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4 0

고판화의 박물관교육 내용과 방법에 관한 연구

Title
고판화의 박물관교육 내용과 방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ntents and Methods of Museum Education for Acient Woodblock Prints
Author
한상길
Alternative Author(s)
Han,sanggil
Advisor(s)
김명희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 문 요 지 이 논문의 목적은 고판화의 박물관교육 내용과 방법을 고찰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 아래 고판화박물관에서 실시한 고판화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 교육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고판화를 분류하고 도상을 해석하여 고판화의 박물관교육 내용과 방법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방법과 현장 조사 방법 및 그동안 고판화박물관이 일구어낸 해석물인 출판물(도록)의 내용을 천착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교육과 소장품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① 박물관은 소장품의 수집으로부터 시작되며, 박물관에서 소장품은 견본으로서 갖는 교육적인 가치에 근거해 수집된다. 그러므로 박물관 교육의 시작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 소장품의 수집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② 소장품과 관람객과의 소통을 담당하는 분야가 박물관 교육이므로, 박물관 교육은 전시, 전시해설, 전시연계교육프로그램으로 진행되며 이러한 진행을 위해 소장품의 이해를 통해 필요한 교육 자료를 선별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③ 박물관의 소장품이 선별되어 이용자에게 교육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으려면 지속적인 유물에 대한 관심과 소장품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유물에 대한 깊은 해석이 이루어 저야 한다. 둘째, 고판화의 박물관교육 내용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고판화박물관의 소장품인 한국․ 중국․ 일본․ 티벳․ 몽골 판화 소장품에 대해 조사하고 해석하여 다양한 가치를 분석한 결과, 해석된 박물관의 자료들은 전시와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로서의 풍부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했다. ② 고판화의 내용은 삽화판화, 불화판화, 문양판화, 민화판화등의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③ 인쇄문화의 기초인 고판화는 태생적으로 교육적 활용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서책의 삽화로 채용되어 국가 이념을 교육하기위한 용도와, 종교교육의 목적을 위해 활용되었다. 민화판화(세화․ 연화․ 우키요에 등)의 자료 속에는 대중을 위한 교육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예술판화를 통해 인간의 심성을 순화하는 미술교육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문양판화(능화판, 시전지판 등) 또한, 인간의 삶 속에서 아름다움을 실현할 수 있는 생활예술의 실천 수단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다. 고판화를 새기기 위해서는 원화의 의도적인 생략과 디자인화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창의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루신에 의해 사회 계몽운동의 활용을 위해 신목판 운동이 일어났듯이 목판화가 교육 홍보용으로 활용성이 지대함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서는 고판화자료의 국가별, 시대별, 장르별 분석을 통해 중국․ 한국․ 일본판화의 문화적 소통 사례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화소통의 증거물인 자료를 통해 문화는 끊임없이 뒤섞이면서 새롭게 변하고 확산된다는 사실도 규명할 수 있다. 섯째, 고판화박물관에서 실시한 박물관교육의 실태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① 고판화박물관에서 박물관교육의 시작은 수집활동으로부터 시작된다. ② 고판화박물관의 박물관교육은 기초적으로 소장품인 고판화에 대한 이해와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③ 고판화박물관의 박물관교육은 기본적으로 전시활동과 전시해설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④ 고판화박물관의 전시연계교육활동은 다양한 방법과 양태로 진행될 수 있다. 개념어: 고판화, 박물관, 박물관 교육, 소장품, 해석, 미술, 판화, 종교교육, 미술교육, 다문화교육; ABSTRACT A Study on Contents and Methods of Museum Education for Ancient Woodblock Prints - Focused on the case of Ancient Woodblock Prints Museum in The Myungjusa - Han, sanggil Department of Museum Education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Advisor : Prof. Kim, myunghee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study contents and methods of museum education for Ancient Woodblock Prints and under this object, the goal is set; the goal is to explore contents and methods of museum education for Ancient Woodblock Prints. For this goal, all the activities in The Myungjusa Museum such as collection of Ancient Woodblock Prints, preservation, research, exhibition, and education are systematically arranged and then, Ancient Woodblock Prints are classified and printed pictures are interpreted. The methods of this thesis are document research, field study and the in-depth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is Museum's publication(pictorial recor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following relations between museum education and collection. ① The museum begins with the collection activity and the materials are collected based on educational value. Therefore The museum education begins from the collection of woodblock prints etc. with educational value. ② Because the museum education aims 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llection and audiences, the museum education is proceeded based on exhibition, exhibition interpretation and education program linked to exhibition. To proceed such education, the work of selecting necessary education material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collection is prerequisite. ③ For higher educational effects with selection of collection in a museum, there should be continuous interest in relics and in-depth interpretation of relics through study on collection. Seco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museum education for Ancient Woodblock Prints as follows. ①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n various values disclosed by examining and interpreting the Korean, Chinese, Japanese, Tibetan, and Mongolian prints, it is identified that the interpreted materials in the Museum have abundant value as the basic research materials which can be used i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② The contents of Ancient Woodblock Prints can be classified into illustration, buddhist picture, design, and fork story prints etc.. ③ As the base of printing culture which is the medium to deliver knowledge, Ancient Woodblock Prints connote the educational utility from its origin and were used to educate national ideology and religion by being applied to print illustration in books. Folk story prints(Sewha, Yeonwha, Ukiyo-e et.) connote educational meaning for the ordinary people and the Arts prints connote educational meaning to purify man's mind through fine arts. It is found out that using design prints(Neunghwa prints, Sijeonji prints etc.), the arts seeking out the beauty in the daily life was realized at that time. Because the intentional omission and redesigning of original picture are required to sculpture woodblock prints, I became to know that this woodblock prints is the outcome of creativity. As shown in the Chinese writer, Lu Xun's new woodblock movement for social edification, woodblock prints were used as the important tool for education and publicity. Furthermore, through the analysis of Ancient Woodblock Prints by nation, era and genre, it is found out that there were cultural communications betwee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prints. Also it is identified through the materials which is the evidence of cultural communications, that culture is endlessly mixed each other, newly changed, and expanded. Third, The status of museum education provided in Ancient Woodblock Prints Museum is analyzed as follows. ① The museum education in Ancient Woodblock Prints Museum begins from collection activity. ② The museum education in Ancient Woodblock Prints Museum is basically provid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research about Ancient Woodblock Prints in this Museum. ③ The museum education in Ancient Woodblock Prints Museum is basically provided based on exhibition activity and exhibition interpretation activity. ④ The education activity linked to exhibition in Ancient Woodblock Prints Museum can be proceeded in various methods and forms. Key words: Ancient Woodblock Prints, museum, museum education, collection, interpretation, fine arts, woodblock prints, religious education, fine arts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48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85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MUSEUM EDUCATION(박물관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