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 0

중국 소주시 구도심의 역사적 수변가로공간에 관한 연구

Title
중국 소주시 구도심의 역사적 수변가로공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istoric street space of waterfront in the old urban center of Suzhou : Focused on the physical structure character in Pingjiang road
Author
진소녕
Alternative Author(s)
Chen, Su Ning
Advisor(s)
이석정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의 아름다운 운하도시인 소주시 구도심의 현황과 수로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활발한 공공공간이자 관광명소인 전통수변가로 평강로를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그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한국 도시의 수변공간 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BC514년, 오나라의 국도로 건설된 ‘소주(蘇州, Suzhou, 쑤저우)’ 시는 중국의 전통적 도시구성원리인 사변형을 기본으로 하여 동서로 3개, 남북으로 4개의 수로, 즉 삼횡사직을 도시의 골격으로 하는 성벽 운하도시로 계획되었고 7세기 대운하 건설에 따라 전국적 수상교통망의 형성을 토대로 발전하였다. 명대(1368-1644)에 들어 상공업의 중심지로서 최고의 번영을 누리게 되면서 그 경제력을 바탕으로 성벽과 수로체계를 정비하였고 정원, 건축물, 수변공간 등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아름다운 물의 도시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인구증가, 수질오염 등으로 인해 성내 수로가 복개되고 수상교통이 쇠퇴하면서 수로의 가로화가 가속화되었다. 약 20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도시 전반적으로 수로의 쇠퇴, 감소 과정을 겪으면서도 소주는 여전히 ‘아름다운 물의 도시’로 불리고 있으며 현재 성내 수변공간은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공공공간이자 일상생활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지인 평강로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역사적인 수로가 가장 밀집해 있으면서 전통적 특성을 잃지 않고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장소이다. 가로변 상업, 업무, 교육, 주거 등과 배후의 주거지, 도시 주요시설들과의 긴밀한 관계 등에 의한 복합적인 토지이용은 평강로를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사회적 공공공간, 일상생활의 장으로 만들며 조용하면서도 활발한 평강로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보행전용가로로서 다양한 교통수단의 통행이 가능한 주변 가로와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어 편리하고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다. 가로변으로 1, 2층의 건축물들이 휴먼스케일의 가로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입면, 층고, 건축선, 가로폭, 수로폭 등의 변화가 많고 가로수가 풍부하여 녹지와 수공간이 어우러진 다양한 가로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가로에서 가까운 수면, 40-50m 간격으로 나타나는 수변계단, 공공공간 등은 다양한 행동패턴을 유도한다. 이러한 형태적 특성을 바탕으로 걸으면서 다양한 시퀀스를 경험하게 되며 이는 평강로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강로의 이러한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강로 지역의 수변가로들, 즉 평강로 그리고 이와 연결된 수변가로들에 대해 가로형태, 층수, 건축물 토지이용, 공공공간이나 다리, 수변계단의 형태적 특성과 가로경관 시퀀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수로와 가로가 만나는 방식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별로 가로형태, 토지이용, 수변공간의 형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은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을 다음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평강로는 토지용도, 교통체계, 오픈스페이스 분포 측면에서 주변지역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이 결합하여 사람들의 보행과 활발한 활동을 자연스레 유도한다. 이렇듯 도시의 활력은 하나의 가로에 수변공간이 있다고 하여 달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주변의 도시 기능들과 네트워크를 이루며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가능한 것이다. 둘째, 평강로지역은 일부러 찾지 않고도 일상생활 속에서 바로 느낄 수 있는 수변공간이 지역 전반에 분포하며,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즉, 수변공간이 이벤트적인 일회성 공간이 아닌 일상의 체험공간으로 쉽게 접근이 가능할 때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평강로의 수로는 소주 구도심 전체의 역사적인 수로 시스템의 일부로서 소주의 역사를 상징한다. 때가 낀 수로의 벽 또는 계단의 돌, 주변 건축물에서 느껴지는 ‘시간의 흐름’이 평강로의 장소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심의 가로공간인 평강로가 보여주는 공간적 특성은 베니스 고도시의 수변공간 혹은 그 밖에 다른 도시공간으로서의 수변공간의 특징과 크게 다를 바 없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의 사례지는 한국과 같은 동양 문화권의 도시이기에, 한국 도시에 던지는 시사성이 감성적 차원에서 유별나다고 할 수 있으며 수공간을 ‘생활가로공간’으로 ‘디자인’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attractive old urban center of Suzhou and the evolvement of its canals, and als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space of the waterside street-----Pingjiang road, which is a well-known scenery spot and a currently active public space as well, the article concluded the physical structure character of Pingjiang road.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some inspirations for the design of the waterside space of the Korean cities. In 514 BC, Suzhou, as the capital of Wu Kingdom, came into being with a structure of three horizontal and four vertical canals surrounded by four sides of traditional Chinese circumvallation.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Grand Canal in the 7th century, a national water network transportation system came into being. In the Ming Dynasty (1368-1644), Suzhou was already a national commercial center and prosperous area. With the support of the strong economic power, the circumvallation and water network were refitted. At the same time, gardens, architecture and waterside space were promoted to a new level, which together formed the beautiful well-known city of water. But with the growth of the population, water pollution and block becomes more and more serious, which promoted the recession of the water transportation. During the course of 2000 years of urbanization, though the function of water system in Suzhou faded, it is still called a Beautiful City of Water. Now the waterside space, a place which put vigor to the city, is used as a place for daily life. As an objective area in this study, Pingjiang Road is a place which holds canals of high density. The canals here keep their traditional functions and nowadays are still actively used. First of all, the compound-style land use has formed Pingjiang Road into a public space of diversity and a space for daily life as well. It has created a unique atmosphere which is not only peaceful but also active. Secondly, it has formed a transportation network with the nearby roads which can be used by various vehicles and provided a safe and convenient pedestrian space. And then the one to two-story buildings along the street formed a humanized space. The diversity of the building faç ade, story height, building lines and road breadth, the abundant street trees, the harmony of green land and water, all have formed colorful street sceneries. Every 40 to 50 meters, there exists a waterside steps. Walking on such kind of street, diverse scenery sequence could be experienced. This is the unique atmosphere in Pingjiang Street. In order to grasp the configuration character of Pingjiang Road, it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street configuration, the stories of the architecture and its land use, public space, stone bridge, shape of the waterside steps and the sequence of the street sceneries showed the results, conclusions and inspirations as follows: Firstly, Pingjiang Street and the land use of its nearby areas, the traffic network and the layout of open space formed a compact network. The network could naturally attract people to walk and do activities on it. Such kind of city vigor does not automatically exist in a street beside water. It needs an organic network formed by the street and its surrounding areas which generates multidimensional effects. Secondly, waterside space is located in the complete Pingjiang Road area. It is accessible and could be felt directly in people’s daily life. That is, it does not exist there accidentally as open space, but could be experienced and touched conveniently everyday. It exists to improve citizen’s living quality. Thirdly, the waterway of Pingjiang Street, as part of the waterway network in the old center of Suzhou, is a symbol of the history of Suzhou city. The mottled walls, stone steps, white walls and black tiles and the ancient architecture,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Pingjiang Street area, has been witnessing the history and vicissitude of this area. As street waterside space in a city center, Pingjiang Street does not reveal a different space character compared to Venice and other historical water city. But the objective place in the study, a city which also belongs to the same East Asian cultural circle as Korea, could provide quite different inspirations for the Korean cities. What’s more, it also provides useful and helpful material for the design of street waterside space as a street for lif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46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41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