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1 0

한국 춤사위를 활용한 태교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심신안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한국 춤사위를 활용한 태교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심신안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ance prenatal education, whcih is applied Korean traditional dance, to expecting mothers and their emotions.
Author
김한나
Alternative Author(s)
KIM Han Na
Advisor(s)
김운미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약 한국 춤사위를 활용한 태교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심신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용학과 김한나 태교와 한국 춤사위, 이 두 분야가 만남으로 인한 태교활동의 실천이 임산부들에게 어떠한 변화를 제공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며, 한국 춤사위를 활용한 태교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심신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한국 춤사위는 임신한 여성들에게 적용시키기에 적합한 활동이며, 한국 춤사위를 활용한 태교활동을 하며 임신기간을 보낸다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좋은 영향들을 기대 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알리는 바이다. 이러한 임산부들의 건강을 위하여, 태교로 알려진 음악감상과 신체적 활동을 함께 할 수 있는 한국 춤사위를 활용한 태교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일차적으로 문헌자료를 통해 임산부의 신체적, 정서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이차적으로는 본 연구자의 실제 경험사례를 적용하고,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한국문화에 서려있는 춤사위가 어떠한지 알아보았고 임산부의 신체적, 정서 상태 등을 고려하여 태교프로그램을 조사하여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구미시에 거주하는 임산부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5명은 실험집단으로 모집하고 5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 후,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부모와 태아간의 애착상태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심신안정의 변화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하여, 한국 춤사위를 활용한 태교프로그램을 임산부에게 적용시키고, 심신안정에 미치는 영향들을 설문조사와 실험집단의 응답 등을 통하여 제시하여 보았다. 실험집단의 임산부 5명은 총 10회 프로그램을 참가하였고, 태교무용 공연을 체험 후에 설문지 10문항도 기재토록 하였다. 이런 작업들을 통하여 어떠한 동작들이 도움을 주고, 어떠한 점이 증진 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 WINDOWS 12.0이며,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 부모-태아 애착 개념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 test로 계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부모-태아 애착 개념 차이분석을 알아보고자 T-TEST를 실시, 태교무용공연 후의 설문에서는 문항별 응답의 빈도분포와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자 빈도분석, 그리고 다중응답분석과 Descriptiv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서는 부모-태아간 애착 설문 조사에서 실험집단이 사전조사 결과보다 사후조사 결과가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였고, 통제집단은 사전조사 결과와 사후조사 결과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한국 춤사위를 활용한 태교프로그램은 부모-태아간의 애착 증진, 자기 역할 획득, 태아와의 상호작용 등 많은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실험집단의 공연 후의 설문지 및 정서평가 응답 기재한 것들이, 태교무용프로그램을 활용했던 임산부들이 심신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로, 한국 춤사위의 미와 종합예술로서의 미,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교육적 측면까지를 함께 함양시켜 임산부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의 한국 춤의 인식의 전환을 제공하고 더욱 친숙하게 다가가게 하고자 한다면 이 연구와 후속연구들이 주는 영향들은 더욱 극대화 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The effect(s) of dance prenatal education, whcih is applied Korean traditional dance, to expecting mothers and their emotions. KIM, Han Na Departmen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ducation and Korean traditional dance. Therefore, Korean traditional dance applied parental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More specifically, I postulated one research question: does Korean traditional dance applied parental education influence their mind and body of expacting mothers? Listening to the music, which is known as a good practice during pregnency, and practicing Korean traditional dance are combined as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mprove expectant and nursing mothers's health. Participants were expectant and nursing mothers from Sangmo church in Kyungsangbokdo Gumi, and there were 10 participants. 5 expectant and nursing mothers will receive nothing. At the same time, 5 other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group that will receive 10times meeting and participate in a Dance performance, which is practiced during parental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gathering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to the research question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10 questions were asked to examine what kind of movement was helpful and how health has been promoted.The statistical test that was used in the study was SPASS WINDOWS 12.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5 expectant and nursing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5 participants who did not.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he participatn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more affection toward their unborn babies as comparing before and after taking the program. However, 5 expectant and nursing moth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howed no differen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15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4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