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 0

CSCL에서 Microblogging활용이 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

Title
CSCL에서 Microblogging활용이 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Using Microblogging in CSCL on Shared Mental Models
Author
이종욱
Alternative Author(s)
Jongwook Lee
Advisor(s)
김동식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CSCL 학습이 협력활동을 하면서 공동의 지식을 구성하는 새로운 학습환경 또는 학습방식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새로운 형태의 학습촉진도구로서 마이크로블로깅이 학습자의 상호작용 지원유형에 따라 공유정신모형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 알아보고자, 세 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지원 집단(스캐폴딩도구로 사용하는 집단, 논증도구로 사용하는 집단, 글쓰기도구로 사용하는 집단)을 구성하여 실험을 통해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 활용 학습이 공유정신모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마이크로블로그의 활용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 논증도구,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 간에 팀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 논증도구,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 간에 팀 과제에 대한 공유정신모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문헌과 사례 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고,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을 상호작용 지원도구로 설계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예비 실험을 실시하여, 기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이후에 연구 대상자들을 각각 실험집단에 무선 배치하였다. 스캐폴딩을 지원하는 집단에는 집단을 이끌어가는 리더를 2명 선정하여 과제를 진행하는 동안 마이크로블로그인 미투데이(me2DAY)를 활용하여 스캐폴딩 역할을 하도록 사전에 교육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집단의 논증도구로 활용하는 집단에서도 리더를 2명 선정하여 과제를 진행하는 동안 논증활동을 지원하도록 사전에 교육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글쓰기 집단에는 특별한 지원기능이 없이 집단구성원들이 글쓰기 도구로 미투데이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은 2주 동안 미투데이를 이용하여 팀 과제를 수행하였다. 팀 과제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사회 2단원을 학습한 후 제공된 CSCL 학습 싸이트인 네이버 까페의 과제방에 각 조별 과제를 웹상에서 협력적으로 작업하여 제출하는 것이다. 팀 과제를 마친 후에 공유정신모형을 1회 측정하여, 공유정신모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실험이 끝난 후 사이트와 마이크로블로그에 포스팅 된 글에서 스캐폴딩집단, 논증집단, 글쓰기집단의 팀별 활동상황과 학습자들의 토론의 내용과 빈도, 적극성, 토론의 지적 수준, 동기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CL 환경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 논증도구,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 간 팀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팀 과제를 마치고 측정한 팀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의 평균점수는 마이크로블로깅을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 마이크로블로깅을 논증도구로 사용한 집단,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로 사용한 집단 순으로 높았으며,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마이크로블로깅을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로 사용한 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마이크로블로깅을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마이크로블로깅을 논증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마이크로블로깅을 논증도구로 사용한 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팀 과제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에 대한 평균 점수는 글쓰기도구, 논증도구, 스캐폴딩도구 순으로 높았다. 집단별로 공유정신모형의 평균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 분석을 하였다. 사후검증 결과에서도 마이크로블로깅에서 스캐폴딩 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논증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글쓰기로 사용한 집단 사이에 평균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을 활용한 도구의 유형이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글쓰기도구와 논증도구 유형이 스캐폴딩도구 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마이크로블로깅을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이 팀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의 형성을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 지원도구 유형이 팀의 과제에 대한 공유정신 모형 형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한 본 연구의 두 번째 가설은 결과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마이크로블로깅을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이 팀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의 형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고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의 사용자 만족도와 학습결과도 좋았다. 따라서 마이크로블로깅은 CSCL에서 글쓰기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블로깅을 학습에 이용하는 방법이 학습결과물을 보다 더 숙고할 만한 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 마이크로블로깅이 이러한 과정을 지원하는데 적합한 기술이 될 수 있는지를 실험한 결과 학생들은 보다 더 참여적이었고, 더 반성적이었으며 더 비판적이었고, 예전보다 훨씬 더 많은 개인적인 기술과 의견을 피력함으로써 마이크로블로깅을 이용할 때 정보 활용에 있어 놀랄만한 가능성과 새로운 방법이 열려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한 Ebner & Maurer(2008)의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은 집단 구성원들 간의 자유로운 글쓰기를 통해 팀원들의 역할과 책임, 정보의 제공과 공유,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집단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microblogging as collaboration supporting tools those are a scaffolding tool,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and a writing tool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and team task. In order to find out the above described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of the study were delineated. The first question of the study is whether using microblogging as a scaffolding tool,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and a writing tool has a meaningful difference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The second question of the study is whether using microblogging as a scaffolding tool,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and a writing tool has a meaningful difference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task. The method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rough the references and case studies,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the strategies to design meaningful interaction supporting tools using microblogging are produced. An experimental study was undertaken for two wee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supporting tools in terms of microblogging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and team task. Twenty -nin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Team task was ' Submit of group task which is given after learning social studies in Naver Cafe assignment section after implementing collaboratively on the web.'. In each group except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two learners selected as leaders had been taught to use me2DAY program to support the team activity before the experiment. Shared mental model of team was assessed on a Liker's 5-point scale and team task was analyzed by examining learner's log-files and frequency, motivation, level and participation attitude of their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ith the regard to the effects of microblogging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group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average score between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and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 scaffolding tool. However,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average score between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and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And also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average score between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 scaffolding tool and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Through this result,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can be effective on building shared mental model of team. Second, with the regard to the effects of microblogging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task,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average score among the groups using microblogging as a scaffolding tool,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and a writing tool. One-way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score was meaningful statisticall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through this study. First, when using microblogging as supporting tools in CSCL, the type of supporting tools can affect on building shared mental model of team. The team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got higher score than the others. Through this fact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can be more effective on building shared mental model of team. Second, when using microblogging as supporting tools in CSCL, the type of supporting tools doesn't affect on building shared mental model of team task. To sum up, the study may suggest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Microblogging would contribute to build shared mental model of team and team task. Especially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to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would be more effective to build shared mental model and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earning outcome. As a result microblogging would be an appropriate learning supporting tool from the fact that learners were more involved, more reflective and more critical in the process of their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at learners expressed more detailed description and personal opinions during the learning session using microblogging, microblogging seems to have the remarkable possibility and new ways are open in the field of information utilization. In conclusion, microblogging can be an effective tool to enhance learning efficiency by facilitating meaningful interaction, information providing and sharing about learning and recognition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mong team membe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27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08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