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성호-
dc.contributor.author염보라-
dc.date.accessioned2020-03-27T17:09:18Z-
dc.date.available2020-03-27T17:09:18Z-
dc.date.issued201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81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389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변하는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의 요구를 교과서가 잘 반영하고 있는지 문화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7차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2학년 ‘영어Ⅰ’교과서 5종을 택하여 분석을 하였는데, 내용 배경의 문화별, 권역별, 국가별 분포와 삽화 인물의 인종별, 성별 분포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빈도분석을 하였다. 배경 문화와 권역별 분류는 박소영 (2010)의 문화배경 분류와 Crystal (2003)의 권역별 국가분류를 수정하여 분석 기준을 만들었고, 성별 분류는 홍수경 (2009)이 사용한 인종분류기준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본문의 배경이 되는 문화는 보편문화와 영어권문화, 대조문화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더욱 자세히 살펴보니, 보편문화라 하더라도 영미권문화를 그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이 많아 실질적으로는 영미권문화가 많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 전체 5종 교과서의 본문내용 중 Crystal 의 권역에서 외부원에 포함되는 반(半)영어권문화는 한번도 다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 본문 외, 문화란을 통틀어 배경이 되는 국가는 미국, 한국, 영국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고 프랑스, 이탈리아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전체적으로 영미권이나 서구 유럽에 속하는 국가들의 등장이 많은 것으로 보였고, 외부원의 국가는 출현 빈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삽화 분석을 통해 인종별로 백인, 황인, 흑인의 순으로 빈도를 나타낸 것을 볼 수 있었다. 백인이 총 인물 삽화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보여 인종의 분포가 고르지 못했고, 황인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국인의 출현 횟수를 제외한다면 황인과 흑인은 백인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빈도로 삽화에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흑인을 주인공 으로 세워 본문을 구성하거나 다른 인종을 편견 없이 대해야 한다는 내용의 문화란을 제시한 교과서도 있어 다문화적인 관점에서 인종을 대하려는 태도가 보인 부분도 있었다. 마지막 성별 분석을 통해 본문의 등장인물은 남성이 여성보다 약 1.5배 많은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고정적인 성에대한 인식을 새로운 방향으로 보려는 시도를 한 단원도 있었다. 전체적으로 문화배경별, 국가별, 인종별, 성별에 따른 분포는 고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의 목적은 타 문화권의 사람들을 평등하게 대하는 사고방식을 기르는 것인데 일를 교과서에서 올바르게 제시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배경이 되는 국가를 다양하게 제시해야 하며, 등장인물의 인종별, 성별 비율을 고르게 해야 한다. 또한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재교육을 실시하여야 하고, 교사들 스스로도 타 문화권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지고 학생들을 지도하여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High School EnglishⅠ)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For this purpose, five textbooks have been selected and two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1) How are the background cultures, Circles (Crystal, 2003) and nations distributed in their contents? 2) How are the races and genders distributed in the illustrations? To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is research adopted with a slight modification Park, So-Young (2010)’s criteria of background cultures and Crystal’s ‘three concentric circles’. Moreover, it used Crystal’s national standards and Hong, Soo-Kyung (2009)’s racial standards to classify nations and ra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ir background culture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universal cultures, English speaking countries’ cultures, and comparison of cultures. Moreover, the universal cultures were also based on English speaking countries’ backgrounds. However, the countries in Crystal’s ‘Outer Circle’ in which people speak English as their second language were not covered in any of the textbook reading sections. Secondly, the countries that are dealt with the most in the textbook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America, Korea, and England. In addition,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European countries appeared often in the contents, yet countries that have English as their second language were not mentioned prominently. Thir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aces of people in illustrations, Caucasians were more often shown (about 50%) than Asians and blacks. The distribution of races was not even, although few units had black as the main characters in the reading content showing a fractional racial equality. Finally, the analysis of genders showed that males appeared 1.5 times more often than females in average. In conclusion, this study had found out that the distribution of cultural backgrounds, nations, races and genders are not equal. To improve these weaknesses, the display of other cultures should be adjusted so that they become more even to all three concentric circles and their countries. Moreover, the government and teachers need to work together to conduct multicultural education successfully.-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제7차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영어I'의 암묵적인 문화적 가정에 대한 분석: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Tacit Cultural Assumptions in Current ‘High School EnglishⅠ’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염보라-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um, Bo Ra-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어문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영어교육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