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멘토기능이 창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멘토기능이 창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reativity in College of dance students through Mentoring function
Author
김유경
Alternative Author(s)
Kim, You kyung
Advisor(s)
손각중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멘토의 기능 즉 경력계발 기능, 사회․ 심리적 기능, 역할모형 기능과 같은 멘토의 다양한 요인들이 무용창작능력(독창성, 다양성, 표현력, 구성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두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시, 경기도, 전라도등 3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중 3개교를 임의 선정하여 무용학과에 재학중인 1-4학년 학생 180명을 표집하였다. 이 중 설문내용이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150명의 설문지자료만을 대상으로 조사ㆍ분석하였다. 조사도구로서 멘토의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척도는 Kram(1983)과 Burke(1984), Scandura(1992), Noe(1988)의 연구를 바탕으로 멘토가 수행하는 기능을 경력계발 기능, 심리ㆍ사회적 기능, 역할모형 기능 총 3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이규태(2007)와 임재문(2008)등이 사용한 바 있는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무용창작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김화숙(1989)이 제작하고, 최영란(2003), 오현아(2009)등이 사용한 바 있는 무용 창작능력 평가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배경변인으로 개인적 특성4문항, 독립변인으로 멘토기능을 측정하는 15문항, 종속변인으로 무용창작능력을 측정하는 14문항, 총 3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멘토기능과 무용창작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고,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기능의 3개 하위요인과 무용창작능력의 4개 하위변인들에 따른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경력계발 기능은 심리ㆍ사회적 기능과 역할모형 기능에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심리ㆍ사회적 기능은 역할모형 기능과 다양성에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독창성은 다양성, 표현력, 구성력과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다양성은 표현력과 구성력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표현력의 경우도 구성력과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멘토기능이 무용창작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멘토기능의 하위요인인 심리ㆍ사회적 기능(수용 및 확인, 상담, 우정)이 무용창작능력의 하위요인인 표현력을 제외하고는 독창성, 다양성, 구성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멘토(조언자)는 무용학과 내에서 멘티(학생)가 학과 및 전공 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담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과 만족감을 갖게 해 주고, 서로를 신뢰하고 상호 존중함으로써 멘티의 자아의식이 고양되며, 학교 이외에 비공식적 관계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관계가 성립했을 때 무용을 창작하는 능력(독창성, 다양성, 구성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정도가 크게 증대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무용창작능력을 향상시키고, 무용의 대중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멘토경험과 심리·사회적 발달을 잘 이해한 교육 방법과 멘토링 제도가 무용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연구와 노력이 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uch diverse factors of mentoring functions as career function, socio-psychological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on college dancer students' creativity (originality, diversity, expressiveness and composition)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reativi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andomly sampled three 4-year universities with department of dance in Seoul, Gyeonggi-do and Cholla-do, and thereby, selected 180 dancer students enrolled in the sample universities regardless of their grade. A total of 150 responses excluding those deemed insincere or incomplet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order to measure the mentoring function, the researcher used the scale developed by Lee Tae-gyu(2007) and Lim Jae-mun(2008) by dividing the mentoring function into career function, socio-psychological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in reference to the researches conducted by Kram(1983), Burke(1984), Noe(1988) and Scandura(1992). And in order to assess dancer students' creativity, the researcher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scale developed by Kim Hwa-sook (1989) and applied by Choi Young-ran(2003), Oh Hyun-ah (2009), et al. The scale consisted of a total of 33 items: 4 items about demographic variables, 15 items measuring the mentoring function as independent variable and 14 items measuring creativity as dependent variable.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7.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dancing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b-variables of mentoring function and dancing creativity,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areer function and socio-psychological function/ role model function, between socio-psychological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diversity, between originality and diversity/ expressiveness/ composition, diversity between expressiveness/ composition, and between expressiveness and composi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mentoring function on dancing creativity, it was found that the sub-variable of mentoring function 'socio-psychological function' (accommodation and confirmation, counselling, friendship) had an positive effect on all sub-variables (originality,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dancing creativity but expressiveness. All in all, it was confirmed by this study that when mentors (counsellors) encouraged mentees (dance students) through counselling to be stable and satisfied psychologically, while both parties trusted and respected each other to enhance mentees' self-consciousness, and when a relationship of mutual understanding was established through an informal relationship outside the school, the effects of mentoring function on dancing creativity (originality, diversity and composition) were much enhanced. Hence, in order to enhance dancing creativity and popularize and develop dance, it wa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the pedagogics in consideration of dancer students' mentoring experiences and socio-psychological development, while researching into the ways to enhance the effects of the mentoring system on students' dance activit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13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6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