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용덕-
dc.contributor.author하은주-
dc.date.accessioned2020-04-01T17:19:34Z-
dc.date.available2020-04-01T17:19:34Z-
dc.date.issued2010-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32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833en_US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고전과 현대 작품을 상호텍스트성을 통해 교육함으로 고전 학습에 대한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고전 작품에는 선조들의 사상과 깨달음이 들어 있다. 이것은 현대 사람들과 학생들은 그 전통을 배우고 알아가야 할 의무이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작품 속에 스며들어가 있는 전통의 맥을 살려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학습을 한다면 학생들은 좀 더 쉽게 고전작품을 대할 것이다. <공무도하가>와 <무녀도>는 물, 무속의례의 환상성이라는 상호텍스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 두 가지가 고대부터 우리 문학에 계속해서 전해 내려오는 전통임을 알리기 위하여 연관 있는 작품을 함께 알아보았다. 또한 상호텍스트성을 텍스트간의 상호관련성이라는 간단한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하트만의 방식(연합하기, 결합하기, 재구성하기)에 작품을 대입시켰다. <공무도하가>와 <무녀도>에서는 물을 재생이라는 상징으로 보았으며, 이 두 작품 안에는 모두 무속의례와 그에 따른 환상성이 나타나 있다. ‘물의 상징성’과 ‘무속의례의 환상성’은 두 가지를 알려 준다. 첫째, 고전부터 지금까지 연결되는 작품들 속의 ‘물’은 원형이미지를 지키고 있다는 점. 둘째, 고대부터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문학에서는 전통이라는 끈으로 무속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교육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고전과 현대작품을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전통의 맥으로 잇는다. 둘째, 고전이 확장되어 그 맥락으로 현재의 텍스트가 새롭게 재창조 된다. 그러므로 고전과 현대를 상호텍스트성으로 활용한 교육이 나와야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고전시가인 <공무도하가>, 현대소설인 <무녀도> 두 작품을 전통이라는 끈으로 연결시켜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것을 학생들에게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교육으로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 그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traditional studies by using the intertextuality of traditional and modern texts. Traditional texts contain wisdom and experience of our forefathers. It is the duty of the modern people and students to learn and pass it to our descendants. It will be much easier for students to approach traditional work by studying the intertextuality found from the old texts through to the modern ones while keeping the traditionality. The common intertextual elements found in <Gongmudohaga> and <Munyeodo> are water and ecstasy of the shamanist customs. Similar works were searched for in an attempt to accentuate the fact that these elements are ceaselessly found in Korean literature and thus are the symbols of traditionality. Also, the term intertextuality was simply defined as interrelation of two different texts, and Hartman's methods(association, assembly and looping) were applied to the selected work. In <Gongmudohaga> and <Mynyeodo>, water is shown as a symbol of revival, and both works expose the shamanist customs and their ecstasy to the readers. 'Symbolism of water' and 'ecstasy of shamanist customs' may be translated into as follows. First, water remains intact in terms of its original image from the classic to the modern literature. And, though it is not as strong now as it used to be in the olden days, shamanism is strongly connected from work to work under traditionality. Education through intertextuality is meaningful in that. First, it connects the modern literature to the classic with a strong bond called traditionality. And, modern texts are recreated as an expans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These give us enough reasons to justify and support intertextuality-based education. In this study two literary works, <Gongmudohaga> as a traditional poem and <Mynyeodo> as a modern novel, were connected and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intertexuality. And some methods to actually teach students in intertextuality class were suggested, too.-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고전 교육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e Intertextualit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하은주-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a, Eun Jo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어문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국어교육-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