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2 0

'97 경제 위기 이후 한국 영화에서 가족의 재현과 수용 양상

Title
'97 경제 위기 이후 한국 영화에서 가족의 재현과 수용 양상
Other Titles
A Study on Representations of Family in Korean Films after the '97 Economic Crisis
Author
김혜미
Alternative Author(s)
Kim, hyemi
Advisor(s)
피종호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지 1997년 경제 위기는 대규모 실업 등의 사회의 경제적 불안정을 가져왔으며 이는 가족 내의 경제적 불안정으로 이졌다. 가족 내의 경제적 불안정은 가족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를 변화시켰으며, 이로 인한 가족의 해체적 현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가장의 권위는 하락하였고, 가족 내 구성원들의 역할이 심대하게 변화하였으며, 결국 가족의 모습과 기능에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변화들이 지속되면서, 차이와 다양성이 받아들여지기 시작하였고, 다양한 가족 형태와 가족 구성원의 이질적인 경험들에도 귀를 기울이게 되었다. 그 결과 ‘정상가족’이라고 불리는 가족의 전형적인 형태들은 가족의 해체를 통해 ‘독신가족’, ‘자발적 무자녀가족’, ‘개방결혼’, ‘한부모 가족’, ‘동거 가족’ 등의 다양한 가족을 드러나게 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가족을 더 이상 보편적인 ‘가족(the family)’으로 볼 것이 아니라 복수적이고 이질적인 ‘가족들(families)’로 보아야 한다는 인식 변화를 가져왔다. 한국의 영화는 1960년부터 1990년에 이르기 까지 사회의 일반화된 가부장적 구조와 공생관계를 형성하며 이를 영화 속에서 재현시키고 재생산해왔다. 그러나 1997년 이후 제작, 상영된 영화 중 가족이데올로기를 쟁점화한 영화들은 가족의 해체적 양상을 심도 있게 재현하였다. 기존의 한국 사회가 가지고 있던 ‘가족이데올로기’인 가부장적 가족 제도의 틀을 깨고, ‘정상가족’의 해체적 현상들을 보여주었다. 해체적 현상에 따른 가족의 붕괴는 한국 사회가 가지고 있는 가족 문제를 드러냈으며, 이는 다시 새롭고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제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 틀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1997년부터 2009년 5월까지 제작, 상영된 영화 중 ‘가족’을 서사 전면에 내세운 영화 4편을 선정해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해체적 양상을 보이는 가부장적 가족 형태와 대안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살펴보았다. 이것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관객이 어떻게 독해해 나가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영화 <우아한 세계>와 <똥파리>는 가족이데올로기의 해체적 양상을 쟁점화 시켰다. <우아한 세계>는 한국 사회에서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가부장제와 그 변화에 의해 권위를 잃고 주위를 맴도는 아버지를 보여주었다. 가족 중심에서 밀려나는 가부장은 가족 내부에 끼어들지 못하고, 남성 중심의 가족제도는 해체의 위기를 맞게 된다. <똥파리>는 유대감을 실현해야하는 가족이 오히려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 집은 그 상처가 생기게 되는 공포와 고립의 공간이 되어 가족이 심리적으로 해체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가족이데올로기적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비전형적인 가족의 형태를 제안한 <아내가 결혼했다>과 <가족의 탄생>은 집단혼적 개방결혼이라는 결혼 형태와 비혈연의 여성 중심가족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등장 시켰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살고 싶은 여성은 집단혼이라는 방법으로 우리가 볼 수 없었던 가족을 만들었다. 또한 혈연관계의 가족들로부터 상처받거나 외면당한 인물들은 여성을 중심으로 경험과 시간을 공유하면서 형성한 유대감을 통해 새로운 가족으로 탄생시켰다. 이들 영화는 가족의 해체적 양상과 대안적 가족 형태를 재현하여 관객들에게 보여준다. 이에 관객들은 저마다 자신이 처한 사회적 혹은 경험적 관념과 지식을 바탕으로 독해를 해 나간다. 이것은 선정한 4편의 영화의 관객 독해 양상에도 그대로 나타난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가족 해체의 모습과 대안적 가족 형태의 재현에 대다수의 관객은 ‘가족이데올로기’에 따르는 지배적인 독해를 해 나간다. 해체에 대해서는 가족의 가부장적 복원을 해야한다는 시각으로, 대안적 가족 형태에 대해서는 아직은 의심 어린 시각으로 독해를 한다. 하지만 소수의 관객들은 영화를 보면서 가족의 해체와 새로운 가족 형태의 출현에 대해 적극적으로 동의하면서 기존의 ‘가족이데올로기’에 대한 대항적 독해를 한다. 또한 기존의 ‘가족이데올로기’를 따르지만 부분적으로는 변화를 필요로 한다는 타협적 독해를 하는 관객들도 있다. ‘가족이데올로기’에 따르는 가족의 붕괴 혹은 해체라는 식의 위기감을 표현하기보다는 가족의 기능이 달라진 현실을 인정하고, 가족의 다양한 현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Representations of Family in Korean Films after the '97 Economic Crisis Kim, hyemi Dept. of Program in Mass Media and Scenario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e unstability among the members of families generated by mass joblessness after the Korean Economic Crisis of 1997, that is so called 'IMF Economic Crisis', put many families into the dismantling process. This process transformed the shapes and functions of families radically, making the authority of the heads of families, especially fathers, lessened and changes of roles of their members deepened. Those continuing changes make difference and diversity in families accepted and their heterogeneous experiences heard. As a result, there appeared a variety of new forms of families such as single family, voluntary no-kids family, open family, one-parent family, no-marriage couple family, etc. These phenomena changed the notion of family, so the family is no longer in the universal one form but families could have heterogenous forms. From 1960s to 1990s, Korean movies have represented and reproduced the generalized patriarchal structure of the society. However, some movies which were produced and shown off after 1997 in Korea are focusing on the family ideology and deeply representing the dismantling phenomena of families. They show us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at is, the way in which the patriarchal structure of the 'normal family' as the family ideology in the Korean society is breaking down. The break-down of the family proposes a variety of forms of family and illustrates the family problems in the Korean society. With these problematic, this study selects four which deal with the family problem among the movies which produced and released from 1997 to 2009, and examines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patriarchal structure of family and a variety of alternative forms of family by criticizing them. And, it discusses how the process and the forms are represented in the movies and how those are read by the audience. The Show Must Go On and Breathless issued the way of dismantling the family ideology. The Show Must Go On shows the change of the patriarchal structure of family and most of all the father who lost the authority in the family and fell out to its periphery. The father pulled out from the center to outside of family, and the dismantling crisis came into the patriarchal family. Breathless shows the psychic process of dismantling in which the home, supposed to be the place where the solidarity of family members is realized, become the place of fear and isolation which makes the family members hurt. My Wife Got Married and The Birth of a Family propose the new forms of family such as 'the open marriage' and 'the non-blood relational woman centered family'. A woman who wants to live with those who she loves makes the new form of family of the open marriage. And, people who are hurt or avoided by traditional blood relation family members form the new family in which they produce the womanly solidarity with the common experiences. These movies show audience the way of dismantling the traditional families and forming the alternative forms of family. Audience read the movies on the basis of their social position, experience and knowledge. It is the same in the four selected movies. The most audience keep dominative decoding according to the family ideology, so they think that the traditional patriarchal family should be restored and suspect the defect of the alternative forms of family. But, some audience actively agree with the alternative forms of family. According to their counter-reading, changed social situation demands the new roles and forms of famil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10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02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ASS MEDIA AND SCENARIO CONTENTS(대중문화·시나리오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