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1 0

시기별 한강변 공동주택 단지에 대한 경관 만족도 조사

Title
시기별 한강변 공동주택 단지에 대한 경관 만족도 조사
Other Titles
Survey for time periodic scenary satisfaction on riverside multi-building complex of Han river
Author
김철진
Alternative Author(s)
Kim, Chul Jin
Advisor(s)
최창규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강과 그 주위를 둘러싼 자연경관은 서울의 중요한 경관자원이다. 그러나 한강연접지역과 구릉지에 추진된 대형의 고층 아파트 중심의 획일적인 개발로 인해 경관의 질을 저하시켰다. 서울시는 한강변 경관의 심각성을 인지하여‘서울시도시경관관리 방안연구’,‘한강연접지역 경관관리방안연구(1994)’,‘서울의 주요하천변 경관개선방안연구(2003)’등의 경관관련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재개발․ 재건축 사업으로 인한 위압경관, 차폐경관, 획일경관, 잠식경관 등 네 가지 문제경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처럼 경관훼손의 원인을 파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건축물의 물리적 지표 규제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이유는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경관평가 방법론의 부재이다. 특히, 경관평가는 매우 정성적이고 평가자마다 평가결과가 달라지는 주관적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일반인보다는 객관성과 보편성확보가 용이한 전문가 집단에 의해서 관리 안이 작성되어왔다. 기존의 경관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경관의 정의와 특성, 속성을 파악하고 해석하는 측면에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실제적인 경관관리를 위한 제도연구나 실증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특히, 도시경관에 문제와 원인이 무엇인지, 무엇을 관리해야 경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등 기본적인 문제인식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변에 연접한 시기별 공동주택단지의 건축형태에 따른 경관을 어떻게 느끼고 평가하는지 한강변을 이용하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시기별 경관의 변화를 SD법을 통해서 한강변 주거단지의 경관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여 선호도와 문제경관을 도출하여 한강변 경관관리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변에 연접한 시기별 공동주택단지의 건축형태에 따른 경관을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해 한강변을 이용하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시기별 경관의 변화를 SD법을 통해서 공동주택 단지의 건축형태에 따라 경관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한강변 주거지 경관의 문제경관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내용적 범위는 도시경관 및 하천변 경관의 분석 및 평가 방법, 실험조사법등이며, 공간적 범위로는 주택법에 의한 사업승인을 받은 기준이 되는 대상지 중에서 근린주구 중심시설을 필요로 하는 1,000세대 이상을 대상으로 1970년 이후 2009년 까지 준공된 아파트 단지를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두 가지 단계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는데, 첫째는 사람들이 시기별 한강변 공동주택 단지에 대한 경관의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고, 둘째는 사람들이 경관의 선호도를 평가할 때 주거지 경관의 경관미 값에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자료 구축 및 조사 설계방법은 한강 연접지역에 위치한 공동주택 단지를 전면성을 두기 위해 대상지의 반대편 한강변에서 현장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SD법을 사용하여 일반 시민들이 한강변 주거지경관을 어떻게 느끼는 지를 설문조사를 통행 평가하였다. 따라서 시기별 한강변 공동주택단지의 건축형태에 따라 경관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로 주거지 경관의 이미지를 평가하였을 때 시기별 건축형태에 따라 경관의 인식의 변화는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경관과 선호하지 않는 경관들이 대체로 일치한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둘째, 원경에서의 시기별 주거지 경관의 인지하는 경관형용사로는 「멋없는-멋있는」,「부조하로운-조화로운」,「조잡한-세련된」,「지루한-흥미로운」,「획일적인 다양한」로 주거지 경관을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불쾌한-상쾌한」,「답답한-시원한」경관형용사로는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자인적인 다양함과 세련미는 증가한 반면, 높이에 의한 단절은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경관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을 살리는 주거단지의 계획이 경관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고 특히, 한강변의 문제점으로는 건축물의 높이에 의한 차폐감, 위압감, 주변 녹지의 잠식경관등 문제점으로 개선되어야할 경관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원경에서 조망한 한강변 공동주택단지의 구체적인 지표 값을 제시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1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9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도시설계·조경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