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7 0

Clostridium difficile Toxin A와 B의 신속한 검출을 위한 Real time PCR kit의 개발

Title
Clostridium difficile Toxin A와 B의 신속한 검출을 위한 Real time PCR kit의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Real time PCR kit for rapid detec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Toxin A and B
Author
하정미
Alternative Author(s)
Ha, Jung Mi
Advisor(s)
황승용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Clostridium difficile 균은 Toxin A와 B를 생성하여 항생제나 항균제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항생제 유발 설사나 위막성 대장염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항생제 사용의 증가로 인해 이 질환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래서 대장 내시경검사 및 선택배지를 이용한 대변 배양이나 세포배양법을 이용한 독소검사 등 미생물학적인 방법이 C. difficile균의 검출에 이용되고 있다. C. difficile 균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서는 세균배양과 독소시험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고 일반적인 실험실에서는 실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C. difficile 균에서 생성하는 Toxin A와 B의 유전자인 tcd A와 tcd B의 서열을 문헌조사를 통해서 알아본 뒤 Toxin A와 B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primer와 probe를 제작하여 C. difficile 검출용 Real time PCR kit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CD Real time PCR kit을 이용하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제공받은 C. difficile 관련 질환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101개 대변 검체에서 pathogen gDNA를 추출하여 Real time PCR 실험으로 C. difficile균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렇게 확인된 Real time PCR 실험결과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실행한 C. difficile 균의 표준검사법인 세균배양 결과와 비교하였다. 배양법으로 실험한 결과 전체 101개 검체 중에서 41검체가 양성이었고, 60검체가 음성이었다. 동일한 대변 검체에서 추출한 pathogen gDNA 검체를 가지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CD kit으로 Real time PCR 실험한 결과 42검체가 양성이었다. 그 중 1개 검체는 Toxin A 음성, Toxin B 양성인 변종균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59 검체가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배양법 결과와 Real time PCR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Real time PCR법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알아본 결과 민감도는 90.2%, 특이도는 91.7%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성 예측도는 88.1%, 음성 예측도는 93.2%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CD Real time PCR kit을 이용하여 C. difficile 균을 검출하는 방법은 보통의 검사실이나 의료기관에서 이용하기 쉬운 방법이며, 그 결과를 보면 민감도와 특이도가 다른 검출법에 비교하여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CD Real time PCR kit은 항생제 유발 설사증과 위막성 대장염의 원인균인 C. difficile균의 검출에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4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66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IONANOTECHNOLOGY(바이오나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