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6 0

pH 변화를 고려한 혈청 유리 칼슘과 유리 마그네슘 측정치의 해석

Title
pH 변화를 고려한 혈청 유리 칼슘과 유리 마그네슘 측정치의 해석
Author
박해일
Advisor(s)
박일규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배경 혈장 내에서 수소 이온과 경쟁하는 유리칼슘과 유리마그네슘은 검체 내의 pH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임상검사실에서 사용되는 혈액가스분석기와 전해질분석기는 pH 7.4에 보정된 유리칼슘과 유리마그네슘 값을 측정값과 함께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환자 중에는 산염기 평형상태가 깨져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에 저자는 채혈관의 뚜껑이 열리기 전의 pH를 추정하여 pH 7.4와 비교함으로써 유리칼슘과 유리마그네슘을 pH 7.4에 보정한 값을 보고하는 것이 적절한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법 주사기에 채혈된 동맥혈 전혈 593개와 SST의 정맥혈 혈청 196개로부터 pH, pCO2, HCO3-, Ca2+, Mg2+을 측정하였다. SST의 정맥혈 혈청 중 외래 환자군에 속하는 52개로부터 뚜껑이 열린 시점으로부터 측정시점까지의 시간간격(time interval)과 측정된 pH (pH [tm]) 사이에서 회귀분석을 하여 얻은 관계식으로부터 채혈시점의 pH (pH[ts])를 추정하였다. 이 pH를 보정의 기준 pH인 7.4와 비교하여 통계학적 유의성과 검사의학적 유의성을 판정하였다. 결과 SST의 정맥혈 혈청 중 외래 환자군으로부터 도출된 관계식은 다음과 같았다. pH[tm] = 7.469 + 0.007*time interval (r = 0.627, P <0.001). 이로부터 구한 채혈시점의 pH 추정식은 아래와 같았다. pH[ts] = pH[tm] - 0.007*time interval. 이로부터 추정된 채혈시점의 pH (pH[ts])는 외래 환자(outpatient)군에서 7.467±0.066, 입원 및 응급실 환자(inpatient+ER)군에서 7.452±0.109로 pH 7.4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검사의학적으로도 유의한 정도의 차이로 판정되었다. 결론 채혈관의 뚜껑이 열린 이후 대기 중으로의 CO2 소실로 인해 pH 변화가 일어난 혈청에서 측정된 Ca2+과 Mg2+을 pH 7.4에 일률적으로 보정한 값을 임상의사에게 보고할 경우, 임상상과 맞지 않는 부가적인 정보로 인해 환자의 상태에 대한 이해와 임상적 판단에 차질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Background As free calcium and magnesium competing with hydrogen ion in plasma can be affected by pH in the sample, blood gas and electrolyte analyzers give us free calcium and magnesium value adjusted to pH 7.4 with measured values. By the way, patients could have acid-base imbalance with his or her pH far from 7.4. Author estimated pH of serum preceding decapping of SST (serum separation tube) then compare it with pH 7.4 in order to consider whether reporting the free calcium and magnesium adjusted to pH 7.4 to clinician would be appropriate. Methods 593 arterial whole bloods sampled by syringe and 196 venous serums in SST were subject to analysis by Stat Profile�� Critical Care Xpress (STP CCX; Nova Biomedical, Waltman, MA, USA) and pH, pCO2, HCO3-, Ca2+, and Mg2+ were measured. Using 52 serums in SST of outpatient,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measured pH (pH [tm]) and the time interval from decapping to analysis was done. With the regression equation, pH (pH[ts]) of serum preceding decapping which assumed to be equal to pH at sampling time were calculated for every serum in SST. The estimated pH was compared to pH 7.4 that are target for adjustment of Ca2+ and Mg2+ to decide the statistical and laboratory significance. Results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pH and time interval obtained from outpatient serum in SST was pH[tm] = 7.469 + 0.007*time interval (r = 0.627, P <0.001). The equation estimating pH at sampling time was pH[ts] = pH[tm] - 0.007*time interval. Mean±SD of estimated pH (pH[ts]) at sampling time were 7.467±0.066 for outpatient group and 7.452±0.109 for inpatient+ER group, both of which were higher than pH 7.4 with statistical and laboratory significance (P<0.001). Conclusions For Ca2+ and Mg2+ measured in the serum from which CO2 escaped into the air since decapping of tube, reporting the normalized Ca2+ and Mg2+ values adjusted to pH 7.4 regardless of varying in-vivo acid-base balance status of the patients could give clinicians the misleading information on patient statu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29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2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