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자-
dc.contributor.author서계희-
dc.date.accessioned2020-03-27T17:00:45Z-
dc.date.available2020-03-27T17:00:45Z-
dc.date.issued201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46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043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문요지 이 연구는 창작경험이 있는 무용수들을 대상으로 창작수행시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심리적 요인을 분석하여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최근 5년 사이에 창작경험 있는 대학생과 대학원생 및 소극장무대에서 창작경험이 있는 직업무용수 총 10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자료 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로 사용된 설문지는 김우자, 문윤제(2001), 한태준, 우태화(2002)의 연구에 사용된 조사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무용심리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수정, 보완하여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문항의 신뢰도 분석(Cronbach's α), 분산분석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경우 사후검증방법으로 Tukey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상 연구방법과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창작과정에서 무용수들은 대부분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요인별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한 결과 주위의 기대, 외부환경, 대인관계, 안무 구성, 경쟁불안, 체력/체격, 작품효과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의 특성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공과 무용경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은 경쟁 불안에 따른 스트레스, 안무구성에 따른 스트레스, 작품 효과에 따른 스트레스에 대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초반 그룹에서는 안무구성에 대한 스트레스, 20대 중후반 그룹에서는 경쟁불안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31세 이상의 그룹에서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보이지 않지만, 작품효과에 따른 스트레스 영향을 적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안으로는 ‘지인들에게 조언을 구한다’, ‘생각을 많이한다’, ‘잠을잔다’, ‘수다를 떤다’ 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solutions for reducing dancer's stress during creative choreographing process by analyzing psychological factors that crucial role for increasing stress. For this purpose, I chose 102 professional dancers,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have creative experiences in a little theater based in Seoul and Gyeonggi district as a sample.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 from Woo-ja Kim, Yoon-jae Moon(2001), Tae-jun Han, Tae-hwa Woo(2002). And I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dance psychological expert. The specific statistical methods applied to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and analysis of variance. If significant applied tukey statistics for post-test. The results derived from aforementioned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almost dancers have been under stress during the process of choreography. Results of analysis of stress degree depending on stressors showed in order much expectation, external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ucture of choreography, competitive anxiety, physical fitness/physique, effect of work. Seco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ajor and dance career in stressors of personal characteristic. Stressors depending on age showed difference from competitive anxiety, structure of choreography, effect of work. The highest stressor was structure of choreography in early 20s group, competitive anxiety in mid-late-20s group. The 31years and over group were lesser affected by effect of work. Third, the coping strategies for stress showed higher results in order 'ask friends for advice', 'think a lot', 'sleep', 'chatter'.-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무용창작과정에 나타난 무용수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dancer's stress shown in the process of choreograph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서계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oh, Kye He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