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9 0

슬링운동이 볼링선수의 근체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슬링운동이 볼링선수의 근체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sling exercise on the change of muscular body type  in bowling player
Author
오충현
Advisor(s)
김찬회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20대의 대학생 중 편측운동으로 체형의 불균형이 있는 볼링선수21명을 대상으로 8주간, 주3회, 60분씩 슬링운동군, 스트레칭군, 통제군의 3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여 체력의 향상 및 어긋난 체형의 균형을 바로 잡아 주고, 체력 및 근·체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편측 운동선수에게서 발생하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측정 시 체성분 분석을 위해 B사의 Inbody 520을 사용 하였으며, 근체형 분석을 위해 G사의 GRT-1101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초체력 분석을 위해 N사의 기초체력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결과 분석은 SPSS 17.0 Version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집단에 따른 운동 전과 운동 후의 차이 검정을 위하여 two way repeated ANOVA를 실시하였다. 이때 집단 간의 교호작용이 있을 경우 집단 내 차이 검정은 one way ANOVA를 이용하였다. 집단 내 전·후 비교는 paired sample t-test를 이용하였으며,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신체구성 신체구성에서는 슬링운동군 내의 체중 및 체지방량의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칭군 내의 골격근량의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체력 체력에서는 각 집단 간 근력의 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슬링운동군 내의 평형성 및 순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칭군 내의 근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근체형 근체형에서는 각 집단 간 흉부, 배부, 요부 및 전부위에서 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흉부 및 전부위의 시기× 집단별 교호작용이 일어났다. 이때, 흉부 사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Tukey의 사후검증 결과 슬링운동군이 통제군보다는 크고, 스트레칭군 보다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슬링운동군 내의 흉부, 요부 및 전부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칭군 내의 흉부 및 전부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슬링운동군에서 체중, 체지방, 흉부, 요부 및 전부위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난 결과 슬링운동을 하는 것은 편측운동을 하는 엘리트 선수들의 근체형의 정적 정형화를 통해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고 사료된다.; By comparing the changes of physical strength and muscular body shape in the group that took 8 weeks of sling exercise, the one that took 8 weeks of stretch and the one that did not take any exercise, this research has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 and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xercise group on physical strength and change in muscular body type. 1. Body formation In body formation, there appear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hange in the weights of bowlers and amounts of body fat in the sling exercise group, and also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hange in the amounts of skeletal muscles in the stretch group. 2. Physical strength In physical strength, there appear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scular strength per time period among the groups. It appeared to b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ense of balance and reflexes in the sling exercise group, and also appeared to b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scular endurance in the stretch group. 3. Muscular body type In muscular body type, there appear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hest, abdomen, lumbar part, and all parts per time period among the groups, and showed reciprocal action per term x group in the chest and all parts. Then, It appeared to b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hest, and the post verification of Tukey showed that the sling exercise group is bigger than the controlled group, but smaller than the stretch group. There appear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hest, lumbar part, and all parts in the sling exercise group, and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hest and all parts in the stretch group. As it appeared to be a meaningful increase in the weights, body fat, chest, lumbar part, and all parts in the sling exercise group,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present a possibility to prevent accidents beforehand through elite athletes who exercise lopsidedly doing sling exercise because it brings the static standardization of muscular body typ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53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19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SPORTS & WELL-BEING(생활스포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