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명자-
dc.contributor.author임은경-
dc.date.accessioned2020-04-01T17:19:20Z-
dc.date.available2020-04-01T17:19:20Z-
dc.date.issued2010-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31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161en_US
dc.description.abstract전통 떡의 대중화를 위한 고등학생들의 인지도와 기호도 및 소비행동 연구 한 민족의 고유한 음식문화는 그 민족이 살고 있는 자연환경과 사회 환경 속에서 오랜 기간을 걸쳐 그 지역에서 산출되는 식품을 기본 재료로 하여 음식의 조리, 가공법이 발달하게 되며, 그 민족의 정치․ 경제․ 가정 과목 성적, 생활수준에 따라 모두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전통 떡의 대중화에 대한 결과에서는 전통 떡 문화의 계승을 위해 대중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하여 평균 3.63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이를, 일반적 사항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기술‧ 문화의 변천과 발전 내용이 식생활의 유형이나 풍습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고유한 전통음식은 다양하게 존재하며, 본 연구에서는 전통 떡을 중심으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통 떡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를 파악하고, 아울러 소비행동을 고찰하여 전통 떡의 대중화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떡이 역사가 가장 깊은 한국고유의 곡물요리로서 상고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시식, 절식, 제례음식, 이웃과 나누어먹는 정표로 널리 쓰이며 농경의례, 토속신앙을 배경으로 한 각종 행제, 무의 등에 사용되었던 토속성과 전통성이 깊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음식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 전통 떡의 발전 가능성과 떡의 전통 및 가치를 되살리고, 우리나라 전통음식으로서의 떡을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설문문항의 구성은 총 6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전통 떡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 대중화의 필요성, 전통 떡에 대한 가치인식, 소비행동 그리고 일반적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고등학생들의 전통 떡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 그리고 소비행동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 문제는 조사대상 고등학생의 전통 떡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를 알아보고, 둘째, 고등학생들이 인식하는 전통 떡의 가치인식과 대중화 필요성은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생들이 인식하는 전통 떡의 대중화 필요성의 정도에 따라 대중화를 위한 중요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고등학생들의 전통 떡에 대한 소비행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문제에 따른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떡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는 인지도를 살펴보면, 가래떡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인절미, 송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도가 가장 낮은 떡으로는 두텁떡으로 나타났다. 선호도를 살펴보면, 꿀떡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인절미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인 떡은 구름떡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 떡에 대한 가치 인식을 고찰한 결과는 가치 인식 수준을 보통으로 인식하였고, 일반적 사항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떡 섭취 빈도, 기술‧ 가정 과목 성적, 생활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전통 떡 대중화를 위한 방안으로, 떡 기술 개발이 3.92점, 떡 전문 브랜드 개발이 3.45점, 전통 떡 전문가 양성이 3.69점으로 떡 기술 개발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그 다음으로 전통 떡 전문가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떡 전문 브랜드 개발도 중요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넷째, 떡 소비행동에 대한 분석결과에서 먼저, 전통 떡 문화에 대한 관심도를 살펴보면 평균 3.07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일반적 사항에 따라 차이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전통 떡에 대한 선호도를 살펴보면 평균 4.14점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일반적 사항에 따라 차이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전통 떡을 좋아한다고 응답한 158명을 대상으로 그 이유에 대하여 살펴보면 맛이 좋아서가 가장 많았고, 가정에서 떡을 섭취하는 시기로는 보통 때에도 가끔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식사 대용으로 떡을 이용할 의사가 있는 경우는 이용하지 않겠다에 비하여 다소 많았다. 식사대용으로 떡 이용 시 희망하는 시간대는 점심이 가장 많았고, 식사대용으로 떡을 이용할 경우 선호하는 떡으로는 인절미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전통 떡의 대중화를 위한 고등학생들의 인지도와 기호도 및 소비행동 연구-
dc.title.alternative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Preference, and Consumption Behavior to Korean Traditional Rice Cake for Its Populariza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임은경-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im, Eun Kyo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실업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가정교육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VOCATIONAL EDUCATION(실업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