications for th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32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0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