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9 0

노인전문 간호사 대학원의 노인건강사정 교육 과정에서 표준화 환자의 활용 경험

Title
노인전문 간호사 대학원의 노인건강사정 교육 과정에서 표준화 환자의 활용 경험
Other Titles
An Experience of Using Standardized Patients during the Graduate Course of Geriatric Health Assessment for the Specialty of Geriatric Nurse Practitioner
Author
유정현
Alternative Author(s)
Yoo Jung Hyun
Advisor(s)
박훈기 교수님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전문 간호사 배출에 있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수업 전에 표준화 환자를 경험하면 학생들은 자신의 기초 수준을 알게 되고 향후 학습목표를 분명히 할 수 있고 교수는 학생의 수준과 수요에 맞게 수업내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노인 전문 간호사 대학원 과정의 수업에서 포괄적인 진료를 할 수 있는 표준화 환자를 개발하여 교과목수업전후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수업 후 노인건강사정 영역별 성취도를 평가하여 표준화 환자 활용이 노인 전문 대학원 과정 학생들에게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표준화환자진료시험 문항은 교육전과 교육 후 환자의 만족도, 병력 청취, 간이 정신 검사, 일상생활 기능, 도구적 일상생활 기능, 우울증, 영양, 신체 진찰, 환자-간호사 관계의 9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시험 시간은 교과목 시작 전 표준화환자진료시험은 15분, 사후 평가는 20분이었다. 시험 시행은 12명의 학생을 두 군으로 나누어 제 1군에서는 가정의학과 교수 1명과 간호학과 교수 1명의 채점관이 동시에 6명의 학생을 순차적으로 채점하였고, 제 2군에서는 다른 가정의학과 교수 1명과 간호학과 교수 1명이 다른 6명의 학생을 채점하였다. 시험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수업전후의 교육 효과를 시험 성적을 통해 분석하였다. 표준화환자진료시험의 신뢰도는 0.68이었으며 영역별로는 환자간호사관계나 일상생활기능의 영역에서 신뢰도가 높게 나왔다. 의대교수의 평가점수는 42점으로 간호대 교수의 평가점수 43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평가자간의 총점 상관계수는 0.86이었다. 진료시험의 영역별 상관성은 병력청취, 신체진찰 각각은 일상생활기능평가영역과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교육 전에 비하여 교육후의 진료시험 성적이 35%정도 향상되었다. 영역별로는 간이 정신 상태 검사, 신체진찰 영역에서 교육효과가 뚜렷하였고 병력청취에서는 오히려 교육 효과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표준화환자 진료시험의 신뢰도는 높았으며, 노인 전문 간호사 과정 의 대학원생 교육에서 교과목 운영 전후로 표준화환자 진료시험을 활용하면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향후 좀 더 많은 표준화 환자 사례를 활용한 실무교육 성과 분석이 필요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3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5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