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 0

불심검문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법정책적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불심검문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법정책적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riminal Justice Polic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olice Stop and Question
Author
송갑수
Alternative Author(s)
Song, Kab Soo
Advisor(s)
조태제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불심검문은 범죄예방의 효과와 함께 범죄수사의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경찰활동의 필수불가결한 도구가 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불심검문은 ‘임의규정화’, ‘위해 개념의 부존재’ 등의 문제로 인해 국민의 생명과 신체, 재산을 보호하는 경찰의 임무수행에 적합하도록 규정되어 있지 못하며, 사회변화 추세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중대한 입법상의 불비로서, 법을 준수하는 선량한 시민에게는 불편을 초래하고 법을 지키지 않는 범죄인에게는 무력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불심검문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실효성 확보 방안을 강구함에 그 목적이 있다. 불심검문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법집행 현장에서 근무하는 경찰관들에 대한 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편으로 현행 우리나라 불심검문에 관한 법 규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일선 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불심검문과의 괴리현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외국법제와의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법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벤치마킹이 가능한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법집행 현장에서 근무하는 경찰관들을 상대로 불심검문의 운영 실태를 조사해 본 결과, 불심검문이 범죄예방과 범인검거에 꼭 필요하고 대단히 중요한 수단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많은 불심검문이 행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불심검문을 받는 국민들의 반응은 대단히 냉소적이었다. 일선 경찰관들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피검문자가 검문에 비협조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85.5%에 이르고 있었다. 불심검문의 문제점을 묻는 설문에 대해 52.25%가 법률상 강제규정의 미비를, 12.5%가 시민들의 비협조를 들었다. 또한 법규정과 법집행 현장과의 괴리현상으로 ‘신원확인의 임의규정화’, ‘위해개념의 부존재’, ‘자동차 검문의 법적 근거 미비’, ‘정복 경찰관의 신분증 제시의무’, ‘일제검문의 근거 미비’ 등이 파악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일선 법집행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검문불응 사례도 찾아 볼 수 있었으며, 현행범 체포와 긴급체포의 대상이 되지 않는 범죄발생시, 과태료 처분사항 위반사례 발생시 등에 신원확인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효성 확보의 구체적 방안으로는 체포제도, 행정강제, 불이익 조치 부과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체포제도는 현행 형사소송법 체계상 체포의 전제로서 ‘범죄의 특정’과 ‘48시간이라는 체포시한의 과잉’ 등의 문제점이 있어 현행 형사소송법 법제와는 다른 형태의 ‘신원확인을 위한 단기 유치’ 제도를 고려해 볼 수 있는데, 현행 불심검문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이 신원확인을 강제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신원확인 불응자의 신원확인을 위해 지문채취 등 감식조치가 가능한 경찰관서로의 유치는 꼭 필요한 조치로 보여지며, 이에 대한 입법론으로 4시간의 단기 유치제도 신설을 제안하였다. 또 다른 방안으로 행정강제에 의한 방안과 형사처벌 등 제재에 의한 방안이 있을 수 있다. 형사처벌 방안은 전과자 양산 및 비범죄화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어 하나의 대안으로만 제시하였다. 현실적인 방안으로 행정강제를 고려해 볼 수 있는데, 행정강제에서 고려될 수 있는 강제력 부여 방안은 직접강제로서 신원확인 불응시 지문감식 등을 요구할 수 있고, 이에 불응시 국가기관이 직접 지문채취 등을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실효성있는 방안으로 현재 독일에서 시행하고 있다. 신원확인을 위한 직접강제 방식의 감식조치에 대해 영장주의 위반이라는 비판의 소지가 있을 수 있으나 법치주의 확립이 최선진국 수준인 독일에서도 법관의 영장없는 감식조치가 시행되고 있어 이는 입법자의 결단의 문제로 보여진다. 일반시민은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조치인 신원확인을 해줄 의무가 있으며 이에 대해 이행을 강제하는 것은 다수자 보호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측면에서 이 방안이 가장 실효성 있는 대안이라고 생각하며 입법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위해방지 목적의 불심검문 절차의 신설’, ‘자동차 등에 대한 정지 명령 및 수색권의 근거 신설’, ‘정복경찰관의 신분증 제시의무 면제’, ‘일제검문의 근거 신설’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불심검문의 효율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인권침해 사례가 발생해서는 안되므로 남용에 대한 견제장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이 방안으로는 불심검문의 목적을 신원확인으로 한정하고, ‘신원확인조서 작성 및 교부’, ‘고지 및 보고의무화’ 등의 견제장치를 강구해야 할 것이다. 불심검문의 성패는 합리적 입법안의 도출과 함께 사회적 합의와 이해에 달려 있다. 경찰과 국민, 사법부 모두 불심검문의 취지와 그 중요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져야 한다. 범죄를 범하거나 사회에 대한 위험을 초래하고 있는 자에 대하여 법이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다면 그 결과는 국민에게 되돌아 갈 것이다. 신원확인은 일반시민들에게는 다소의 불편과 번거로움을 줄 수 있지만 범죄자에게는 자신의 신원이 노출되는 크나큰 부담감을 주고 그로 인해 범죄를 포기 하게 만든다. 【 주요어 : 불심검문, 범죄예방, 임의규정화, 위해개념, 실효성확보방안 】; ABSTRACT A Study on Criminal Justice Polic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olice Stop and Question Song, Kab-Soo Dept. of law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Stop and questioning has become an essential police method of achieving crime prevention and investig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current questioning, due to 'discretionary provision' and 'absence of the concept of hazard', is not stipulated to fulfill the mission of protecting the lives and properties of the citizen, and does not reflect the trend of social change either. This is the critical inadequacy of the regulation,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the law-abiding citizens, while ineffective in crime deterrence. This study, based on these problems, aims at looking into the operational aspects of questioning and its problems, and coming up with policy suggestions of enhancing effectiveness of questioning. Face to face interviews and a survey have been done with street-level police officers to find out the problems related to questioning. And, the gap between the regulation and practice has been studied to clarify the problems of current regulations. In addition, a comparativ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problems that our legal system has and to bring forth possible alternatives that we can benchmark from. The result of the survey with the street-level police officers about the practice of questioning revealed that they believe that questioning is a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measure in crime prevention and apprehension of the criminal. And, actually, many questionings are being conducted on the street accordingly. However, the reaction of the citizens who are being questioned was very cynical. 85.5% of the police officers said that the subjects are not cooperative to the questioning. 52.25% pointed out the absence of forcible provisions, and 12.5% pointed out the non-cooperation of the citizen as the barriers of effective questioning. As the gap between the regulation and the practice, 'discretionary provision of identification', 'the absence of the concept of hazard', 'lack of legal base for the vehicle inspection', 'mandatory presentation of id card of uniform officers', and 'the lack of legal bases for nation wide inspection' were pointed out. Because of these problems, many non-compliance cases are happening. And, police officers cannot check out the identification either when a person is not subject to a flagrant arrest and emergency arrest or he/she is subject to a fine. Apprehension, administrative compulsion, and imposing disadvantages could be considered as possible ways of enhancing effectiveness of questioning. As for apprehension, 'a short-term confinement for identification' could be considered, which is different from current criminal procedural law, since current arrest has the problem of 'the identification of a crime' and 'excessive time limit of 48 hours of the arrest'. Since current questioning cannot guarantee the identification of a subject, installation of 4 hour short-term containment has been proposed to ensure the acquirement of finger print who resist questioning. As another alternatives, administrative coercion and penal punishment could be considered. but, as the penal punishment can produce more criminal and is adversary to the trend of non-incarceration, it would rather remain in the paper. Administrative coercion on the contrary can be considered as a feasible alternative. Mandatory finger printing can be conducted upon refusal. This method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Germany. Lab examination for the identification could be the violation of warrant principles, but in German, which is one of the most advanced countries in terms of legal establishment, a lab examination without warrant is conducted, and this reflects that is a matter of legal resolution. Citizens have the duty to check out their identification for the peace of order maintenance of the society, and enforcing them to carry out their duties is a necessary measure for the protection of the majority, and this justifies the proposals that I have made in this study. Additionally, 'installation of questioning for the prohibition of hazards', 'installation of Stop and search order for the vehicle', 'exemption of the presentation of id card of the uniform police officers', and 'installation of uniform questioning' have been proposed as well. However, since the emphasi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questioning should not overwhelm the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check and balance mechanism for the misuse has to be made. This includes the limitation of the purpose of the question only to the identification, and the check and balance mechanisms such as 'writing and issuing the report of identification', and 'mandatory notice and report' have to be put in place. The success of questioning depends on the creation of ra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nsensus. The police, citizen and criminal justice department have to have the right concept for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 of questioning. If the law cannot do anything about the law-breakers, the result turns back to the ordinary citizens. Identification may cause some inconvenience to the citizens, but it will give the criminals a huge burden of exposing their identity and thus make them give up their crimes. 【 Keywords : Police stop and question, Crime prevention, Discretionary Provision, Concept of hazard, Ways of enhancing effectiveness 】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49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1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