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4 0

범죄피해자 보호에 관한 연구

Title
범죄피해자 보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tection of Criminal Victim : in Police Investigation
Author
박주진
Alternative Author(s)
Park, Ju Jin
Advisor(s)
조태제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지 범죄는 예기치 못한 상태에서 발생한다. 경찰에서는 신속한 범인 검거가 피해자에 대한 최상의 조치로 보고 범죄자의 검거와 처벌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반면 범죄의 피해자가 겪는 고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과 인식은 아직도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범죄 발생 후 진행되는 수사절차와 개인이 겪어야 할 피해의 상흔은 더욱 더 피해자를 고통과 어려움에 처하게 만들어 기존의 대책에 대한 개선과 대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경찰은 수사 과정에서 살인, 강도, 성폭력 사기 등 다양한 범죄에 접하게 되나 대다수의 수사는 한정된 수사 인력에 의해서 발생 범죄의 종류와 관계없이 일정한 절차에 의하여 진행된다. 그러나 범죄 피해자는 발생 범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피해를 당하게 된다. 당연히 그 피해의 보호와 구제는 발생 범죄의 양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나 일부 성폭력, 가정폭력 조직폭력 등에 대한 수사와 피해자 보호 방안은 매뉴얼이 활용되고 있지만 대다수 범죄의 피해자가 받아들이는 보호의 수준과 만족도는 아직도 많은 부분에 개선이 필요함이 드러났다. 이는 범죄 피해자를 규정하고 보호의 범위를 정하는 제반 규정의 불비라기보다 경찰 수사과정이 사안의 실체적 진실 발견을 위해서 피의자와 피해자에 대한 객관적이고 중립적 태도를 견지해야 하는 본래적 한계 또한 상존하기 때문이다. 경찰수사 과정은 결국 이러한 한계를 인정하면서 피해자 보호에 접근하여야 하지만 기존의 수사절차에서 보완하고 개선할 여지 또한 많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범죄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적 근거와 제반 지원 대책 등을 살펴보고 경찰 수사 과정에서의 범죄 피해자 보호 대책을 실효성 측면에서 재검토하여,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전문 서적, 외국 문헌, 연구논문, 관련 기관 정기간행물, 공공기관 발행 자료 등을 활용한 자료 연구와 실제로 일선 경찰서에서 취급한 사례 및 언론 보도 자료, 등을 분석하고 외국의 사례를 검토하여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범죄 피해자 대책이 도출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하였으며 내용을 요약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경찰수사 과정에서의 범죄 피해자 보호가 중요한 이유를 중심으로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하고 제2장은 범죄피해자 보호와 관련된 일반적인 고찰로서 범죄피해자의 범위와 분류와 이론적 논의로 범죄 피해자 보호 대책에 접근하는 2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는데, 법적 근거 하에 피해자의 권리로서 피해자보호 대책을 강구하는 ‘권리적 접근 모델’과 북미 등을 중심으로 피해자와 가해자의 화해를 중심으로 접근하는‘회복적사법 모델’의 개념과 최근의 동향 등을 검토 하여 경찰 수사 과정에서의 도입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우리나라와 외국의 범죄피해자 보호에 있어 법적인 근거 및 제도적인 절차와 대책, 그리고 범죄피해자 보호 ․ 지원 제도를 효율성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경찰에서의 개선, 도입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제4장은 경찰 전체 수사과정을 통하여 범죄피해자 보호 체계, 법적 근거, 그리고 수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범죄 피해를 검토하고, 피해자의 직접 지원을 위한 ‘피해자서포트’,‘원스톱 지원센터’등에 대한 운영 실태를 실효성 중심으로 분석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제5장은 현재까지의 검토를 중심으로 경찰 수사과정에서 피해자보호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첫째로 범죄피해자 보호를 위한 일선 경찰서 전담부서를 설치, 별도의 범죄 피해자 보호관 사무실을 두어 상시 피해자가 찾아갈 수 있는 접근 시스템을 구축, 피해자를 직접 곁에서 돕는 체제를 유지하고, 둘째로 피해자와 신고자의 신변보호를 위한 조치로서, 침해 가능성 등급별로 관리,이를 24시간 모니터링하여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조치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셋째로 현재 검찰에서만 운용되는 형사 조정제도를 경찰 수사 단계에서도 도입할 것을 제시하는 한편, 기타, 범죄 피해자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여 수사 환경의 개선과 교육 프로그램의 확충, 관련 법령의 정비 등을 제시하였다. 제6장은 결론으로서 본 연구의 의의점을 기술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경찰 수사과정에서 준비 없이 고통에 직면하는 범죄 피해자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확실하게 인식하고 그 보호도 즉시적이지 않으면 안 될 것임을 재인식하는 계기로서 일선 수사 환경이 범죄 피해자의 인권보호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tection of Criminal Victim in Police Investigation Park, ju jin Dept, of Judical Police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Hanyang University Crimes are bound to occur under unexpected conditions. Police view catching criminals swiftly as the best measure for victims and give their best effort and attention in this regard. However, they feel that a lack of substantial support and acknowledgment in comparison with the pain which the victims suffer from. In particular, the victims’ scars coupled with the progressive investigation procedure following the occurrence of the crime could drive the victims into more trouble and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existing measures and alternatives be made to improve the situation. While police in the course of an investigation face a variety of criminal types, most of the investigations proceed in certain formalities without respect to the kind of crimes due to limited investigative personnel. Notwithstanding, the victims of crimes are victimized in many ways with regard to the crimes that have occurred. Naturally, as the protection and salvation of the victim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various criminal aspects; crimes of sexual abuse, domestic violence, and organized violence are referred to in a similar way on manuals. However,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safeguarding that the victims accept from the majority of crimes has revealed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in many aspects. This does not restrict the regulated code by defining a particular range for the protection of victims, rather the code remains focused on the intrinsic boundary of sticking to a neutral and objective attitude towards the suspect and the victim for sake of finding substantive truth of the case from the course of investigation by the Police. The process of police investigation sees that there is a lot of room for improvement and complements from the traditional investigation procedure, although acknowledging the limitations but seeking an approach for protecting the victim. Accordingly, this study takes a hard look at various supportive steps and legal grounds for victims of existing crimes, reviewing concrete measures to protect crime victims from the point of effectiveness of the police criminal investigation, and finally aiming to explore every possible way for systematic and essential assistance. For investigation methods, we are to analyze the coverage of all press releases, hand󰠏 on instances of the police stations, and data studies utilized by specialty publications, foreign literature, research papers, periodicals of concerned associations etc., and to induce realistic and effective measures for criminal victims. This thesis consists of six chapters and is broken down as follow: The first chapter states the purpose and methodology of the research centering on why protection of the victim at the police investigation is significant. The second chapter presents two kinds of models to approach protective measures of criminal victims in terms of theoretical approaches together with a general consideration of categorized criminal victims. As a victim’s right under legal boundary, i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being introduced at the police investigation process by reviewing the notion and recent trends of two models; (1) “assertive access model” which devises protective measures for victims, and (2) “restorative legal model” which centers on reconciliation between victims and perpetrators. The third chapter taps the possibility for the police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roblem solving by reviewing legal grounds, systematic procedures, and backup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criminal victims in Koreaandforeigncountries. The fourth chapter raises analytical challenges to focus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upport for victims” and “One󰠏 Stop assistance center’, that directly address the assistance of victims and review the typical criminal damages throughout the overall investigation process by police. The fifth chapter states the mechanisms designated for the improvement of protecting victims at the police investigation based on all the reviews to date (A) Establish an ad󰠏 hoc department to protect criminal victims at the police box, build a system that has a separate protection officer’s office for easy access of victims to maintain that the support for victims is at hand. (B) Take measures to protect victims and persons who make declaration that enables the quick and efficient monitoring around the clock and control in terms of risk management on infringement. (C) Presents the introduction of the criminal mediation during the time of the police investigation stage, which had been operated solely by prosecutor’s office. For boosting awareness on criminal victims, the improvement of investigation environment is proposed along with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program, and the maintenance of the related laws. The six chapter states the meaningfulness of this research in the conclusion and suggest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I hope this research gives insight to the criminal victim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what is really needed as a priority and provides a chance to recognize that their protection should be immediate. Therefore, the circumstances at the police investigation would contribute substantively to helping human rights of the victi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60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0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JUDICAL POLICE ADMINISTRATION(사법·경찰행정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