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내 여가형 자전거도로 노선계획 사전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내 여가형 자전거도로 노선계획 사전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Pre-Evaluation Criteria for Leisure Purpose Bicycle Route Plans in an Urban Area Context
Author
김지은
Alternative Author(s)
Kim, Ji Eun
Advisor(s)
원제무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위기와 지구온난화가 커다란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녹색교통체계의 구축, 특히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의 중요성 및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안전하고 편리한 자전거도로망 구축에 힘쓰고 있으나 자전거가 하나의 생활교통수단으로서는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자전거도로의 일반화된 평가기준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통계자료를 이용한 정량적 지표 위주의 평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교통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가형 자전거도로 계획 시 고려해야 할 주요 계획요인을 조사 및 분류하고, 이로부터 여가형 자전거도로의 노선을 사전평가 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자전거도로 사전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크게 3가지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국내외 자전거도로 평가지표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계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연구의 착안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평가지표 선정을 위하여 선행연구 검토, 여가형 자전거도로의 문제점 분석, 자전거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평가지표를 분류 및 검토하였다. 평가지표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일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전문가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최종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셋째, 평가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방법(Analytic Network Process Model; ANP)을 이용하여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Case Study를 통해 여가형 자전거도로의 사전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기준집합별 세부평가지표의 중요도를 살펴보면, 먼저 안전성 부문에서는 전용도로(0.53255), 유인성 부문에서는 매력과 흥미(0.44519), 잠재성 부문에서는 관련계획(0.64035), 접근성 부문에서는 노선연결(0.46797)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인 측면에서 세부평가지표의 중요도 분석결과, 전용도로(0.111373), 관련계획(0.095934), 도로망(0.091410), 노선연결(0.083158), 매력과 흥미(0.081602)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ase Study를 통하여 여가형 자전거도로의 계획노선을 사전평가 해본 결과, 광진교-구리 한강 자전거도로(수변형)(0.40206), 남산공원길 자전거도로(관광형)(0.36714), 경의선 폐선부지 자전거고속도로(도심형)(0.23080) 순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정부 및 지자체 등에서 자전거도로의 노선계획 시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토대로 노선대안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현재 추진되고 있거나 향후에 추진될 자전거도로 노선에 대한 평가기준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Global warming and energy conservation have emerged as two important issues all over the world. Building a green transportation system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incorporates the use of bicycles is, therefore, of particular interest to many governments. All levels of government, especially those at the local level, are trying to establish safe and convenient bicycle corridors. The lack of consistent bicycle use in everyday life is one obstacle that they face. Another obstacle is how to evaluate bicycle routes. There is currently no general evaluation criteria for bicycle routes and bicycle paths. One option is to evaluate quantitative criteria using statistical data. This study researches and classifies some primary considerations when choosing bicycle corridors and routes in order to enhance bicycle transportation. After developing these considerations, pre-evaluation criteria is also developed in order to assess bicycle routes for the purpose of leisure. The following are three steps that this study takes in order to develop the pre-evaluation criteria for leisure bicycle routes. First, I review the existing criteria from previous studies related to bicycle routes. Second, the pre-evaluation criteria are selected through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which included problems of existing leisure bike routes and bicycle user surveys. A t-tes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evaluation criteria. In a brainstorming session, experts discussed the appropriateness of each measure and decided upon final bicycle route pre-evaluation criteria. Finally, I establish the frame of evaluation through the verification of correlations between evaluation criteria and the apply ANP(Analytic Network Process)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ir degree of importance. The pre-assessment of leisure bicycle routes was conducted using the newly established evaluation criteria. My study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 importance result of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of each superset is, for the safety component, bicycle only roads (0.53255), for the attractiveness component, fascination and interest (0.44519), for the potentiality component, related plans (0.64035), and finally for the accessibility component, connected routes (0.46797). Second, analysis results of each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show that bicycle only roads (0.111373)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llowing this is related plans (0.095934), road continuity (0.091410), connected routes (0.083158), and fascination and interest (0.081602). Third, we ranked alternative leisure bicycle routes. First is waterfront routes (0.40206), second is city-sightseeing routes (0.36714), and third is downtown routes (0.2308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s decide the priorities of alternative routes through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criteria when planning bicycle routes. Furthermore,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current bicycle routes and future planned bicycle rout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12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5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PLANNING(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