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2 0

건설산업 BIM 활성화 저해 영향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Title
건설산업 BIM 활성화 저해 영향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about Factors affecting Inactiveness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troduc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uthor
최희선
Advisor(s)
김재준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미국과 유럽, 싱가폴 등을 중심으로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건설정보화 기술 도입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은 이러한 건설산업의 저생산성 및 노동집약적 특성을 타개하여 예산 및 공기를 절감해주고 더 나아가 건설산업 생산성을 향상시켜 주는 주목해야할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BIM 기술의 활용은 자동차산업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자동차의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 생산의 전 과정이 일종의 BIM과 같은 기법으로 통제되고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이라는 자동차의 전 생애주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유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첨단 기법으로 인해 자동차산업은 지식기반화/첨단산업화되고 있다. 그 결과, 자동차를 만드는 여러 전문가들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과거에 수년에 걸쳐 이루어지던 작업을 단 몇 개월에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시장 상황에 따라 때로는 동일하거나 향상된 성능의 자동차를 이전보다 싼 값에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도 하고, 경쟁사보다 뛰어난 성능의 자동차를 과거와 동일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도 있는데 이 모두가 자동차산업 분야의 첨단 정보시스템과 이를 기반으로 개편된 새로운 설계 및 생산 방식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건설산업 역시 마찬가지이다. 해외의 IT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건설산업에의 BIM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그들의 건설 생산성, 공기/예산 등은 국내의 건설산업에 비해 압도적으로 향상되고 개선되고 있다. 그렇다면 국내의 건설업계는 과연 이 우수한 BIM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을까? 답은 그렇지 않다. 국내의 건설산업은 산업의 특성상,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제구조 특성상, 투명성이 확보되기 가장 힘든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에 기인하여 신기술을 도입하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BIM이란 신기술을 적용할 경우, 건설 프로세스의 전 과정이 투명하게 드러날 뿐 아니라 예산 및 과실의 책임여부까지 밝혀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건설산업의 산업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켜줄 수 있는 BIM 기술이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그 도입정도가 미미한 상황이다. 그나마 학계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BIM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최근에는 국내최초로 공공발주사업인 용인시민체육공원 건립사업에 BIM 설계가 의무화되었지만, 이마저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설계/엔지니어링업체 자신들이 BIM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BIM 모델링 업체를 하도급 용역업체로 계약하여 BIM 설계를 진행하는 수준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답은 그 원인을 찾는 것이다. 즉, 우리 건설산업의 BIM 활성화 저해 영향요인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이 요인들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내 건설산업 BIM 활성화 저해 영향요인을 사례 및 기존 연구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이 요인들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각각의 요인에 맞는 대처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BIM 활성화 저해 영향요인 및 대처방안은 앞으로 더욱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실질적으로 조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information technology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introduced as a countermeasure which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project, mainly concentrated in U.S, Europe, and Singapore. Especially, th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recognized as the technology which breaks low-productivity and labor intensive character of construction industry. But this BIM has not been introduced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yet. There are too many aversion to introduce the new technology which have to be more transparent about construction industry, because BIM would offer the estimate with almost unerring accuracy and reveal the responsibility for a fault made in project. For this reason, it is need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use of BIM technology closely in this research. Then, the priority of affecting factors would been calculat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countermeasures excluding cause of BIM inactiveness. Finally, it is essential to focuse on these factors and that's countermeasures through more segmented and systematic approach.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16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3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K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건설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