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3 0

인간 기본 감정(7정)에 따른 움직임 표현의 LMA 분석

Title
인간 기본 감정(7정)에 따른 움직임 표현의 LMA 분석
Other Titles
The LMA Analysis of the Movement Representation on Human Basic Emotions with a Korean Dance
Author
조하나
Alternative Author(s)
Cho, Ha Na
Advisor(s)
김복희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춤이 우리의 문화와 정서, 그리고 전통성이 가미되면서 세계적 흐름에 따른 작품들로 창작되고 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우리의 것을 대표할 수 있는 문화 상품으로 개발되어 짐과 동시에 우리 춤의 정체성도 지켜나가기 위한 기초 작업의 첫 발 디딤이다. 춤에서 중요한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감정을 표현하는 동작을 동양의 고전 예기(禮記)에서 보는 인간의 7가지 기본 감정인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惡慾)을 기본으로 하여, 그 감정들을 표현하는 한국적 춤사위를 찾아 체계적인 동작 분석이 이루어짐으로써, 우리 춤이 전통 춤으로써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한국인의 정서인 움직임들로 창작되어 작품화 될 때 응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 민중의 정서가 내재되어 있는 봉산탈춤 중 7정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현된 움직임을 대상으로 라반의 움직임 질적 분석 이론인 LMA(Laban Movement Analysis)를 적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LMA는 인간 움직임의 주요 포인트를 신체(Body), 에포트(Effort), 쉐입(Shape), 공간(Space)의 4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움직임을 보다 명확히 분석하기 위하여 모티브 라이팅을 사용하여 움직임 기록을 통한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라반의 움직임 분석법을 이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희(喜)의 움직임은 자신의 기쁨을 공간적 긴장감으로 사용하면서, 호흡 그리고 상체와 하체가 동시에 진행되는 동적인 신체 움직임이 활용되었으며, 특히 하체의 움직임보다 상체의 움직임을 강조시킴으로써 동작들로 하여금 기쁨의 극대화를 유도하였다. 여기에 다양한 신체부분에 엑센트를 주어 움직임에 신명감을 더하였다. 노(怒)를 표현하기 위해서 전체적으로 절제된 움직임을 사용하되 자신 체중의 무게를 사용하여 동작에 충격을 주는 움직임인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높이 들거나 공간 이동으로 분노를 표출하였다. 애(哀)의 움직임은 신체를 지탱하는 지지대 없이 시선과 팔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형태화를 만들지 않았으며, 반면 온화함을 바탕으로 보이지 않는 내면적인 자기감정을 충실하게 표현하였다. 구(懼)의 표현은 절제되어진 움직임으로 이동 없이 머리부터 꼬리까지의 미세한 떨림과 움직임으로 두려움이 내재된 긴장감을 준다. 애(愛) 움직임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두 남녀의 사랑 표현을 위한 회전 인자가 두드러지게 보인다. 회전을 기본으로 한 남녀의 상반되는 움직임 또는 같은 흐름의 움직임 조절로 두 사람만의 공간을 만든다. 오(惡) 움직임은 대체로 형태화된 움직임의 사용으로, 상체와 팔의 움직임이 주를 이룬다. 또한 신체의 무게감과 중력이 결합된 강한 무게감을 가지고 절제된 움직임이나, 빨라지는 시간 사용으로 미움을 표현하였다. 욕(慾)의 움직임에서는 제스처적인 동작들이 주를 이룬다. 욕심의 표현은 신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쉐입 흐름이 기본으로 깔려있으면서, 즉각적인 움직임의 사용과 함께 지속적인 동적의 표현으로 연결되고 직․ 간접적인 공간에서 복합적 움직임의 표출로 인간의 욕심을 표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 춤이라는 것은 단순한 동작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인간의 기본 감정 들이 내재된 인간의 삶을 표현하는 춤이라는 점과 여러 가지감정이 움직임 안에서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구조와 감정 그리고 극단적인 감정의 표출이 나타나는 한국적 움직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build an initial step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dance with its own culture, emotion, and tradition, and making world-class culture products.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original dance movements based on the "seven basic emotions": joy, anger, sadness, fear, love, hate, and desire raised by an Eastern classic "The Memorandum of Arts" Another objects of the study is to discuss the ways of expression of Korean dance movements and lay the foundation for getting help make other creative Korean dances. In order to address the objects of the study, "Laban Movement Analysis (LMA)" was adopted to analyze "Bong-San-Tal-Chum", a mask dance performing in "Bong-San" area, which remarkably expresses the seven basic emotions. Using the LMA, the researcher tried to analyze the basic points of the human movement by four elements: body, effort, shape, space. Also, "motive writing" was also used to deeply analyze the movements of dances. The results for the LMA show as follows: "Joy" refers to use one's joy as spatial tense. The movement for joy uses a breath and both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generally focusing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express the maximization of joy. To express "anger", restrained movement is used by using one's own weight with lifting one's own legs on one's knees or moving around. For "sadness", one do not create a certain form only based on the one's eyes and the movements of arms. One honestly expresses one's internal emotion in a mild way. One do not move much to express "fear", rather making tension by delicately trembling one's own head and tailbone. For "love", rotation is used. Based on rotations, a space is created for the place for love by two people's similar or conflicting movement. The movement for "hate" makes a certain form consisting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arms. Also, the emotion is expressed as restraint or hasting movement by using the weight of the body with gravity. In the movement of "desire", gestures consist of the most parts of the dance. The expression of the desire basically uses the flow of shape in the body, the movement of time, and complicated movement with the use of direct and indirect spac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t was understood that Korean dance implies not a discrete bond of simple movement, but a total dance synthesizing human life with the seven basic emotions. Also, Korean dance was found to have a dual structure feeling a joy and sadness simultaneously, and to maintain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melody of self-restrai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1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0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