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 0

과학교과서 삽화에 대한 학생의 인식 : 차세대 교과서의 역학단원을 중심으로

Title
과학교과서 삽화에 대한 학생의 인식 : 차세대 교과서의 역학단원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Students’ recognition of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 : Focusing on dynamics unit of the next generation textbook
Author
이현경
Alternative Author(s)
Lee, Hyun Kyoung
Advisor(s)
한 영 근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7차 과학교과서(금성출판사) 역학 단원에 제시된 삽화에 대한 차이점을 학생들이 인식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두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를 보고 차이점을 인식할 수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조사를 하였으며, 삽화의 종류 중 학생들이 선호하는 것은 어떠한 유형인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삽화의 종류 중에서 그림과 사진 두 종류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7차 과학교과서 역학 단원에 제시된 삽화 20개를 선정하여 설문 문항을 만들었고, 예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후 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좀 더 자세한 대답을 듣기 위하여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7차 과학교과서의 역학 단원을 살펴볼 수 있게 한 후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은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7차 과학교과서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삽화만으로는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7차 과학교과서의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전체적인 모습을 보였을 때는 일대일 면담을 실시한 5명의 학생 모두 7차 과학교과서에 비해 차세대 과학교과서에 더 흥미를 보였다. 차세대 과학교과서가 더 흥미 있게 느껴지는 이유로 삽화의 양이 눈에 띄게 많아졌고 다양해졌으며, 삽화들이 한편의 스토리를 갖고 있는 것처럼 이어지는 것이 마치 과학 잡지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는 대답을 하였다. 하지만 이 학생들 역시 삽화를 독립적으로 만든 설문지 상으로는 두 교과서의 차이점을 느끼지 못한다고 대답하였다. 학생들은 두 교과서의에 대해 차이점을 느끼게 만든 요인으로, 전체적인 디자인과 컬러풀한 사진들, 사진보다 글씨가 더 많았던 7차 과학교과서에 비해 늘어난 사진의 수, 다양한 종류의 삽화, 그리고 사진의 크기가 커져서 눈에 띄게 배치된 점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학습내용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삽화의 유형을 사진과 그림 중 63%의 학생이 사진을, 37%의 학생이 그림을 선택하였다. 사진이나 그림의 경우에도 내용을 설명하는 글이나 기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학생들은 이해가 더 잘 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이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7차 과학교과서의 차이점을 삽화 자체로 인해 느끼게 되는 것은 아니었다. 학생들이 7차 과학교과서 보다 차세대 과학교과서에 더 관심을 갖게 하고, 흥미를 유발시키는 부분이 어떠한 요인인지를 파악 할 수 있다면,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교과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27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4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