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스하우스의 테라스공간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Title
테라스하우스의 테라스공간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chitectual Planning of Terrace Space in Terrace Housing
Author
최지환
Alternative Author(s)
Choi, Ji Hwan
Advisor(s)
서현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0년대 들어서면서 경사지를 이용한 테라스하우스가 급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라스하우스는 아직까지도 어떠한 법적기준이나 설계가이드라인이 없이 무분별하게 지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 따라 입주자들로부터 테라스 공간에 대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테라스하우스의 반복되는 민원에 대하여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방안에 초점을 세웠다. 기존 연구를 조사해보면 테라스하우스의 구조나 유형에 따른 이론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테라스하우스의 이용실태와 민원을 바탕으로 건축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발코니와의 관련법규 분석으로부터 시작하였다. 테라스는 발코니처럼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서비스공간으로 면적에 제한이 없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럼에 따라 테라스하우스는 단지별로 테라스 깊이와 면적이 서로달라 형평성에 따른 문제가 나타났다. 테라스 공간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가능한 공간이다. 기존 단지를 조사해 본 결과 약 66%는 기존형태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34%는 변경하였다. 주요 민원 사항은 테라스와 화단과 같은 조경시설물과의 활용도에 따라 좌우되었다. 이러한 사례조사를 통하여 건축계획시 고려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테라스의 최소 유효깊이는 2.4m 이상이 필요하다. 이는 테라스내에서 보행공간과 활동공간을 동시에 가능케 하는 최소한의 기준이다. 둘째, 테라스공간은 전면 테라스화, 테라스+화단, 테라스+정원 등 분양시 선택의 폭을 제공해준다. 이는 입주 후 형태변경을 최소화하며 공사비절감에도 효과가 있겠다. 셋째, 테라스에서 공간구획시 가급적 직선형 위주로 계획한다. 화단이나 정원을 함께 사용할 경우 경계부의 과도한 곡선은 시공성이 떨어지고 공간활용에 제약을 두기 때문이다. 테라스하우스는 서비스공간으로 입주자들에게 큰 호응을 줄 수 있지만 그만큼 분양가도 높기 때문에 오히려 큰 불만으로 바뀔 수도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건축계획시 사전에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한다면 반복되는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2000's, terraced houses using the slope tend to increase. However, terraced houses are recklessly planned with no architectural guidelines, while there is no legal provision. Accordingly, residents' complaints on the terrace space never e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peated complaints about the terraced house. Existing studies were th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structure or the type of the terraced house. Thus, this study proposes architectural design considerations based on conditions and complaints about domestic terraced house. Research methods began with the analysis of the legislation relevant to balcony. Since the terrace, like a balcony, is a service space which is not included in exclusive using area,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gross area. Due to this aspect, the equity issue of terraced houses appeared in terms of the different terrace depth and area. Terrace space can be made various use of depending on personal preference. On investigation into existing complexes, only about 66% were used as an original form and the remaining 34% were changed. The main complaint has been dependent on utilization of landscape works such as terraces and flower beds. Through this case study, architectural planning consideration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minimum effective depth of the terrace is at least over 2.4m. That is minimum standard which enables the ambulatory space as well as the activity space. Secondly, terrace space at the sale provides wider choices such as a terrace area, terrace with flower etc. It is also effective since it minimizes the cost of changing the form and construction after moving in. Third, in space dividing, it is preferably to plan the terrace area in straight blocks. Excessive curve is unproductive in workability and restricts space utilization. Terraced house as the services space can offer tenants a great satisfaction, but may cause some problem due to higher selling price. The study, if applied to architectural planning as the basic guide line, will be able to minimize the repeated civil appea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18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36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