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아-
dc.contributor.author이성혜-
dc.date.accessioned2020-04-01T16:44:19Z-
dc.date.available2020-04-01T16:44:19Z-
dc.date.issued2010-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21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527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요 약 노인들의 건강증진과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영양적 위험에 처한 노인들을 선별해 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국가적 차원의 영양관리 정책이야말로 영양불량 노인의 영양상태를 개선시키고, 만성질환의 관리와 치료에 도움을 주며, 건강한 노년의 삶의 전체적인 질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 영양개선과 관련한 국가적 차원의 정비 및 지속적인 지원이 뒤따를 수 있도록 노인 영양증진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 거주노인과 비거주노인의 식행동 및 식사의 질, 생활만족도 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서술적 비교연구로서, 식행동의 측정을 위해 윤혜정(2004)이 개발하고 박현정(2007)이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식사의 질은 24시간 회상법과 Can-pro Program 3.0 전문가용을 이용하여 측정, 생활만족도는 최성재(1986)가‘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시 5개의 구에 위치해 있는 노인복지시설과 자택에 거주하면서 종교기관, 공원, 복지관, 재래시장 등을 이용하는 노인을 각각 104명, 106명 편의 추출하여 일대일 면담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자는 205명으로 거주노인 78명, 비거주노인 71명으로 모두 여자가 많았고, 연령은 거주노인 평균 74.74세, 비거주노인 평균 71.51세였으며, 교육수준은 거주노인은 초졸이 가장 많았고, 비거주노인은 고졸이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거주노인은 사별이 가장 많았고, 비거주노인은 기혼이 가장 많았으며, 거주노인의 총자녀수는 4명, 비거주노인은 3명이 가장 많았다. 종교는 거주노인은 무교, 비거주노인은 기독교가 가장 많았고, 건강상태는 거주노인이‘나쁘다’가 가장 많았으며, 비거주인은‘좋다’가 가장 많았다. (2) 결식의 주된 이유는 거주노인은‘몸이 불편해서’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고, 비거주노인은‘시간이 없어서’와‘귀찮아서’가 가장 많았으며, 평상 시 식욕은 거주노인은‘보통이다’가 가장 많았고, 비거주노인은‘식욕이 좋다’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간식 횟수는 거주노인 2회, 비거주노인은‘거의 먹지 않는다’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간식을 먹는 이유는 거주노인은‘습관적으로’, 비거주노인은‘친구와 어울릴 때’의 이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거주노인의 일일 에너지 섭취량은 거주노인 1,929.5kcal, 비거주노인 1,512.2kcal였고, 권장섭취량(RI) 대비 영양소 섭취량에 있어서 거주노인은 칼슘의 영양소에서 섭취량이 부족하였지만, 비거주노인은 비타민C, 비타민B₁, 비타민B₂, 니아신, 엽산, 칼슘, 아연의 영양소에서 섭취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적정비율(NAR)이 1미만인 영양소는 거주노인은 비타민C, 비타민B₁, 비타민B₂, 니아신, 엽산, 칼슘, 인, 철분, 아연으로 나타났으며, 비거주노인은 모든 영양소에서 1미만으로 나타나 영양소를 적정 섭취하는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평균영양소 적정비율(MAR)은 거주노인 .98, 비거주노인 .84로 거주노인이 비거주노인보다 거주노인이 영양소를 적정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양소 질적지수(INQ)는 거주노인이 칼슘의 영양소에서만 INQ가 1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비거주노인은 비타민C, 비타민B₁, 비타민B₂, 니아신, 엽산, 칼슘, 아연의 영양소에서 1미만으로 나타나 비거주노인에 비해 거주노인의 영양소 질적지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문항별 생활만족도는 거주노인은 과거차원의 긍정의‘나는 다른 사람들 보다 다복한 편이었다’, 비거주노인은 현재차원의 부정의‘요즘 나는 매사가 짜증스럽고 귀찮다’가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점수가 가장 높은 하위 요인은 거주노인과 비거주노인 모두 현재차원의 부정으로 나타났다.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 점수가 비거주노인에 비해 문항별, 하위영역별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인복지시설 거주노인과 비거주노인 간 식행동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비거주노인에 비해 거주노인의 식행동이 좀 더 규칙적이고 안정적이었으며, 식사의 질 또한 거주노인이 양적․ 질적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생활만족도에 있어서도 식행동과 식사의 질이 양호한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 점수가 비거주노인에 비해 높게 나타난바 규칙적이며 안정적인 식행동, 질 높은 식사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올바른 식행동과 양적ㆍ질적 수준이 높은 식사가 노인의 영양상태를 개선시킴은 물론 건강상태를 유지․ 증진시키고, 더불어 생활에서의 만족을 배가시켜 결국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 예상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노인복지시설 거주노인과 비거주노인의 식행동 및 식사의 질, 생활만족도 비교-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Quality, Life Satisfaction in Senior Care Facilities Residents, Non-Residents Elderly Pers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성혜-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Sung Hy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임상간호정보대학원-
dc.sector.department임상사례관리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임상사례관리 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