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주형-
dc.contributor.author박혁-
dc.date.accessioned2020-03-27T17:06:14Z-
dc.date.available2020-03-27T17:06:14Z-
dc.date.issued201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67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047en_US
dc.description.abstract운영을 위한 모니터링과 지역관리 프로그램 등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 문화지구, 계획특성, 개선방안,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 21세기의 도시환경 변화는 도시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 변화의 중심에는 문화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어 바야흐로 문화경쟁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또한 도시 간 경쟁의 심화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는 문화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에서는 문화지구 제도가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문화지구 제도는 각 문화지구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일률적인 관리계획의 수립으로 인해 그 실효성에 있어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문화지구 내에서 자생되고 발전하는 문화를 그 자체 그대로 자생성이 계속 발전하도록 지원하기 보다는 정책적 차원에서 관리하는 개념에서 접근하여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지 못하고, 오히려 문화지구의 도입으로 인해 지역의 문화를 상업화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문화지구를 각각의 성격에 따라 세분화하여 유형별 계획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각 유형의 계획특성을 반영하여 지역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최근 문화지구로 지정된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의 계획 및 운영에 있어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지구를 전통문화중심 문화지구, 문화시설중심 문화지구, 문화산업중심 문화지구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사례분석과 전문가 설문을 통해 각 유형별 계획특성을 도출한 결과, 전통문화중심 문화지구에서는 역사자원 보전 및 활용, 전문가 자문 프로그램, 주민협의기구 및 주민협약, 보행환경 정비, 대중교통 개선, 모니터링, 지역관리 프로그램, 보조금 지원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시설중심 문화지구에서는 대중교통 개선, 지역 활성화 프로그램, 공공시설 및 공공공간 확보, 보행환경 정비, 권장시설 인센티브, 보조금 지원, 지역관리 프로그램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산업중심 문화지구에서는 고용창출 및 교육 프로그램, 전문가 자문 프로그램, 대중교통 개선, 공공시설 및 공공공간 확보, 보행환경 정비, 파트너쉽, 지역 활성화 프로그램, 지역관리 프로그램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례분석 및 전문가 설문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종합하여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에 적용하였다. 문화자원의 내용에 따라 전통문화중심 문화지구에 해당하는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는 역사자원 보전 및 활용은 물론이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가 자문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민협의기구 및 주민협약을 기반으로 하는 주민참여형의 운영 체계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기존의 간접적인 금융지원보다는 보조금 지원과 같이 보다 직접적인 금융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로부터 방문객의 접근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대중교통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의 지속적인 관리&#8231-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문화지구의 유형별 계획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혁-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